• 제목/요약/키워드: 유스케이스 모델링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39초

외부 유스케이스를 이용한 확장 모델링 기법 (An Extended Modeling Technique Using External Use Cases)

  • 조준수;정기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59-461
    • /
    • 2009
  • 시스템 개발을 위해서는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능을 명료하게 기술함은 물론 목표 시스템이 참조하는 외부 시스템의 기능을 명확하게 식별하여야 한다. 이는 목표 시스템의 범위를 명확하게 한정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의 유스케이스 모델링 기법에서는 외부 시스템은 액터로만 표현된다. 이는 외부 레거시 시스템을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외부 시스템의 기능 중 목표 시스템이 참조하는 유스케이스만을 식별하기 어렵게 만드는 단점도 갖는다. 이러한 불명확성은 유스케이스 명세 시 모델 작성을 어렵게 하여 유스케이스 모델의 이해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외부 유스케이스를 이용한 확장 모델링 기법을 제시한다. 확장 모델링은 레거시 시스템에 존재하는 외부 유스케이스를 표현하고, 내부 유스케이스와 관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확장 메커니즘을 지원한다. 확장을 위해서는 UML 확장 메커니즘 중 하나인 스테레오타입(Stereotype)을 활용하며, 따라서 기존 유스케이스 모델과의 호환성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기존 모델링 기법과 일관되게 적용 가능하다.

서비스 지향 컴퓨팅을 위한 확장 유스케이스 모델링 (Extended Use Case Modeling for Service-Oriented Computing)

  • 조준수;정기원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53-163
    • /
    • 2009
  • 공급자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능의 조합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조합에 포함되는 기능, 즉 유스케이스가 명확히 식별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유스케이스 모델링은 명세하고자 하는 목표 서브젝트의 외부 시스템을 액터로만 표현함으로써, 서비스 구성에 참여하는 외부 유스케이스를 명확하게 표현하지 못한다. 이러한 불명확성은 유스케이스 모델의 이해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며, 목표 시스템이 참조하는 외부 시스템의 범위를 명확하게 한정하지 못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지향 컴퓨팅을 위한 확장 유스케이스 모델링 기법을 제시한다. 확장 모델링은 외부 서브젝트에 정의된 외부 유스케이스 및 컴포넌트를 목표 서브젝트 내에서 명시적으로 표현하도록 지원한다. 외부 유스케이스는 공급자 시스템에 정의된 기능을 표현하며, 목표 시스템이 참조하는 범위를 명확히 정의하는데 활용된다. 유스케이스 구현을 위한 외부 컴포넌트와의 관계성은 유스케이스 실체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유스케이스 모델의 확장은 UML 스테레오타입 확장 메커니즘을 이용한다. 따라서 기존 유스케이스 모델과의 호환성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기존 유스케이스 모델링 기법과 일관되게 적용 가능하다.

  • PDF

유스케이스 모델링 도구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Usecase Modeling Tool)

  • 최환복;김윤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868-87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과 기술서를 통합하여 작성하기 위한 도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관계를 기준으로 하는 다이어그램 유지방법을 제시하였으며, 다이어그램 작성에서 항목 간 연결 유효성 검사를 제공하여 UML 표준을 따르는 다이어그램 작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유스케이스 모델링 도구는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유스케이스 모델링을 가능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통합되고 일관성 있는 유스케이스 모델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스케이스 확장 관계의 개선 모델링 기법 (An Improved Modeling Technique of Use Case Extend Relationship)

  • 조준수;정기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69-470
    • /
    • 2009
  • 확장 관계는 유스케이스 수행 중 조건에 따라 기반 유스케이스의 기능을 확장하고자 할 때 활용된다. 그러나 현재 확장 관계가 조건에 따른 분기를 위해 활용하는 확장점은 레이블 형태를 가지며, 이는 객체지향 프로그램의 작성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또한 확장기능 수행 후 기반 유스케이스로의 복귀점에 대한 명확한 모델링 기준이 부족하여 확장 관계의 활용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스케이스 확장 관계의 개선 모델링 기법을 제시한다. 개선 모델링은 확장 관계의 분기점으로 기존 레이블 형태의 확장점 대신 액티비티 노드를 설정한다. 또한 분기점과 쌍으로 복귀점에 해당하는 액티비티 노드를 명시적으로 지정 가능하다. 이를 통해 확장 관계의 분기 및 복귀의 보다 명확한 명세가 가능하다.

개선된 Fillmore Case Grammar를 통한 Goal Use-Case 식별 방법 (A Method to Identify Goal Use-Case(s) with Refined Fillmore's Case Grammar)

  • 박보경;양효석;김영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11-1014
    • /
    • 2013
  • 기존 논문에서는 Fillmore의 Case Grammar를 적용한 객체 추출 및 유스케이스 모델링 방법을 제안하였다[1]. 이 방법은 정확한 요구사항 분석이 가능하지만, 유스케이스 추출 및 규모 결정 방법을 고려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Fillmore의 Case Grammar를 적용한 유스케이스 추출 및 규모 결정 방법을 제안한다. 언어학자인 Fillmore의 방법을 요구공학에 적용하기 위해서, 그의 메커니즘 개선을 통해 구조화 절차 메커니즘 정의와 표기법(Notation) 변경을 수행하였다. 이 절차에 의해, 정확한 Goal 유스케이스 모델링과 유스케이스 식별이 용이하다. 또한 정확한 유스케이스 추출 및 규모 결정이 가능하다. 사례연구로 은행 ATM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Goal 지향 요구공학 기반의 유스케이스 식별 방법 (Use Case Identification Method based on Goal oriented Requirements Engineering(GoRE))

  • 박보경;김영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3권7호
    • /
    • pp.255-262
    • /
    • 2014
  • 기존 논문[1]에서는 Fillmore의 Case Grammar를 기반으로 객체 추출 및 모델링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유스케이스 추출 및 결정 방법을 고려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요구공학에서 자연어 처리를 위해 Fillmore의 의미적 방법을 채택하였다. 즉, 고객 요구사항으로부터 유스케이스를 모델링하고 추출하기 위해 Fillmore의 Case Grammar를 개선한다. 개선된 메커니즘은 구조화된 절차를 정의하고 시각적 표기법을 수행한다. 또한 유스케이스의 복잡성과 관련된 Goal 지향 요구공학(GoRE)을 기반으로 추출된 유스케이스에서 유스케이스 크기를 식별하는 유스케이스 결정 매트릭스(Use Case Decision Matrix)를 제안한다. 이 매트릭스에서 유스케이스를 우선순위화 한다. 사례연구로 은행 ATM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애자일 기법을 접목한 대형 프로젝트 기반 유스케이스 모델링 (Use case modeling with agile practices for Enterprise)

  • 남동균;이종왕;한정헌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59-462
    • /
    • 2009
  • 많은 SI프로젝트에서 유스케이스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여 요구 분석을 수행하여 왔지만 모델링 기준과 가이드의 상이함으로 인해 프로젝트 현장에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애자일 방법론의 장점을 접목하여 애자일한 유스케이스 시나리오 작성법 및 사용자스토리를 개념을 차용한 두 단계 우선순위 부여를 통하여 요구 분석의 효율성과 생산성 제고방안을 제안한다.

  • PDF

비즈니스 시스템 분석을 위한 유스케이스 중심 개발 방법의 문제점 (Difficulties of the Use Case Centered Development Methodology for Business System Analysis)

  • 이혜선;박재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2)
    • /
    • pp.502-504
    • /
    • 2005
  • 비즈니스 시스템의 요구사항 분석을 위해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에서는 UML의 유스케이스 모델링을 이용하고 있으며, 유스케이스는 전체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스궤이스 중심의 개발 방법을 적용하여 요구사항 명세서로부터 유스케이스를 추출하여 클래스를 도출하기까지의 분석 과정을 살펴보고, 유스궤이스 모델링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의 문제점에 대해 조사해 봄으로써 유스케이스를 이용한 비즈니스 시스템 분석 과정에서 고려해야 될 사항들을 미리 점검해 볼 수 있도록 하여 초보자도 쉽게 분석할 수 있도록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요구사항 기술서로부터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의 추출기법 (Use Case Diagram Extraction Technique from Requirements Specification)

  • 유철중;정소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9D권4호
    • /
    • pp.639-650
    • /
    • 2002
  • 소프트웨어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명확한 요구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UML에서는 유스케이스 모델링을 통해 사용자 또는 고객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업무 시스템의 범위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이며 정확한 유스케이스 모델링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요구사항 기술서로부터 정형화된 규칙을 적용해 가면서 단계적으로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을 추출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요구사항 기술서 관련규칙( $R_{A}$; Rules for Requirements Specification)을 적용하여 요구사항 기술서를 변경하고, 변경된 요구사항 기술서에 액터 추출 규칙( $R_{A}$ ; Rules for Actors), 유스케이스 추출 규칙( $R_{U}$ ; Rules for Use Cases), 관계 추출 규칙( $R_{R}$ ; Rules for Relationships)을 각각 적용하여 액터, 유스케이스, 관계를 추출하여 최종적으로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Use Case diagram)을 작성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규칙을 인사관리 요구사항 기술서에 적용해 본 결과, 정형화된 규칙이 없이 서술적인 몇몇 조언을 바탕으로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을 추출해야하는 기존의 어려움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확인하였다.확인하였다.

유스케이스 재구성을 통한 서비스 식별 (Services Identification based on Use Case Recomposition)

  • 김유경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45-163
    • /
    • 2007
  •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는 느슨하게 연결되고 상호 호환 가능한 서비스들의 결합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서비스는 적절한 입도를 갖는 구현된 비즈니스 함수로 정의할 수 있고, 잘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에 노출된다. 서비스 모델링 단계에서 서비스의 입도(granularity)가 너무 작아지면, 서비스의 재사용성, 유연성이 낮아진다. 이런 서비스 입도의 문제로 인해 도메인 분석 모델로부터 적절한 추상화 레벨을 갖는 서비스를 식별하고 정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도메인 분석 모델인 유스케이스 모델로부터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절차를 제안한다. 유스케이스와 유스케이스 기술서(description)로부터 태스크 트리를 생성하고, 태스크 트리의 분할과 결합을 통해 유스케이스를 재구성한다. 이렇게 재구성된 유스케이스들로부터 서비스를 식별하고, 명세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이미 널리 사용되는 UML 유스케이스 모델을 사용하므로 다양한 플랫폼과 도메인에서 서비스 모델링을 위한 개발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