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사접사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A model of Korean morphological passive processing (한국어 용언의 형태소 정보처리 특성 (III): 피동 정보처리)

  • 황유미;권유안;임희석;남기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137-141
    • /
    • 2002
  • 한국어 용언의 형태소 정보처리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피동의 처리 양상을 살펴보았다. 한국어의 피동문은 용언에 파생접사가 붙어 이루어지는 경우와 '-어 지다'와 같이 구문 변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중 피동 파생접사 '-이, -히, -리, -기'가 붙은 피동사만을 선정하여 고려대학교에 재학중인 일반인 학생을 대상으로 점화어휘판단 관제를 실시하였다. 실험조건은 표면적 형태와 기능으로 구분하여 4조건으로 설계하였고 SOA는 150msec과 750msec로 나누었다. 실험 결과 피동('어근+파생접사')의 정보처리는 선행연구의 '어간+(시제)선어말어미'의 결과와 유사한 형태를 보였으며, '어간+(연결)어말어미'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이런 결과로 미루어보아 어근과 접사는 각각 따로 저장되어 있다기보다는 '어근+접사'의 형태로 심성어휘집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형태소 분석에서 거론되고 있는 Fullist, Decomposition, Hybrid의 세 가지 모형으로는 한국어 용언의 다양한 표상 및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어려우므로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MORPHOLOGICAL CHANGES IN CHILDREN WITH CLASS I AND III MALOCCLUSIONS: CEPHALOMETRIC ANALYSIS (I급과 III급 부정교합 어린이의 두개안면골 형태의 변화에 관한 연구)

  • Hong, Han-Young;Choi, Yeo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4 no.4
    • /
    • pp.599-612
    • /
    • 2007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morphological and structural differences of craniofacial structures among 146 children with Class I and Class III malocclusions. The results below were obtained from the study. 1. Sphenoethmoidal synchondrosis continues to grow later in Class III. 2. Anteroposterior length of the nasomaxillary complex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Class III, but the height of the nasomaxillary complex was similar. 3. Mandibular length and mandibular body length were longer in Class III, but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was shorter in Class III, but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4. Dentoalveolar height was similar between Class I and Class III. 5. In Class I, anterior cranial base took part in the anteroposterior length of the nasomaxillary complex and the mandible. 6. In Class III, anterior cranial base and middle cranial base had higher correlation with the mandible with ag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exist a little differences between Class I and Class III malocclusions at age $7{\sim}11$, but growth patterns are mostly simila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rrect Class III malocclusions at an early age before skeletal differences appea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