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사도 함수

검색결과 1,079건 처리시간 0.042초

이미지 상관관계함수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의 유사도 비교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Digital Images using ICOR)

  • 양형규;최종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75-82
    • /
    • 2009
  • 영상의 비교는 PSNR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SNR이 35이상일 경우 육안으로 품질 차이를 구분하기 어렵다고 판단한다. 2006년 Lee 등은 원본 이미지 대신 원본 이미지의 MSB 비트열을 공개함으로써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제안하면서, 두 이미지의 MSB 비트열의 유사도를 측정하기 위한 새로운 함수를 사용하였다. 이때의 유사도는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PSNR과는 그 의미가 조금 다른 측면이 있다. 즉, 원본 이미지로부터 생성된 대상 이미지가 현저히 떨어질 경우, PSNR은 매우 낮은 값을 보이지만 품질이 떨어지더라도 유사도 측면에서 본다면 두 영상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게 나와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Lee 등이 제안한 MSB 비교 함수를 수정한 후, ICOR함수를 제안하였으며, 이 함수를 이용하여 두 이미지의 상관관계 판단에 적용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대수적 특성을 고려한 벡터 유사도 측정 함수의 고찰 (Survey on Vector Similarity Measures : Focusing on Algebraic Characteristics)

  • 이동주;심준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09-219
    • /
    • 2012
  • 전자 상거래 시스템 환경에서 상품, 상품평, 사용자 특성 등은 주요한 정보 객체이다. 벡터는 객체의 표현기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자 상거래 데이터 객체들은 벡터로서 모델되어 각 특질에 해당하는 차원의 숫자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전자 상거래의 특성상 이러한 객체들은 방대한 분량이 되고 있고, 이중 여러 객체들은 실제로 같거나 유사한 객체일 수 있다. 따라서 객체간 유사도 측정은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벡터 객체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유사도 측정 함수들을 고찰한다. 유사 함수들은 각각의 대수적 특성을 가지고 있고 서로 연결된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특성을 분석하고 또한 유사 함수들을 분류해 본다. 이러한 과정은 표준 벡터 유사도 함수가 가져야 할 대수적 특성을 제시해준다.

함수 변환 모델링에 의한 XML 문서의 유사성 비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XML Document Similarity based on Function Modeling)

  • 이호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C)
    • /
    • pp.58-60
    • /
    • 2006
  • 근래에 XML 문서가 인터넷에서 정보 교환의 방법으로 표준화됨에 따라, 많은 양의 데이터가 XML 문서 포맷으로 저장되고 있다. XML 문서의 유사성 연구는 크게 edit-distance를 이용하는 방법, 문서의 그래프 모델을 이용하는 방법, 문서의 매트릭스 모델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최근에는 문서를 encoding 하고 푸리에 변환을 이용하는 방법이 보고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XML 문서를 함수로 변환하여 모델링하여 문서의 구조적 유사성을 비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여 XML 문서를 함수로 모델링하였으며 XML 문서 간의 유사성을 비교해 보았다.

  • PDF

함수 변환과 FFT에 의한 XML 문서의 구조 비교 (XML Document Structure Comparison based on Function Transform and FFT)

  • 이호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C)
    • /
    • pp.28-30
    • /
    • 2006
  • XML 문서의 유사성을 비교하는 연구는 XML 문서의 저장 및 검색에 유용하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XML 문서의 유사성 연구는 크게 edit-distance를 이용하는 방법, 문서의 그래프 모델을 이용하는 방법, 문서의 매트릭스 모델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최근에는 문서를 encoding 하고 푸리에 변환을 이용하는 방법이 보고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XML 문서를 함수로 변환하고 FFT를 적용하여 문서의 구조적 유사성을 비교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JAXP로 구현하였으며 XML 문서의 구조를 분석하여 함수로 변환하였다. 그리고 함수에 FFT를 적용하여 XML 문서의 구조적 유사성을 비교하였다. FFT 비교 결과는 XML 문서의 함수 변환이 적합한 것임을 보여주었으며 비교 결과는 예상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 PDF

로그 목적함수의 유사 헤시안을 이용한 라플라스 영역 파형 역산과 레벤버그-마쿼트 알고리듬 (Laplace-domain Waveform Inversion using the Pseudo-Hessian of the Logarithmic Objective Function and the Levenberg-Marquardt Algorithm)

  • 하완수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2권4호
    • /
    • pp.195-201
    • /
    • 2019
  • 파형 역산에 사용하는 로그 목적함수는 관측 자료와 모델링 자료의 로그값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목적함수이다. 라플라스 영역 파형 역산에서는 주로 로그 목적함수와 유사 헤시안의 대각 성분을 이용하여 최적화를 수행한다. 이 때 유사 헤시안의 대각 성분이 0 또는 0에 가까운 값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 레벤버그-마쿼트 알고리듬을 적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로그 목적함수의 유사 헤시안의 대각 성분을 분석하여 음향파 라플라스 영역 파형 역산에서는 유사 헤시안의 대각 성분이 0 또는 0에 가까운 값을 가지지 않음을 보였다. 따라서 로그 목적함수의 유사 헤시안을 이용한 경사 방향 정규화시 레벤버그-마쿼트 알고리듬을 적용할 필요가 없다. 수치 예제에서 인공합성 자료와 현장 자료를 이용해 레벤버그-마쿼트 기법 없이도 역산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였다.

CBR을 위한 FCM 기반 퍼지 소속 함수 결정 방법 (Decision Method of Fuzzy Membership Function based on FCM for CBR)

  • 연지현;김은주;이일병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2)
    • /
    • pp.15-17
    • /
    • 1999
  • 사례 기반 추론(Case-Based Reasoning)은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사한 기존 문제를 추출하여 그 해결과정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기존의 문제와의 유사성을 얼마만큼 잘 판별하는가가 매우 중요한 관건이다. 연구된 유사성 판단 방법으로는 퍼지 소속 함수(Fuzzy membership function)를 이용하여 사례마다 각 클래스에 대한 소속 함수 값을 주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퍼지 소속 함수를 어떻게 주는가에 따라 성능이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적당한 퍼지 소속 함수를 주기 위하여 Fuzzy C-Means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각 클래스에 대한 소속 함수 값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좀 더 전체적인 데이터 분포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 PDF

크로마 레벨 표현, 동적 시간 왜곡, 꺾인 거리함수에 기반한 멜로디 사이의 유사도 개발 (Development of melody similarity based on chroma representation, dynamic time warping, and hinge distance)

  • 장달원;박성주;장세진;이석필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1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58-260
    • /
    • 2011
  • 이 논문에서는 쿼리-바이-싱잉/허밍 (Query-by-singing/humming, QbSH) 시스템 또는 커버 노래 인식 (cover song identification)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멜로디 유사도를 제안한다. QbSH 또는 커버 노래 인식은 디지털 음악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음악 검색의 방법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멜로디 유사도는 이런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며, 두 개의 음악에서 멜로디가 추출되었다고 가정하고, 추출된 멜로디 사이의 유사한 정도를 수치로 표현한다. QbSh 시스템이나 커버 노래 인식 시스템은 멜로디 유사도에 기반하여 입력 노래와 유사한 노래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멜로디 유사도 방식은 기존의 많이 연구되던 동적 시간 왜곡 (dynamic time warping, DTW) 방법과 크로마 표현 방법 (chroma representation)을 사용하였다. DTW방법은 비대칭적으로 사용하고 미디 노트 영역에서 표현된 멜로디 특징은 0이상 12 미만의 크로마 레벨로 표현하였다. 기존의 방법에서는 정수값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이 논문에서는 실수값을 사용한다. DTW 에 사용하는 거리 함수를 기존에 사용하던 차이의 절대값 대신 꺾인 함수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성능을 높였다. QbSH 시스템에서의 실험을 통해서 성능을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10-12초 길이의 1000번의 쿼리(Query)에 대해서 28시간 정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실험한 결과, 순위 역의 평균 (Mean reciprocal rank, MRR) 값이 0.713을 보였다.

  • PDF

웹상의 이질적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복합 추정 방법 (Hybrid Estimation Method for Selecting Heterogeneous Image Databases on the Web)

  • 김덕환;이석룡;정진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0권5호
    • /
    • pp.464-475
    • /
    • 2003
  • 웹상의 이미지 데이타베이스들은 자치성과 이질성이라는 두 가지 다른 특성을 갖고 있다. 즉 독립적으로 만들어지고 유지되며 질의 처리 방법이 서로 다르다. 분산된 이미지 데이타베이스들에 대한 내용기반 검색에서, 메타 서버의 유사성 측정함수에 대하여 서로 다른 지역 유사성 측정 함수를 갖는 데이터베이스들로부터 주어진 질의 객체와 유사한 객체들을 찾는 능력을 갖는 것은 중요하다. 현재까지, 동일한 유사성 측정 함수들을 사용하는 이미지 데이타베이스들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이미지 데이타베이스들이 다른 유사성 측정함수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웹상의 많은 이질적인 이미지 데이타베이스들 중 질의에 유사한 객체들을 보다 많이 가지고 있는 데이타베이스들을 찾는 문제를 다룬다. 데이타베이스들의 순위는 이미지 데이타베이스들의 압축된 히스토그램 정보와 적은 수의 표본 객체들을 사용하는 복합 추정에 기반을 두고 있다. 구형 영역 질의에 대한 선택률을 추정하기 위하여 히스토그램 정보를 사용하며, 유사성 측정 함수의 차이로 인한 선택률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표본 객체들을 이용한다. 많은 수의 이미지 데이타에 대한 상세한 실험은 제안된 방법이 이질적인 분산 환경에서 효율적임을 보여준다.

그리드 시스템에서 그룹유사함수를 이용한 확장성 있는 자원공유 (Scalable Resource Sharing using Group Similarity Function in Grid System)

  • 마테오 로미오;이재완;이말례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73-83
    • /
    • 2010
  • 그리드 시스템에서의 확장성은 점증하고 있는 그리드 이용자를 수용하기 위해 효율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그리드환경에서 확장성 가상조직(SVO: Scalable Virtual Organization)을 사용하여 VO들 간의 확장형 자원 공유 기법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그리드 구조는 SVO를 관리하기 위한 그리드 시스템의 표준 서비스들로 구성되며, 통합할 VO들을 선택하기 위해, VO들 간의 유사도를 결정하는 데 사용하는 그룹 유사함수를 제시한다. 다른 유사 함수들을 제시한 기법(GSF)과 비교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SVO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변량 반복측정자료에서 가중일치상관계수의 추정

  • 강보경;김규성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61-266
    • /
    • 2000
  • 이변량 반복측정자료에서 Chinchilli 등(1996)이 제안한 가중일치상관계수는 두 변수의 일치성을 나타내는 측도이다. 기존에 제안된 가중일치상관계수 추정법은 변동효과 및 측정오차의 분산성분을 각각 최소제곱법으로 비편향 추정하여 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반복측정자료의 주변 우도함수를 설정한 후, 우도함수에 기초한 분산성분을 구하여 가중일치상관계수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때, 각 분산성분은 유사/의사 우도함수 및 사후 분포에서 반복시행을 통하여 구해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