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사도 측정

Search Result 5,601,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Development of a Surrogate Technology Load Based upon Horizontal ADCP for Continuous Estimation of Suspended Sediment (횡방향 ADCP기반 연속적 부유사량 측정 방법의 대안 기술 개발)

  • Son, Geunsoo;Kim, Dongsu;Roh, Young S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7-47
    • /
    • 2020
  • 하천 유사량 자료는 하천관리를 위해 기초적으로 활용되는 자료로 하천의 유지관리를 위한 유사량 자료의 측정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현재 국내에서는 전국에 138개소의 국가유사량관측망에서 지속적인 유사량 측정을 수행하고 있지만, 기존의 재래식 부유사 채집기를 이용한 부유사 측정을 수행하고 있어 연간 약 20개소 내외에서만 직접조사가 수행되고 있고, 2019년도 기준 전국 138개소 중에서 2006년~2018년 동안 최소 1회 이상 유사량 측정을 수행한 지점은 40개소로 국가 유사량관측망의 약 29% 지점에 대해서만 조사가 수행되고 있다. 해외의 경우에도 기존 재래식 채집기를 통한 유사량 관측을 주로 수행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기존 채집기를 이용한 유사량 조사방법의 고비용·저효율로 인한 시공간적 한계로 인해 대안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 해외에서는 ADCP를 활용한 유사량 측정 기술이 기존 부유사 채집기를 이용한 유사량 조사방법의 대안으로 시도되고 있다. ADCP를 이용한 유사량 측정방법은 ADCP의 초음파산란도를 활용하여 간접적으로 부유사의 농도를 추정하는 기술로 ADCP를 이용하여 유량자료과 함께 유사량 자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기술이다. 특히, 기존에 설치된 국가하천 자동유량측정장치(H-ADCP)에 적용이 가능하다면 다지점에서의 지속적인 유량측정과 함께 부유사 농도의 측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국가하천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유량측정장치(H-ADCP)의 초음파산란도를 활용한 부유사농도 측정 기술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적용성의 검토를 위해 2016년 진동지점에서 수집된 H-ADCP 원시자료를 사용하여 초음파산란도를 활용한 부유사농도 측정 방법을 시범적으로 적용하였다. 적용결과, 실측 부유사농도와 H-ADCP로부터 추정된 부유사 농도를 비교를 통해서 H-ADCP를 활용한 부유사농도 측정 방법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기술적인 보완 및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추후에는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ADCP 유사량 측정기술이 개발된다면 기존 부유사 채집기를 이용한 유사량 측정 방법의 대안으로 유사량 조사를 목적으로 활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Degree of Signature Similarity between Domain Model and Object Candidate Groups (영역 모델과 객체후보군의 유사도 측정에 관한 연구)

  • 박성옥;노경주;이문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522-524
    • /
    • 1999
  • 절차지향 소프트웨어를 객체지향 소프트웨어로 변환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프로그램을 변환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함수, 변수와 자료형들 간의 관계를 이용한다. 이들간의 관계성을 이용하면 결과로서 객체 후보가 생성된다. 생성된 객체 후보와 영역 전문가에 의하여 생성된 영역 모델을 비교하여 두 모델간의 유사성을 측정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클래스의 시그너처(클래스 이름, 속성의 이름, 속성의 자료형, 메소드 이름, 메소드의 리턴형, 메소드 파라미터의 자료형)을 이용하여 클래스와 객체 후보의 유사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유사도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객체 후보군의 유사도를 측정한다. 기존의 연구 방법과는 다르게 n개의 클래스와 m개의 객체 후보사이의 구문적 측면의 유사도 측정뿐만이 아니라 의미적 측면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최적합 객체 후보군을 추출하도록 하였다.

  • PDF

Similar Trajectory Clustering on Road Networks (도로 네트워크에서의 유사 궤적 클러스터링)

  • Baek, Ji-Haeng;Won, Jung-Im;Kim, Sa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c
    • /
    • pp.256-26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도로 네트워크내의 이동 객체들을 대상으로 하는 효과적인 유사 궤적 검색 및 클러스터링 기법에 대하여 논한다. 이동 객체들 간의 유사도 측정을 위한 기존의 기법들은 대부분 유클리디안 공간 상의 궤적들을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실제 응용에서 대부분의 이동 객체들은 도로 네트워크 공간 상에 존재하므로, 이러한 실제 상황을 반영하는 유사도 측정 방식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각 이동 객체가 시간에 따라 지나간 도로 세그먼트들의 리스트를 궤적이라 정의하고, 이렇게 정의된 궤적들을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유사도 측정 함수를 제안한다. 제안된 유사도 측정 함수는 궤적을 이루는 도로 세그먼트의 길이와 식별자 정보를 이용한다. 제안된 유사도 측정 함수에 의하여 측정된 각 궤적 쌍 간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전체 궤적들을 FastMap을 이용하여 k차원 공간상의 점들로 사상하고, 이들을 k-medoids 방식을 이용하여 클러스터링 한다. 구성된 클러스터와 연관된 사용자 정보, 도로 정보 등을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활용 예를 제시함으로써 제안된 기법이 실제 응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A Sequence Similarity Algorithm Irrelevant to Sequence Length (서열의 길이에 무관한 유사도 측정 알고리즘)

  • Kim, Jae-Kwang;Lee, Jee-H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8.04a
    • /
    • pp.13-16
    • /
    • 2008
  • Dynamic Programming (DP)을 이용한 서열 비교 알고리즘은 DNA, RNA, 단백질 서열의 비교와 프로그래밍 소스 코드 유사도를 측정하는 곳 등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 알고리즘은 DP를 이용하여 행렬을 구성한 후, 행렬의 가장 마지막 생성 값을 이용해 두 서열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알고리즘에서 사용하는 마지막 생성 값은 비교 서열이 길이에 따라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다양한 서열들의 유사도를 알아내기에는 부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서열의 길이에 무관한 유사도 측정 (S2)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비교 서열의 길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당한 서열 비교를 할 수 있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검증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램 소스 코드의 유사도 측정을 수행한다.

  • PDF

Hand Gesture Recognition Using Shape Similarity Based On Feature Points Of Contour (윤곽선 특징점 기반 형태 유사도를 이용한 손동작 인식)

  • Yi, Hong-Ryoul;Choi, Chang;Kim, Pan-K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5a
    • /
    • pp.585-588
    • /
    • 2008
  • This paper proposes hand gesture recognition using shape similarity method. For this, we require two steps which are aquisition of Hand area and similarity evaluation. First step is extracting hand area using YCbCr color spare. Then eliminate noise through filter and analyzing histogram. For doing this, we ran measure similarity of hand gesture by applying TSR after getting contour. Finally, we utilize shape similarity for recognizing of hand gesture.

  • PDF

A Research of Documents Similarity Measuring Based on Word Weight (단어가중치 기반 문서간 유사도 측정에 관한 연구)

  • 김혜숙;박상철;김수형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198-201
    • /
    • 2003
  •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정확히 분석하여 효과적으로 개발 단계에 적용하기 위해 문서간의 의존성, 즉 상·하위 문서간의 연계성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절실한데 이를 위해 적게는 두 용어가 얼마나 밀접한 관련이 있는가를 나타내는 용어간의 유사도 정보가 중요시된다. 이에 본 논문은 임의의 두 문서에 대한 다양한 유사도 측정방법을 통하여 최적의 유사도를 알아보고 두 문서간 유사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Neural Network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유사도 측정과 검증 방법은 분산환경에서 입력되는 요구사항 문서들을 효율적으로 분류, 관리해 줄 수 있으며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과 전체 Project 수행에 좋은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 PDF

Sentence Interaction-based Document Similarity Models for News Clustering (뉴스 클러스터링을 위한 문장 간 상호 작용 기반 문서 쌍 유사도 측정 모델들)

  • Choi, Seonghwan;Son, Donghyun;Lee, Hocha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401-407
    • /
    • 2020
  • 뉴스 클러스터링에서 두 문서 간의 유사도는 클러스터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전통적인 단어 기반 접근 방법인 TF-IDF 벡터 유사도는 문서 간의 의미적인 유사도를 반영하지 못하고, 기존 딥러닝 기반 접근 방법인 시퀀스 유사도 측정 모델은 문서 단위에서 나타나는 긴 문맥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뉴스 클러스터링에 적합한 문서 쌍 유사도 모델을 구성하기 위하여 문서 쌍에서 생성되는 다수의 문장 표현들 간의 유사도 정보를 종합하여 전체 문서 쌍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네 가지 유사도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 접근 방법들은 하나의 벡터로 전체 문서 표현을 압축하는 HAN (hierarchical attention network)와 같은 접근 방법에 비해 두 문서에서 나타나는 문장들 간의 직접적인 유사도를 통해서 전체 문서 쌍의 유사도를 추정한다. 그리고 기존 접근 방법들인 SVM과 HAN과 제안하는 네 가지 유사도 모델을 통해서 두 문서 쌍 간의 유사도 측정 실험을 하였고, 두 가지 접근 방법에서 기존 접근 방법들보다 높은 성능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래프 기반 접근 방법과 유사한 성능을 보이지만 더 효율적으로 문서 유사도를 측정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Practical Datasets for Similarity Measures and Their Threshold Values (유사도 측정 데이터 셋과 쓰레숄드)

  • Yang, Byoungju;Shim, Junho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8 no.1
    • /
    • pp.97-105
    • /
    • 2013
  • In the e-business domain where data objects are quantitatively large, measuring similarity to find the same or similar objects is important. It basically requires comparing and computing the features of objects in pairs, and therefore takes longer time as the amount of data becomes bigger. Recent studies have shown various algorithms to efficiently perform it. Most of them show their performance superiority by empirical tests over some sets of data.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ose data sets, present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ful threshold values that each of data sets contain in nature. The analysis on practical data sets with respect to their threshold values may serve as a referential baseline to the future experiments of newly developed algorithms.

Characteristic Analysis and Rating Development of Suspended Sediment Discharge in 2014 (2014년도 부유사량 특성분석 및 레이팅 개발)

  • Park, Yonghee;Lee, Jung Hoon;Kwon, Dongseok;Lee, YeonKil;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11-316
    • /
    • 2015
  • 하천 유사량 자료는 하천의 이 치수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본 자료중 하나로서 하상변동 예측, 저수지 퇴사량 추정, 하도 계획과 설계, 유사조절 계획 수립 및 기타 구조물 등의 영향 평가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정도 높은 유사량 자료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현장측정부터 분석까지 정확한 과정과 세밀한 준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도 높은 유사량 자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국가 유사량 관측망 중 19개 지점(율극, 점촌, 일선교, 구미, 왜관, 선산, 죽고, 진동, 개진2, 정암, 회덕, 마륵, 나주, 학교, 남평, 영수, 선암, 구례2, 죽곡, 용서, 곡성)에 대하여 부유사량 특성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반영하여 유량-부유사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였다. 유사량 측정과정은 사전조사, 현장측정, 실험실분석, 모형적용 단계를 거친다. 사전조사 단계에서는 현장에 대한 현장안전, 지점특성 등의 현장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현장측정 계획을 수립한다. 현장측정 단계에서는 사전에 유량측정 자료를 이용하여 측선을 나누는 등유량법과 등간격법을 사용하였으며, ISO 기준 이상의 5~8개 측선을 나누어 측정하였다. 측정장비는 D-74 부유사 채취기를 이용하여 왕복수심적분법으로 부유사량 샘플을 채취 하였다. 실험실분석은 유량조사사업단 유사분석센터에서 채취 시료에 대한 농도, 레이저 회절법을 이용한 부유사입도분석, 하상토분석(체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량-부유사량 농도 변화양상과 부유사량 특성분석을 이용한 부유사량 측정결과를 평가하였고 각 지점의 부유사량특성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지수식($Q_{ss}=aQ^b$)을 이용하여 유량-부유사량관 계곡선식을 개발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A Plagiarism Detecting System with Sentence and Syntactic Word Similarities (문장 및 어절 유사도를 이용한 표절 탐지 시스템 구현)

  • Maeng, Joosoo;Park, Ji Su;Shon, Jin Gon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8 no.3
    • /
    • pp.109-114
    • /
    • 2019
  • The similarity detecting method that is basically used in most plagiarism detecting systems is to use the frequency of shared words based on morphological analysis. However, this method has limitations on detecting accurate degree of similarity, especially when similar words concerning the same topics are used, sentences are partially separately excerpted, or postpositions and endings of words are similar.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we have designed and implemented a plagiarism detecting system that provides more reliable similarity information by measuring sentence similarity and syntactic word similarity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word similarity. We have carried out a comparison of on our system with a conventional system using only word similarity. The comparative experiment has shown that our system can detect plagiarized document that the conventional system can detect or cann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