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변학적 특성

Search Result 28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Thermal and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raffin Based Fuel on Aluminum Particle Size for Hybrid Rocket Application (하이브리드 로켓용 파라핀/알루미늄 연료의 알루미늄 입자크기에 따른 열적·유변학적 특성 연구)

  • Han, Seongjoo;Kim, Jinkon;Moon, Heejang;Kim, Junhyung;Ko, Se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22 no.2
    • /
    • pp.108-114
    • /
    • 2018
  • In this study, the thermal and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10 wt.% addition of aluminum particles and the effect of the particle size were investigated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paraffin fuel entrainment regression rat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addition of aluminum particles and their relative particle size affected the rheologic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the thermal characteristics.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variation of thermal properties had a minor effect on the entrainment regression rate, in comparison to the variation in rheological properties.

Time-Dependence of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Concentrated PVA Solution in DMSO (고농도 폴리비닐 알코올/디메틸 설폭사이드 용액의 유변학적 특성의 시간의존성)

  • 김남희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9 no.3
    • /
    • pp.118-123
    • /
    • 1997
  • 검화도와 분자량이 상이한 폴리비닐 알코올을 디멜틸 설폭사이드에 녹여 폴리비닐 알코올/디멜틸 설폭사이드 용액을 준비하고 동적 유변학적 특성에 대한 시간과 온도 의존성 을 고찰하였다. 고농도 폴리비닐 알코올 용액의 유변학적 특성은 시간 의존성을 보여주었다. 복합점도와 저장탄성률은 시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저장 탄성률과 손실탄성률의 그래 프에서 저장탄성률은 신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기울기는 시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저 장탄성률과 손실탄성률의 그래프에서 저장탄성률은 시간에따라 증가하였으나 기울기는 시간 에 따라 감소하였다. 유변학적 특성의 시간 의존성은 분자량이 높을수록, 측정온도가 높을수 록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 PDF

Slurry Rheology in LTCC Tape Casting (LTCC Tape casting에서 슬러리의 Rheology)

  • Park, Zee-Hoon;Shin, Hyo-Soon;Yeo, Dong-Hun;Park, Byu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7.06a
    • /
    • pp.43-43
    • /
    • 2007
  • LTCC는 최근의 이동 통신 환경의 급격한 발전 속에 그 응용 및 특성 요구가 증폭되고 있다. 이러한 LTCC 소재는 주로 테이프 캐스팅에 의한 후막 공정으로 제품이 만들어지게 되는데, 캐스팅을 위해 제조되는 슬러리는 일반적으로 유변학적 의사가소성 거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슬러리 제조 조건에 따라 유변학적 거동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에, 슬러리 제조 조건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며, 유변학적 거동을 살며 보고 이렇게 변화된 유변학적 거동과 캐스팅된 시트 특성과의 관계를 검토해 보려 한다. LTCC 재료의 주 구성 요소인 glass와 세라믹 분말의 초기 조건 및 각각의 rheology 특성과 혼합 슬러리에서의 관계성 등을 고찰하려 한다.

  • PDF

Improved Measurements of the Rheological Property of Cement Paste using Plate/Plate and Truncated cone/Plate Sensors (Plate/Plate, Truncated Cone/Plate 센서를 이용한 시멘트반죽 유변학적 특성에 대한 개선된 측정)

  • 민병현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7 no.1
    • /
    • pp.10-18
    • /
    • 1995
  • Plate/plate 및 Truncated cone/plate 감지부를 이용한 시멘트반죽의 유변학적 특성 을 측정함에 있어 관련된 오차에 대한 실험 및 이론적 분석이 보고된다. 주요인자로는 감지 부 직경과 상하 감지부 사이의 간격이 고려되었다. Cone/plate 감지부의 원추끝을 깍아 간 격의 크기를 늘린 Truncated cone/plate 감지부의 토르크 분포에 대한 이론적 분석결과 원 추 간격이 0.7mm 까지 절단되더라도 8.5%의 오차범위내에서는 cone/plate 감지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결과는 샘플주변의 상대습도가 결과에 영향을 끼치고 감지 부의 기하학적 요인에도 매우 민감함을 보여준다. 이결과는 정지시간을 포함한 오랜실험기 간동안 미소변형하에서 유변학적 특성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f The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PIM Feedstocks at Low Shear Rate (낮은 전단율에서 분말사출재의 유변학적 특성에 관한연구)

  • 이병옥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9 no.3
    • /
    • pp.124-131
    • /
    • 1997
  • 스테인레스 강(SUS 316L) 분말과 왁스계 결합제를 혼합하여 제조한 분말사출재의 유변학적 특성을 낮은 전단율에서 측정하기 위해 동심원반식 점성측정기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측정기 벽면에서 발생하는 벽면 슬립(Slip)을 확인하고 벽면 슬립을 보정하기 위하여 두가지의 원반 간격에서 측정된 실험 자료를 이용하여 벽면 슬립을 보정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실험 중, 측정 전단율범위를 제한하는 Thixotropy 현상을 발견학고 이에대한 원인분석을 위한 실험을 진행한 결과 과도한 전단응력에 의해서 분말사출재로부터 분리되어 나온 슬립층이 내부로 빠르게 흡수되어 들어가지 못하고 잔류하면서 Thixotropy 현상을 발 생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xotropy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를 조사한후, 제한된 범위내에서 분말사출재의 유변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항복응력을 지니는 유체의 특성을 표현하는 Bingham 식의 변형식에 잘 근사 되었으며, 슬립속도를 실험결과로 부터 계산한 결과 전단응력에 따라 선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는 점과 항복응력의 존재를 정성적으로 보여주는 결과를 얻었다.

  • PDF

Characteristics of food rheology and the research trends in Korea (식품유변학의 특성과 국내 연구동향)

  • 이철호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9 no.2
    • /
    • pp.47-52
    • /
    • 1997
  • 식품유변학은 식품재료로 사용하는 생물체와 세포내외의 생체고분자물질의 물성을 주로 대상으로 하는 학문영역이다. 이들 물질들의 가공적성을 평가하고 공정관리를 수행하 기 위하여 점성, 소성, 점탄성 등유변학적 파라메터들이 사용된다. 또한 제춤의 관능적, 특성 특히 조직감(texture)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유변학적 성질들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식품 유변학의 특징가 발전역사를 개관하고 1990년도 이후 국내에서 연구 발표된 식품유변학 분야의 연구내용을 액상식품, 젤화식품, 식물세포조직으로 구분하여 소개하였다.

  • PDF

Rheological Study on the die Swell of a Suspension (현탁액의 Die Swell 현상에 대한 유변학적 연구)

  • 김동표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3 no.2
    • /
    • pp.117-123
    • /
    • 1991
  • 현탁액에 대한 기본적인 유변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입자의 부피분율에 따른 점도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현탁액의 Die Swell 현상에 대해 실험적으로 규명하였다. 뉴톤성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입자의 부피 분율에 따른 점도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현탁액의 Die Swell 현상에 대해 실험적으로 규명하였다. 뉴톤성 특성을 갖는 Silicone 오일을 현탁 매질 로 사용하였고 미세한 유리 구슬이 filler로써 사용되었다. 현탁액의 점도는 Couette 점도계 와 모세관 점도계를 사용하였다. 관의 입구와 출구에 대한 보정을 위해서 Bagley의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중력으로 인한 Swell의 감소효과를 제거하기 위해서 분사 유체와 유사한 밀 도를 지니며 분사 유체와 섞이지 않는 유체를 담은 부력용기가 사용되었다. Die Swell 현상 은 사진을 찍고 이를 정밀한 확대경을 통해 관찰함으로써 수치적으로 값을 얻었다.

  • PDF

A Study of Rheological Properties on Thermoinitiated Cationic Catalyst/DGEBA Curing System (DGEBA계 에폭시 수지의 양이온 열 개시 반응에 의한 유변학적 특성연구)

  • 이재락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10 no.2
    • /
    • pp.92-97
    • /
    • 1998
  • 열잠재성 경화제인 N-benzylpyrazinium hexafluoroantimonate (BPH)를 이용하여 함 량에 따른 DGEBA계 에폭시 수지의 경화반응에서의 유변학적 특서 및 반응속도를 연구하 였다. 경화시의 활성화 에너지를 Barrett 방법을 이용한 동적 DSC 측정방법으로 조사 하였 다. DSC 실험 결과 BPH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활성화 에너지는 감소함을 알수 있었다. Rheomter를 이용하여 DGEBA/BPH 계의 유변학적 특성을 등온경화와 tdmdhsrud화 조건하 에서 살펴보았다. BPH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겔화점 도달시간 빠르게 나타나는데 이는 낮아진 활성화 에너지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 damping 피크를 이용하여 유리 화점을 측정하여 Time-Temperature-Transformation (T-T-T) cure diagram을 작성한 결 과 열잠재성 경화제의 특성인 일정온도 이상에서 활성이 나타남을 확인할수있었다.

  • PDF

Studies on the Draw Resonance in the Melt Spinning of polypropylene/Polyethylene Blends -Rheological Properties and Draw Resonance of Polypropylene/Polyethylene Blends -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혼합물의 용융방사에 있어서 연신공명에 관한 연구 -폴리 프로필렌/폴리에틸렌 혼합물의 유변학적 특성과 연신공명 -)

  • 김상용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4 no.2
    • /
    • pp.148-160
    • /
    • 1992
  •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에틸렌(PE)혼합물의 용융방사에 있어서 불안정성을 연구하 였으며 혼합물의 유변학적 성질, 혼합물의 형태학적 특성과 연신공명과의 관계를 고찰한 것 이다. 신장점도는 spinline rhe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섬유직경은 광센서를 이용하여 방사공정에서 on-line 측정하였고 연신공명의 주기는 Fourier 변환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P와 PE혼합물의 용융방사에 있어서 PP 함유량이 많을수록 연신공명이 발생하는 임계연신 비가 줄어들고 그 주기는 길어진다. 정상상태에서 구한 유변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Shah와 Pearson의 이론식과 Fisher와 Denn의 이론식으로부터 구한 임계연신비값이 실험치와 많은 차이를 보여주었다. 연신공명에 의하여 형성된 섬유의 가는 부분의 배향도는 굵은 부분에 비하여 크게 향상되었으며 PP 함유량이 많을수록 배향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 PDF

입자 분산 PIB용액에 대한 막대상승 및 유변학적 물성

  • 임성택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9 no.1
    • /
    • pp.40-46
    • /
    • 1997
  • 폴리이소부틸렌(PIB)/폴리부텐(PB) 고분자 용액에 분산된 입자의 영향을 살펴보기위 해 제조된 kaolinite/PIB/PB 용액에 대한 Weissenberg 효과와 유변학적 물성을 조사하였다. Kaolinite 분산 PIB/PB 고분자 용액도 2차 유체로 간주될수 있음이 발견되었으며 느린 변형 속도에서 2차유체로 간주되는 입자 분산 고분자 용액에 대한 막대상승 실험에서 얻는 고분 자 용액의 탄성 발현에 의한 상승높이에 비례하는 막대오름상수 $\beta$값으로부터 유변학적 특 서치들을 구할수 있었다. 이러한 막대오름상수 $\beta$값은 PIB/PB 및 kaolinite/PIB/PB계에서 용매 점도, 입자 농도와 PIB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반면 온도에는 반비례함을 보이는 데 고분자 용융체에서와는 달리 입자 분산고분자 용액의 경우 입자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탄성도 증가하는 특징적 거동을 관찰하였다. 한편 Physica MC-120과 RMS 800 Rheometer 를 사용하여 PIB 고분자 용액의 유변학적 물성들을 측정하였으며 2차 유체 구성방정식에 근거하여 얻어지는 유변학적 특성치들과 비교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