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변학적 거동

Search Result 124, Processing Time 0.095 seconds

Rheological Behaviors of Concentrated Silica Particle Suspensionsprepared by Sol-Gel Method (솔젤법으로 제조된 고농도 실리카 입자 분산계의 유변학적 거동)

  • 양승만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10 no.1
    • /
    • pp.24-30
    • /
    • 1998
  • 솔젤법을 이용하여 단분산의 실리카 입자를 제조하고 농도변화에 따른 실리카 분산 액의 유변학적 거동을 해석하였다. 단분산 실리카 입자의 제조는 솔젤법을 이용한 액상반으 으로 제조하였고 입자의 안정화를 위하여 입자표면에 실란커플링제를 코팅하여 유기용매에 서 안정성을 갖도록 하였다. 분산액의 농도에 따른 유변학적 거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부피 분율( )이 0.05인 희박 분산계로부터 =0.55의 고농도 분산계를 제조하였다. 솔젤법을 통하 여 단분산 실리카 입자를 성공적으로 제조하였으며 실란커플링제인 ${\gamma}$-methacryloxypropyl triethoxysilane로 입자의 표면을 화학적 방법으로 처리하여 유기용매 상에서 알킬기의 작용 에 의한 hard-sphere'특성을 나타내도록 하였으며 동시에 분산안정성을 유지할수 있었다. 입자 분산계는 =0.25이하의 부피농도에서는 분산용매와 같은 뉴톤거동을 보여주었으며 이 이이상의 농도에서는 비뉴톤거동인 전단담화(shear thinning)현상과 high shear limiting viscosity를 나타내었다. 이결과는 Krieger-Dougherty 식을 따름이 확인되었으며 부피분율 =0.50정도까지도 이식이 잘적용됨을 확인하였다. 부피분율 =0.50 이상의 고농도 입자 분산계 는 급격한 점도의 증가와 함께 전단담화와 전단탁화(shear thickening)현상이 모두 관찰되었 다. 특히 전단탁화를 일으키는 특헝전단변형률(cr)이하의 전단변형률에서는 안정되고 빠른 점성반응(viscous response)을 보여주었으나 특성 전단변형률 부근과 이상의 전단변형률 영 역에서는 매우 불안한 거동이 보여짐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점도 거동은 가역적이며 전단변형률을 증가시킬때와 감소시킬 때의 유변학적 거동이 거의 일치하였다.

  • PDF

Slurry Rheology in LTCC Tape Casting (LTCC Tape casting에서 슬러리의 Rheology)

  • Park, Zee-Hoon;Shin, Hyo-Soon;Yeo, Dong-Hun;Park, Byu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7.06a
    • /
    • pp.43-43
    • /
    • 2007
  • LTCC는 최근의 이동 통신 환경의 급격한 발전 속에 그 응용 및 특성 요구가 증폭되고 있다. 이러한 LTCC 소재는 주로 테이프 캐스팅에 의한 후막 공정으로 제품이 만들어지게 되는데, 캐스팅을 위해 제조되는 슬러리는 일반적으로 유변학적 의사가소성 거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슬러리 제조 조건에 따라 유변학적 거동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에, 슬러리 제조 조건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며, 유변학적 거동을 살며 보고 이렇게 변화된 유변학적 거동과 캐스팅된 시트 특성과의 관계를 검토해 보려 한다. LTCC 재료의 주 구성 요소인 glass와 세라믹 분말의 초기 조건 및 각각의 rheology 특성과 혼합 슬러리에서의 관계성 등을 고찰하려 한다.

  • PDF

A Rheological Study on Creep Behavior of Clays (점토(粘土)의 Creep 거동(擧動)에 관한 유변학적(流變學的) 연구(研究))

  • Lee, Chong Kue;Chung, In J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 no.1
    • /
    • pp.53-68
    • /
    • 1981
  • Most clays under sustained load exhibit time-dependent deformation because of creep movement of soil particles and many investigators have attempted to relate their findings to the creep behavior of natural ground and to the long-term stability of slopes. Since the creep behavior of clays may assume a variety of forms depending on such factors as soil plasticity, activity and water content, it is difficult and complicated to analyse the creep behavior of clays. Rheological models composed of linear springs in combination with linear or nonlinear dashpots and sliders, are generally used for the mathematical description of the time-dependent behavior of soils. Most rheological models, however, have been proposed to simulate the behavior of secondary compression for saturated clays and few definitive data exist that can evaluate the behavior of non-saturated clays under the action of sustained stress. The clays change gradually from a solid state through plastic state to a liquid state with increasing water content, therefore, the rheological models also change. On the other hand, creep is time-dependent, and also the effect of thixotropy is time-function. Consequently, there may be certain correlations between creep behavior and the effects of thixotropy in compacted clays. In addition, the states of clay depend on water content and hence the height of the specimen under drained conditions. Futhermore, based on present and past studies, because immediate elastic deformation occurs instantly after the pressure increment without time-delayed behavior, the factor representing immediate elastic deformations in the rheological model is necessary. The investigation described in this paper, based on rheological model, is designed to identify the immediate elastic deformations and the effects of thixotropy and height of clay specimens with varing water content and stress level on creep deformations. For these purposes, the uniaxial drain-type creep tests were performed. Test results and data for three compacted clays have shown that a linear top spring is needed to account for immediate elastic deformations in the rheological model, and at lower water content below the visco-plastic limit, the effects of thixotropy and height of clay specimens can be represented by the proposed rheological model not considering the effects. Therefore, the rheological model does not necessitate the other factors representing these effects. On the other hand, at water content higher than the visco-plastic limit, although the state behavior of clays is visco-plastic or viscous flow at the beginning of the test, the state behavior, in the case of the lower height sample, does not represent the same behavior during the process of the test, because of rapid drainage. In these cases, the rheological model does not coincide with the model in the case of the higher specimens.

  • PDF

Effects of Interface on the Rheological Behaviors of PS/PP and EPDM/PP Polymer Blends (PS/PP와 EPDM/PP 블렌드의 유변학적 거동에 미치는 계면의 영향)

  • 이향목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10 no.1
    • /
    • pp.14-23
    • /
    • 1998
  • 비상용성 고분자 브렌드계인 PS/PP와 EPDM/PP의 유변학적 거동에 미치는 계면의 영향을 알아보았고 그실험 결과를 Park & Lee 모델과 비교하였다. PS/PP와 EPDM/PP 블 렌드계에서의 계면에 의한 전단응력과 법선 응력차에의 기여도는 $textsc{k}$와λ(1-$\mu$), 두 개의 변 수에 의해 잘설명되었다. 특히 계면의 탄성적인 효과와 관련있는 법선응력차 항이 전단 응 력 항보다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30PS/70PP 블렌드 조성에서는 블렌드의 유변학적 특성이 주로 연속상을 이루는 고분자의 의해 좌우된 반면에 50PS/50PP 블렌드조성에서는 계면에 의한 영향이 더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것은 50/50 블렌드 조성에서 계면의 넓이가 증가한 것과 관계 있다. 그러나 EPDM/PP 블렌드계에서 계면에 의한 응력 항들이 모두 PS/PP 블 렌드계의 그것보다 매우 큰 값을 가졌지만, 그 상대적인 비를 나타내는 $textsc{k}$값은 작았다. 이것 은 블렌드를 구성하고 있는 순수한 성분의 법선응력차 값의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또한 PS/PP 블렌드계에 대한 동적 계면장력을 Park & Lee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해 보았다.

  • PDF

A Rheological/Morphological Study on the Blends of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mers and Thermoplastic Polymers (열방성 액정고분자와 열가소성 고분자 블렌등의 유변학적/형구학적 연구)

  • 정병준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8 no.2
    • /
    • pp.92-102
    • /
    • 1996
  • 두 종류의 열방성 액정고분자와 세종류의 엔지니어링 고분자와의 블렌드들에 대해 유변학적/형구학적 연구를 한 결과 블렌드의 유동거동과 물성이현저히 다른 두 그룹으로 나 뉘어짐을 발견하였다. 즉 연속상의 조업온도가 분산상의 전이온도보다 높은 그룹A에 속하 는 블렌드의 전단점도/신장점도는 액정고분자를 첨가할수록 첨가할수록 감소하고 블렌드의 신장점도는 연속상의 그것처럼 신장변형률속도가 커질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분산상의 점도 가 연속상의 그것보다 작아서 분산상이 미세섬유구조의 형태로 존재하였다. 이와 대조적으 로 연속상의 조업온도가 액정고분자의 전이온도보다 낮은 그룹 B에 속하는 블렌드는 반대 의 거동을 보였고 분산상의 미세섬유구조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연신변형이 주가 되는 방사공정을 거치면 그룹A와 B블렌드 공히 분산상이 비슷한 미세섬유구조의 형태로 존재하 고 기계적 성질도 크게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블렌드내의 신장유동이 분산상의 섬 유구조형상에 결정적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 PDF

입자 분산 PIB용액에 대한 막대상승 및 유변학적 물성

  • 임성택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9 no.1
    • /
    • pp.40-46
    • /
    • 1997
  • 폴리이소부틸렌(PIB)/폴리부텐(PB) 고분자 용액에 분산된 입자의 영향을 살펴보기위 해 제조된 kaolinite/PIB/PB 용액에 대한 Weissenberg 효과와 유변학적 물성을 조사하였다. Kaolinite 분산 PIB/PB 고분자 용액도 2차 유체로 간주될수 있음이 발견되었으며 느린 변형 속도에서 2차유체로 간주되는 입자 분산 고분자 용액에 대한 막대상승 실험에서 얻는 고분 자 용액의 탄성 발현에 의한 상승높이에 비례하는 막대오름상수 $\beta$값으로부터 유변학적 특 서치들을 구할수 있었다. 이러한 막대오름상수 $\beta$값은 PIB/PB 및 kaolinite/PIB/PB계에서 용매 점도, 입자 농도와 PIB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반면 온도에는 반비례함을 보이는 데 고분자 용융체에서와는 달리 입자 분산고분자 용액의 경우 입자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탄성도 증가하는 특징적 거동을 관찰하였다. 한편 Physica MC-120과 RMS 800 Rheometer 를 사용하여 PIB 고분자 용액의 유변학적 물성들을 측정하였으며 2차 유체 구성방정식에 근거하여 얻어지는 유변학적 특성치들과 비교하였다.

  • PDF

Rheological Models for Describing Fine-laden Debris Flows: Grain-size Effect (세립토 위주의 토석류에 관한 유변학적 모델: 입자크기 효과)

  • Jeong, Sueng-Won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7 no.6
    • /
    • pp.49-61
    • /
    • 2011
  • This paper presents the applicability of rheological models for describing fine-laden debris flows and analyzes the flow characteristics as a function of grain size. Two types of soil samples were used: (1) clayey soils - Mediterranean Sea clays and (2) silty soils - iron ore tailings from Newfoundland, Canada. Clayey soil samples show a typical shear thinning behavior but silty soil samples exhibit the transition from shear thinning to the Bingham fluid as shear rate is increased. It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 determination of yield stress and plastic viscosity is strongly dependent upon interstructrual interaction and strength evolution between soil particles. So grain size effect produces different flow curves. For modeling debris flows that are mainly composed of fine-grained sediments (<0.075 mm), we need the yield stress and plastic viscosity to mimic the flow patterns like shape of deposition, thickness, length of debris flow, and so on. These values correlate with the liquidity index. Thus one can estimate the debris flow mobility if one can measure the physical proper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