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방

Search Result 2,44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Cytokines로 유방면역 증가

  • 손봉환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29 no.11
    • /
    • pp.641-645
    • /
    • 1993
  • 소 유방염에서 cytokine의 역할연구는 이제 시작단계이다. 근래 시험에서는 재결합 cytokine은 실세포 증가와 염증반응의 조절에 의하여 강화된 세균의 정화능력을 유방에 준다. 그리고 효과인자 세포의 보충결합 효과를 통하여 유방염의 결과를 조절하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현재 앞서가는 연구자들의 도전은 세균의 병원성 증가, 숙주반응이 유선에서 병원균 제거 요구 그리고 cytokine이 이들 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기전, 이들 사이의 상호기전을 더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 분야에서 앞으로의 발전은 시험보다 야외상태에서 전달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효과적인 정보의 증가를 위하여 우리의 관심이 더 많아야 하는 것이고, 유선면역기능 조절이 소 유방염 관리를 위하여 앞으로 cytoki-ne의 치료응용에 큰 잠재력을 제시하는 것이다.

  • PDF

여성 유방암 환자의 영양섭취 실태와 생활습관조사

  • 김미현;김은영;천누리;홍영선;전해명;승정자;성미경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4.05a
    • /
    • pp.414.2-415
    • /
    • 2004
  • 유방암은 아시아나 남ㆍ동부 유럽에 비하여 서구 국가에서 발생 빈도와 사망률이 높아western disease로 분류되는 질병이었으나,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해 그 발생 빈도가 증가하여 현재 여성암의 1위를 차지하는 주요 질환이다. 서구에서는 유방암의 발생률이 높아 일찍부터 유방암에 대한 연구 결과가 누적되어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유방암의 발생요인과 관련된 식이조사나 생활습관 등에 관한 조사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중략)

  • PDF

Usability of Digital Tomosynthesis in Mammography (유방 촬영에서 디지털 토모신테시스(Digital Tomosynthesis)의 유용성)

  • Lee, Mi-Hwa;Jung, Hong-Ray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51-152
    • /
    • 2015
  • 유방 검사에서 Tomosynthesis는 Mammogram과 비교하여 유방 병변 구별에 우수하고 확연한 대조도 차이를 보이며 추가적인 유방촬영 검사나 재촬영을 감소시킴으로서 장기적으로 환자의 피폭선량이 감소하는 효과를 보이므로 유방 병변 진단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검사이다.

  • PDF

수의학강좌 - 젖소의 유방염발생감소를 위한 예방 및 관리대책

  • Ryu, Il-Seon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46 no.3
    • /
    • pp.230-244
    • /
    • 2010
  • 젖소의 유방염 발생은 유량과 유질의 저하, 유방염으로 인한 폐기우유의 증가와 도태 및 폐사 등을 가져와 낙농가에겐 경제적인 손실을 줄 뿐만 아니라 의욕상실 등을 초래하기 때문에 생산성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젖소의 비유생리를 이해하고 올바르고 철저한 착유위생관리를 하지 않으면 아니된다. 올바른 착유의 기본은 우선 젖소의 비유생리를 이해하는 데서 시작하고, 많은 우유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위생적인 착유관리가 수반되지 않으면 아니된다. 이에 필자는 대동물 임상수의사들에게 유방염발생을 감소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유방염 발생 감소와 위생적인 유질 개선이야말로 선진낙농으로 가는 지름길이라는 것을 강조해두고 싶다.

  • PDF

Classification of Breast Cancer using Explainable A.I. and Deep learning (딥러닝과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유방암 판별)

  • Ha, Soo-Hee;Yoo, Jae-Cher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99-10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유방암 초음파 이미지를 학습한 multi-modal 구조를 이용하여 유방암을 판별하는 인공지능을 제안한다. 학습된 인공지능은 유방암을 판별과 동시에,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기법과 ROI를 함께 사용하여 종양의 위치를 나타내준다. 시각적으로 판단 근거를 제시하기 때문에 인공지능의 판단 신뢰도는 더 높아진다.

  • PDF

지혜 깊어지는 건강_건강검진 이야기 - 자궁암검사, 유방암검사 겉보다 아름다운 속을 위한 첫걸음

  • Lee, Yun-Mi
    • 건강소식
    • /
    • v.35 no.10
    • /
    • pp.16-17
    • /
    • 2011
  • 자궁암은 물론 자궁의 건강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자궁암 검사는 세포를 채취하기만 하면 끝이다. 유방암 검사 역시 간단한 촬영과 초음파 검사를 통해 유방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자궁암 검서와 유방암 검사는 절차가 복잡하지도 다른 준비가 필요하지도 않다. 부인과 검진에 대해 알아보자.

  • PDF

생활의 지혜 - 유방암과 영양

  • Gang, Eun-Hui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v.4 no.4
    • /
    • pp.428-439
    • /
    • 2011
  • 서구화된 식습관이 일반화되면서 유방암이 증가하게 된다는 사실은 많이 알려진 일반적인 내용이다. 유방암은 식사와 관련된 요인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질환 중 하나로 에스트로겐 분비와 작용에 관여하는 영양소들이 여러 가지 있다. 유방암과 영양에 대한 정보를 이해 적용하고 고른 영양섭취를 하는 것이 권장되며, 암과 영양에 대해 고민할 때는 시기에 따른 지침이 다를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 PDF

The National Survey of Breast Cancer Treatment Pattern in Korea (1998): The Use of Breast-Conserving Treatment (1998년도 우리나라 유방암 치료 현황 조사: 유방보존술 적용 실태를 중심으로)

  • Shin Hyun Soo;Lee Hyung Sik;Chang Sei Kyung;Chung Eun JE;Kim Jin Hee;Oh Yoon Kyung;Chun Mi Sun;Huh Seung Jae;Loh Jun Kyu;Suh Chang-Ok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22 no.3
    • /
    • pp.184-191
    • /
    • 2004
  • Purpose: In order to improve the proper use of radiotherapy and breast-conserving treatment (BCT) in the management of breast cancer, current status of breast cancer treatment in Korea was surveyed nationwide and the use of BCT were evaluated.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pattern of 1048 breast cancer patients from 27 institutions diagnosed between January, 1998 and June, 1998 were analyzed. The incidence of receiving BCT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stage, age, geography, type of hospital, and the availability of radiotherapy facility. Results: Radical mastectomy was peformed in 64.8$\%$ of total patients and 26$\%$ of patients received breast- conserving surgery (BCS). The proportions of patients receiving BCT were 47.5$\%$ in stage 0, 54.4$\%$ in stage I, and 20.3$\%$ in stage II, Some of the patients (6.6$\%$ of stage I, 10.1$\%$ of stage II and 66.7$\%$ of stage III) not received radiotherapy after BCS. Only 45$\%$ of stage III patients received post-operative radiotherapy after radical mastectomy. The proportion of patients receiving BC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ography and availability of radiotherapy facilities. Conclusion: Radiotherapy was not fully used in the management of breast cancer, even in the patients received breast-conserving surgery. The proportion of the patients who received BCT was lower than the report of western countries. To improve the application of proper management of breast cancer, every efforts such as a training of physicians, public education, and improving accessibility of radiotherapy facilities should be done. The factors predicting receipt of BCT were accessibility of radiotherapy facility and geography. Also, periodic survey like current research is warranted.

Effects of Oketani Breast Massage on Breast Discomfort, Breast Milk Amount, and Breast Milk Total Protein (오케타니 유방마사지가 유방불편감, 모유량 및 모유 Total Protein에 미치는 효과)

  • Kim, Su-Mi;Jeon, Soon-Ie;Song, Seon-m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
    • /
    • pp.493-50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effects of Oketani breast massage on breast discomfort, The amount of the breast milk, and the total protein of the breast milk in early postpartum mothers. The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 In the nursing intervention, The Oketani breast massage was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twice after giving birth, and Self Mamma Care (SMC) training was given to the control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x^2-test$ and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Oketani breast massage was more effective than the SMC-treated control group because of decreasing breast discomfort and increasing the amount of breast milk and total milk protein. Therefore, the Oketani breast massage will help early postpartum mothers more easily breastfeed. For the implication for practice, this study suggests that Oketani breast massage can be used as the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hat facilitates breastfeeding of early postpartum mothers in clinical practice.

Clinical Experience of 3T Breast MRI in Detecting the Additional Lesions in Breast Cancer Patients (유방암 환자에서 추가 병변 평가를 위한 3 테슬러 유방자기공명영상의 임상적 경험)

  • Lee, Ji-Hye;Kim, Sung-Hun;Kang, Bong-Joo;Choi, Jae-Jeong;Lee, Ah-Wo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v.14 no.2
    • /
    • pp.121-125
    • /
    • 2010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agnostic accuracy of 3.0-T breast MRI for detecting additional breast cancer soon after the initial diagnosis of breast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 From March to June 2009, 101 patients recently diagnosed breast cancer underwent breast MRI and surgery. Parameters analyzed on MRI were total extent of tumor, suspicious findings of multifocal, multicentric, or contralateral cancer. The diagnosis of MRI-detected cancer was confirmed by means of biopsy or surgical specimen evaluation after the localization. Results : MRI showed 37 additional suspicious findings in 34 patients. Twenty nine findings were true-positive (29/37, 78.4%), including 16 cases of multifocality, 11 cases of multicentricity and 2 cases of contralateral cancer. Among these cancers, 13 (44.8%) were ductal carcinoma in situ (DCIS) and 16 (55.1%) were infiltrating cancer. Eight findings were false-positive (8/37, 21.6%) including 6 cases of benign disease and 2 cases of high-risk lesions. Conclusion : In women with recently diagnosed breast cancer, 3.0-T MR imaging showed additional suspicious findings in 33.7%.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detecting additional breast cancer was 100% and 89.3%,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