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방

Search Result 2,433,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Factors Affecting Breast Self-examination According to Health Belief Model (건강신념 모형에 따른 유방자가검진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연구)

  • Kang, Hyun-Ju;Hong, Jee-Young;Lee, Moo-Sik;Na, Baeg-Ju;Lee, Bo-W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1077-1082
    • /
    • 2010
  • 본 연구는 일반 여성과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유방 자가검진의 이행율과 유방 자가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단면적 조사 연구이다. 건강신념 변수에 대해 일반 여성군과 유방암 환자군을 비교하면 일반 여성군이 유방암 환자군에 비해 유방암에 대한 심각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방암 환자군에서는 일반 여성군에 비해 유방암에 대한 민감성이 높았으며, 유방암 검진에 대한 유익성이 높고, 건강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건강신념 변수에 대해 유방 자가검진 이행자와 불이행자를 비교해 보면 유방 자가검진 이행자는 불이행자보다 건강 관심도가 높고(p<0.01) 유방 자가검진에 대해 설명을 들은 경험이 있는 경우 자가검진 이행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유방 자가검진 불이행자에서는 이행자보다 건강관심도가 낮고, 주위에서 유방 자가검진을 권하는 사람이 없는 경우가 많았다(p<0.01).유방 자가검진 이행자와 불이행자간 민감성, 심각성, 유익성, 장애성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방 자가검진 이행 여부에 관해서는 유방암 환자군이 일반 여성군에 비해 유방 자가검진을 3.5배 시행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연령은 40대 미만보다 60대 이상여성이 1.6배 유방 자가검진을 시행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은 대졸이상 보다 고졸이하가 2.4배 유방 자가검진을 시행하지 않고, 가구 소득은 200만원미만보다 400만원이상 고소득자가 2.7배 유방 자가검진을 시행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수는 자녀가 없는 여성이 자녀수가 3명이상인 여성에 비해 12.1배 유방 자가검진을 시행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건강 신념과 유방 자가검진 실천의 관계를 본 결과 건강관심도와 행동계기가 유방 자가검진 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관심도가 높을수록 유방 자가검진 실천도가 높고, 행동 계기 즉 주위에서 유방 자가검진을 권하는 사람이 있는 경우가 유방자가검진 수행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유방암 환자를 포함한 일반여성을 대상으로 유방 자가검진의 중요성과 유방 자가검진 방법에 대해 정기적인 교육 프로그램, 포스터, 안내책자 등을 통한 적극적인 교육과 권유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 진다. 유방 자가검진 프로그램 개발 시 유방암 환자와 일반 여성을 대상으로 한 차별화 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고 이를 통해 유방암 환자에게 유방암의 재발 위험성과 자가검진의 필요성, 올바른 유방암 환자의 자가검진법을 인지시킴으로서 유방 자가검진 실천율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 PDF

A Study on Breast Type Classification & Discrimination Using Manual Measurement- Focusing on Korean Women in Their 20s -

  • Sohn, Boo-Hy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5 no.5
    • /
    • pp.137-146
    • /
    • 2020
  • The manual measurements of 182 unmarried women subjects in their 20s was classified 4-breast types. For the breast type classification, 4 factors were identified, such as overall breast factor, upper breast internal shape factor, breast volume factor, and lower breast external shape factor. The breast shapes were 'breast with well-grown upper part', 'flat breast', 'breast with well-grown lower part', and 'protruded breast'. The breast types can be differentiated in 10 items of actual anthropometric dimension the length between frontal neck point and nipple point, length between lateral neck point and nipple point, length between the breast inner points, nipple to nipple breadth, diameter below the breast, inner depth of breast, outer length of breast, length below the breast, length between breast outer point and upper breast point, and contour line length below the breast.

Survey of Clothing Behavior for Breast Cancer Women After Surgery: Comparison Between a Breast-Conserving Surgery Group and a Mastectomy Group (유방암 수술 후 유방 암 여성 환자의 의생활 조사: 유방 보존술과 유방 전절제술을 받은 대상자간의 비교)

  • Oh, Hee-Kyoung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9 no.1
    • /
    • pp.49-60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clothing habits between a breast-conserving surgery group (68 patients) and a mastectomy group (45 patients). In common, both parties expressed that they did not want to conspicuously display their altered body shape from the surgical procedure, and they also confirmed that they did not want to be treated as breast cancer patients by others. On the other hand, a mastectomy group significantly preferred clothes, bras and breast prostheses which enhance the body silhouette in comparison to the patients who received breast-conserving surgery. However, the patients who received breast mastectomies reported that the bras and breast prostheses available have been expensive with low emotional satisfaction, calling for particular need in specialized clothing for female patients who undergo breast surgery. Hence, this research to further the development of clothes, bras and breast prostheses for Korean women who must undergo breast surgery would be effective in helping to improve body image and quality of life in these women.

A Study on the Digital Mammography for Breast Cancer Patients (유방암 환자의 Digital Mammography에 관한 연구)

  • Lim, Cheong-Hwan;Lee, Sang-Ho;Jung, Hong-Ryang;Mo, Eun-Hu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6 no.1
    • /
    • pp.63-71
    • /
    • 2012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breast cancer diagnosis of digital mammography which is in the highest interest of breast imaging test, an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breast cancer patients. For this purpose, 57 breast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breast imaging test were examined between May 2010 and June 2011. The average age of the breast cancer patients was 50.8 years old, and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location was the upper outer quadrant (UOQ), accounting for 33.3%. By age, the highest occurrence rate of breast cancer was the age group of 40~49, accounting for 42.1%. As for the breast composition of the breast cancer patients, fatty breast accounted for 31.6% (18/57) and dense breast for 68.4% (39/57), indicating that nearly 70% of the breast cancer patients have dense breast. It was found that the detection rate of breast cancer was the highest (45.3%) when both microcalcification and mass are simultaneously present in the radiographic lesion of the breast imaging. In dense breast, the mass without microcalcification was lower in detection rate than fatty breast. Accordingly, the mass is the cause of raising the false negative rate in dense breast. The findings show that the false negative rate of digital mammography was 7.0% and the sensitivity 93.0%. Also, the false negative rate of dense breast was 12.8%, and the sensitivity 87.2%, indicating that the sensitivity to breast cancer in this study was higher than the dense breast of previously reported screen film mammography.

A Study on the Setting of Breast Measurement Points on 3D Scan Data

  • Sohn, Boo-Hyun;Han, Hyun-Su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5 no.5
    • /
    • pp.81-90
    • /
    • 2020
  • In this paper, we propose setting measurement point in the 3D scan data based on the manual measurement data. The optimal 3D body scan postures and measurement points for automatic measurement of breast were set up. The outer breast point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body shape or standing posture as it is on the line connected from the bisecting point of the lateral waist thickness to front armpit poi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breast-related outer point proposed in this study. And many researches need to reduce the differences between MAM and 3D dimension items associated with the upper breast point. When measuring depth, the difference by pressing in MAM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nd the differences in flexion depending on breast type can make a difference in the 3D measurement. So the measurement method in 3D scan should be further studied depending on the types of breast and verified by multiple subjects.

Analysis of mammography for patient with Breast Cancer (유방암 환자들의 유방영상검사 분석)

  • Mo, eun-hee;Lim, cheong-hwan;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18-220
    • /
    • 2010
  • 85명의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유방영상을 검토하고 유방암 환자들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 본 논문에서 유방암 환자들의 평균나이는 51.9세이었고, 유방암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위는 상외측(43.5%)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유방암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연령은 40대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방암 환자들의 유방조직밀도는 69.4%가 dense breast이었고, 30.6%가 fatty breast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두 그룹의 평균연령은 dense breast를 가진 그룹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방영상의 위음성률은 27.1%, 민감도는 72.9%로 조사되었고, dense breast를 가진 환자들의 유방영상 위음성률은 32.2%, 민감도는 67.8%로 조사되었다.

  • PDF

유방암 환자의 폐경 전후에 따른 생활습관 및 산과요인에 관한 연구

  • 김은정;최봉순;이희자;이충원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4.05a
    • /
    • pp.406.1-406
    • /
    • 2004
  • 유방암은 선진국형 질병으로 미국의 경우 가장 흔한 암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에는 유방암 발생률이 낮았으나, 생활방식이 서구화되고 영양상태가 좋아지면서 점차 증가하고 있다. 유방암이 증가하는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서구화 되어가는 생활 패턴으로 초경 연령이 빨라지고, 폐경연령이 늦어지는 등 유방암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여성호르몬에 노출되는 기간이 길면 길수록 유방암 발생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족 중에 유방암이 있거나 출산하지 않을 경우 등에서도 유방암의 발생률이 다소 높다고 한다.(중략)

  • PDF

Effects of periodic breast massage on the cyclical mastalgia of fertile women before their menstrual period (유방 마사지가 가임기 여성의 월경 전 주기적 유방통 완화에 미치는 효과)

  • Kang, Kyoung Ae;Lee, Ji A;Hur, Myung-Hae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3 no.3
    • /
    • pp.353-362
    • /
    • 2022
  • This study wa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examine the effects of breast massage applied to women of childbearing age with cyclic mastagia on breast pain, breast hardness, nipple extensibility, breast size, and breast blood circulatio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54 women with cyclic mastalgia who were recruited from Medical Center C, Women's Hospital M, department stores located in City D, and Internet cafes.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to apply breast massage for a total of 30 minutes, 15 minutes each to the left and right breasts during the period of cyclic mastalgia.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breast pain (F=49.16, p<.001), breast hardness (Rt t=8.93, p<.001; Lt t=-10.34, p<.001), nipple extensibility (Rt t=3.58, p<.001 ; Lt t=4.66, p<.001), breast size (Rt F=60.59, p<.001; Lt F=51.05, p<.001) and breast blood circulation (Rt t=-1.30, p=.201; Lt t=-2.82, p=.007)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In conclusion, breast massage perform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relieving breast pain, relieving breast hardness, and improving breast blood circulation in participants with cyclic mastalgia.

Radiation Therapy for Patients with Early-Stage Breast Carcinoma Treated with Breast-Conserving Surgery (조기 유방암에서 유방 보존술후 방사선 치료)

  • Shin, S.O.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14 no.2
    • /
    • pp.274-284
    • /
    • 1997
  • 조기 유방암에 대한 바람직한 치료는 유방의 형태를 최대한 보존하면서 악성 종양을 치료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기 위하여 최대한 조기에 유방암을 진단하고 미용상 종양 절제술에 적합한 환자를 선택하여 절제 범위를 최소화한 유방 보존술을 시행하며 수술 후 유방 전체에 대한 근치적인 방사선 치료를 적절히 시행하면 된다. 여러 연구에서 전통적인 치료법인 근치적 또는 변형 근치적 유방 절제술의 성적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으므로 조기 유방암의 치료에는 이상적인 치료법으로 인정된다. 이와 병행하여 액와부 림프절 및 전신적인 재발에 대한 진단 및 예방을 위하여 액와 림프절에 대한 충분한 외과적인 처치와 병리학적인 검사를 시행하여 불필요한 방사선 치료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만약 전신적인 치료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항암제 및 내분비 요법을 병행하여 재발을 억제해야 유방 보존술의 장점을 살릴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치료법이 조기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시키면서 최상의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유관 진료 각과의 의료진이 유기적으로 협조하여 조기 진단률을 높히고, 유방 보존술 및 방사선 치료 과정에서 환자들에게 치료 결과에 대한 확신을 심어주도록 열심히 노력해야 된다. 또한 치료와 연관된 부작용이나 합병증을 최대한 줄여나가는 방향으로 치료 방법을 계속 보완 발전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아직도 발전의 여지가 많은 이 치료법이 조기 유방암의 이상적인 치료법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향후 다양한 임상적인 경험을 통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 PDF

Associ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and Breast Density Using Digital Mammography (체질량지수와 디지털유방촬영술상의 유방밀도와의 연관성)

  • Kim, Mi-Young;Kim, Hwa-Sun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37 no.4
    • /
    • pp.267-272
    • /
    • 2014
  • It is well known that low body mass index and younger age are associated with high breast density. Mammographic dense breast has been reported both as a cause of false-negative findings on mammography and as an indicator of increased breast cancer ris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breast density and body mass index. Furthermore, we considered proper screening method of breast cancer in Korean women. The study was performed on 496 women who underwent health checkup in a university hospital. Age and body mass index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breast density respectively. In postmenopausal women, age and body mass index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breast density.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sensitive additional method for breast cancer screening especially in younger age and underweight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