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리 볼

Search Result 63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valuation of Chemical Durability of Vitrified Forms for Simulated Radioactive Waste Using Product Consistency Test(PCT) and Vapor Hydration Test(VHT) (Product Consistency Test(PCT)와 Vapor Hydration Test(VHT)를 이용한 모의 방사성폐기물 유리고화체의 화학적 내구성 평가)

  • Kim Cheon-Woo;Kim Ji-Yean;Maeng Sung-Jun;Park Jong-Kil;Hwang Tae-Won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4 no.3
    • /
    • pp.227-234
    • /
    • 2006
  • Two candidate glasses, AG8W1 and DG-2, have been developed for vitrifying the mixture of low activity resin, zeolite and Dry Active Waste(DAW), and DAW solely, respectively. In order to evaluate the chemical durability of the glasses, two different leaching tests, Product Consistency Test(PCT) and Vapor Hydration Test(VHT), have been performed. As the results of PCT performed from 7 to 120 days, the leach rates of B, Na, Si and Li in the glasses were much lower than those of the benchmark glass(SRL-EA). As the result of VHT peformed for 7 days, the leach rates were 2 and $10g/m^2/day$ for AG8W1 and DG-2, respectively, The results of VHT met the regulatory guideline( $<50g/m^2/day$) for the low activity glasses of Hanford in the USA. Consequently, two candidate glasses to be used at a commercial operation in the future showed that their chemical durability is satisfactor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wo leaching tests.

  • PDF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Red Brown Glass Beads Excavated in Korean Peninsula (한반도에서 출토된 적갈색 유리구슬의 특성 및 유형 분류)

  • Kim, Na-Young;Kim, Gyu-Ho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29 no.3
    • /
    • pp.279-286
    • /
    • 2013
  • It is characterized and classified as the type of red brown glass beads to compare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technique on the 141 samples in 12 sites of the Three Kingdom Period analyzed until now.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tabilizers(CaO & $Al_2O_3$) and soda raw materials(MgO & $K_2O$) on the red brown glass beads except one sample. Type I of high alumina glass is identified as the most common types that is 78.6 % of the distribution ratio at analytical samples and is excavated the most from ruin sites. In contrast, type II, 13.6 % of distribution ratio at analytical samples, is about 5 % CaO and $Al_2O_3$, MgO and $K_2O$ at around 1.5 % is similar to the composition of plant ash glass. Type III is that the content of CaO is higher than $Al_2O_3$ and the content of MgO and $K_2O$ is below 1.5 %. It is the same as the composition of natron glass and its share is the lowest as 7.9 %. Of these, type III is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MgO and $K_2O$. It is identified that manufacturing technique of type I and II is drawing and type III is casting method with microscopic investigations. Type II and III is estimated that raw materials is different because is confirmed in the majority of ruins in spite of the fact that distribution ratio is very low. So, red brown glass beads distributed in Korea Peninsula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of glass culture.

Interaction of Forskolin with the Effect of $N^6-Cyclopentyladenosine$ on $[^3H]-Acetylcholine$ Release in Rat Hippocampus (흰쥐 해마에서 Acetylcholine 유리에 미치는 $N^6-Cyclopentyladenosine$ 및 Forskolin의 영향)

  • Choi, Bong-Kyu;Park, Hie-Man;Kang, Yeon-Wook;Kook, Young-Johng
    • The Korean Journal of Pharmacology
    • /
    • v.28 no.2
    • /
    • pp.129-136
    • /
    • 1992
  • A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depolarization-induced acetylcholine (ACh) release is modulated by activation of presynaptic $A_1-adenosine$ heteroreceptor in hippocampus and various lines of evidence indicate the involvement of adenylate cyclase system in $A_1-adenosine$ post-receptor mechanism in hippocampus, it was attempted to delineate the role of adenylate cyclase system in the $A_1-receptor-mediated$ control of ACh release in this study. Slices from rat hippocampus were incubated with $[^3H]-choline$ and the release of the labelled products was evoked by electrical stimulation $(3\;Hz,\;5\;Vcm^{-1},\;2\;ms,\;rectangular\;pulses)$, and the influence of various agents on the evoked tritium-outflow was investigated. $N^6-cyclopentyladenosine$ (CPA), a specific $A_1-adenosine$ receptor agonist, in concentrations ranging from 0.1 to $10\;{\mu}M$, decreased the $[^3H]-ACh$ release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out the changes of basal rate of release. 8-cyclopentyl-1,3-dipropylxanthine $(DPCPX,\;1{\sim}10\;{\mu}M)$, a selective $A_1-receptor$ antagonist, increased the $[^3H]-ACh$ release in a dose-related fashion with slight increase of basal tritium-release. And the CPA effect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DPCPX $(2\;{\mu}M)$ pretreatment and the dose-response curve produced by CPA was shifted to the right. The responses to N-ethylmaleimide $(NEM,\;10\;&\;30\;{\mu}M)$, a SH-alkylating agent of G-protein, were characterized by increments of the evoked ACh-release and the basal release, and the CPA effect were completely abolished by NEM pretreatment. Forskolin, a specific adenylate cyclase activator, in concentrations ranging from 0.3 to $10\;{\mu}M$, increased the evoked ACh-release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the CPA effects were inhibited by forskoli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_1-adenosine$ heteroreceptor plays an important role in ACh-release via nucleotide-binding protein Gi in the rat hippocampus and that the adenylate cyclase system might be participated in this process.

  • PDF

A Study on Glass Mirror Trade and its Characteristics of Craft after Joseon Dynasty (조선 후기 유리거울의 수입과 공예품의 특징)

  • Park, Jinkyung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2 no.4
    • /
    • pp.206-225
    • /
    • 2019
  • This paper examines the trade and development aspects of glass mirrors through the literatur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and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existing glass mirror crafts by referring to the terms and types shown in the literature. The glass mirror in the records had called western mirrors(西洋鏡, 洋鏡), glass mirrors(玻璃鏡, 玻瓈鏡), stone mirrors(石鏡), etc. Glass mirrors were imported mainly through trade with Russia and the Qing Dynasty since the 17th century and were banned from import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se mirrors were something new that caused a great stirring in Joseon society in the 18th century, and in the 19th century, it grew larger as a commodity needed for everyday life, especially with trade with Japan. At that time, glass mirrors wer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installing large glass at a store, which were not the standard mirror usage of confirming one's appearance. These mirrors surprised Koreans in Joseon who experienced them at Yanjing Liulichang(燕京 琉璃廠)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s a result, the demand for glass mirrors rapidly increased and quickly surpassed that of bronze mirrors. Consequentially, new crafts using glass mirrors instead of bronze mirrors in Joseon began to be produced and used after the 18th century. In particular, integrated flat boards of glass mirrors were developed as crafts used indoors. It was convenient to use the hair comb box, a long-time presence in Joseon society, with the bronze mirror. This kind of mirror remained apparent in various genre paintings, including the Taepyeong Seongsido(太平城市圖, 'A Thriving City in a Peaceful Era') collected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hich reflect its populism of the times. Also, the Mirror Stand(鏡臺) used in the Qing Period was produced in Joseon,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way of making the drawers and box shapes between two nations. On the other hand, the Face Mirror(面鏡) was made to look at the face. Various crafts made with the aesthetic sense of Joseon, such as the ox horn inlaying craft technique, were produced with auspicious designs. In the 19th century, glass mirrors were imported from European countries, such as France, Denmark, the Netherlands, and the United Kingdom, however after the end of the 19th century Japanese crafts were popular. Glass mirrors, which were popular in the Meiji and Taisho eras of Japan, were imported and also the Mirror Screen(鏡屛) using large glass mirrors were used. In particular, the mirror screen had developed wood furniture since the previous time, which were used for banquets and large spaces, such as the drawing room, and were imported from China and Japan. In addition, the western architectural effect of attaching a mirror to the wall was also attempted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space and introduce another image and scenery in the mirror. This was done at Deoksugung Palace's Seokjojeon.

초음파 Fractography에 의한 파괴속도의 정밀측정을 위한 최적주파수 선정에 관한 연구

  • 한응교;이범성;고교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10a
    • /
    • pp.119-126
    • /
    • 2001
  • 유리와 같이 취성이 큰 재료의 파단면을 주의하여보면 반원형의 곡선이 이따금씩 여러개 나타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진행 중에 있는 균열이 어떠한 부분으로부터 나온 음파(횡파)와 만났을 때 일어나는 흔적으로 Wallner선 이라고 한다. 초음파 Fractography는 파괴 시험시 강력한 초음파를 사용하여 파단면에 이와 같은 Wallner 선을 인공적으로 발생시켜, 파면해석을 통하여 파괴속도등 파괴연구에 필요한 정보를 얻는 수법이다. 이 수법은 유리와 같은 비정질 탄성태의 파괴속도 측정을 위해 Kerkhof에 의해 최초로 고안되었으며, 수지와 같은 점탄성재료에 대해서는 Takahashi에 의하여 PMMA(Polymethy1 Methacrylate)재에 강력한 초음파를 사용하여 그 가능성이 제기된 이후 PMMA와 EPOXY재등의 점탄성재료의 파괴속도측정과 파괴강성등의 측정에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Takju Brewing by Combined Use of Rhizopus japonicus-Nuruk and Aspergilus oryzae-Nuruk (Rhizopus japonicus 누룩과 Aspergilus oryzae 누룩의 병용에 의한 탁주양조)

  • 소명환;이재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5 no.1
    • /
    • pp.157-162
    • /
    • 1996
  • A. oryzas 의 밀가루 누룩과 R. japonicus의 밀가루 누룩으로 탁주를 제조할 때에는 두 누룩의 혼합 비율이 탁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조기 위하여 두 누룩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7종의 탁주시료를 제조하고, 탁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들을 조사하였다. R. japonicus는 누룩의 사용 비율이 높을 때에는 술덧의 산도와 유리당 함량이 높았고, 제성주의 부유물 함량과 부유물의 현탁 안정성도 높았다. 그러나 A. oryzas 누룩의 사용 비율이 높을 때에는 술덧의 산도와 유리당 함량이 낮았고, 제성주의 부유물 함량과 부유물의 현탁 안정성도 낮았다. R. japonicus 누룩과 A. oryzas 누룩을 2 : 1~5 : 1의 비율로 병용했을때에는 주박의 양이 크게 줄어들었고, 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기호성도 더 좋아졌다. 탁주의 전반적이 특성으로 볼 때 각 누룩의 단용시에는 R. japonicus 누룩이 A. oryzas 누룩보다 좋았다. 그러나 R. japonicus 누룩과 A. oryzas 누룩을 병용했을때에는 탁주의 전반적인 품질이 더욱 개선되어졌는데, 이때 두 누룩의 최적 혼합 비율은 대략 5 : 1이었다.

  • PDF

(${\beta}-Galactosidase$와 isoflavone의 미세캡슐화와 in vitro에서의 비배당화에 관한 연구)

  • Kim, Nam-Cheol;Jeon, Byeong-Ju;Gwak, Hae-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05a
    • /
    • pp.322-325
    • /
    • 2005
  • 본 연구는 ${\beta}-galactosidase$에 의한 isoflavone 배당체의 비배당화 연구를 실용화하기 위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관능적 요소와 화학적 반응을 제어하기 위하여 두 물질을 미세캡슐화 하고 그것의 in vitro 안정성을 연구하여 기능성식품개발에 응용토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실험 결과, 미세캡슐화 수율이 매우 높았으며, 인공위액 상태에서의 안정성은 높은 반면에, 인공 소장액 상태에서의 안정성이 매우 낮았다. 또한 인공소장액에서 유리된 ${\beta}-galactosidase$에 의한 유리 isoflavone의 비배당화율이 약 75% 정도로 관찰되었다. 결과적으로 판단해 볼 때, isoflavone과 ${\beta}-galactosidase$의 미세캡슐화를 통한 소화기 내에서의 비배당화와 흡수율을 극대화하는데 매우 긍정적인 가능성을 보였다.

  • PDF

Anti-platelet Effect of Carvacrol Extracted from Thuja Orientalis L.;A Possible Mechanism Through Arachidonic Acid Pathway (백자인에서 추출된 Carvacrol의 항혈소판 효과)

  • Ahn, Byeong-Joon;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4 no.2
    • /
    • pp.31-38
    • /
    • 2007
  • 목적 : 백자인에서 추출된 Carvacrol이 혈소판 활성화와 혈액 응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Carvacrol의 항혈소판 효과의 기제를 밝히기 위해 토끼 혈소판으로 Arachidonic Acid 유리,TXB2, PGD2, 12-HETE의생성을 방사선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1. U46619를 제외하고 Collagen과 AA에 의해 유발된 응고는 Carvacrol 농도에 따라 억제되었다. 2. Collagen으로 인하여 자극된 AA 유리에 대한 Carvacrol의 유의한 억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3. AA로 유발된 TXB2, PGD2와 12-HETE의 생성억제에 대한 실험에서 Carvacrol은 유의한 억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결론 : Carvacrol은 항혈소판 작용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한의학에서 활혈거어 작용으로 해석될수 있으며,타박상,윌경곤란증,탈모증 등 어혈질환의 예방 및 치료와 관련된 약침개발에 기초가 될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mprovement in Wettability of Polymethyl methacrylate(PMMA) Using Nd:YAG Laser (Nd:YAG 페이저를 이용한 Polymethyl methacrylate(PMMA) 표면 친수성 향상)

  • Shin, Sung-Kwon;Lee, Che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0a
    • /
    • pp.111-112
    • /
    • 2006
  • 실리콘을 기반으로 한 micro-Total Analysis Systems(${\mu}$-TAS)이 출현한 이후에, 현재까지 다양한 고분자 화합물을 이용한 유체소자의 연구가 진행중이다. 고분자 화합물은 실리콘과 유리를 이용한 전통적인 유체소자 재료에 비해 재료의 경제성과 소자 제작의 용이성 그리고 처리하고자 하는 유체에 맞는 다양한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고분자 화합물의 표면 에너지가 실리콘과 유리에 비해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표면처리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레이저를 이용한 표면처리는 실험장치가 간단하고 대기 중에서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Nd:YAG 레이저(${\lambda}$=266 nm, pulse)를 이용하여 유체소자 재료로써 많이 사용되는 polymethly methacrylate(PMMA)의 표면개질을 시도하였다. 표면처리 후 접촉각 측정기를 이용하여 표면개질 정도를 확인한 결과, 표면 산소 함유량이 증가됨에 따라 접촉각이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PMMA의 본래 성질은 유지한 채 레이저 표면처리를 이용한 표면 에너지 증가 효과를 볼 수 있었다.

  • PDF

수소처리와 후성장층의 특성이 다이아몬드 박막의 전계방출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심재엽;송기문;이세종;백홍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00.02a
    • /
    • pp.96-96
    • /
    • 2000
  • 화학증착법으로 증착된 다이아몬드 박막은 우수한 전기적 특성과 뛰어난 화학적, 열적 안정성 때문에 전계방출소재로 많은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다이아몬드 박막의 전계방출은 저전계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저전계방출의 원인을 규명하려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한편, 다이아몬드 박막의 전계방출전류는 금속기판의 사용에 의한 기판/다이아몬드 접촉의 개선, 다이아몬드 박막내의 흑연성분의 조절에 의한 구조변화, 보론이나 인 (P), 질소의 도핑, 수소 플라즈마나 cesium 등의 금속을 이용한 표면처리 등의 여러 방법에 의하여 향상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그 외에 메탄과 대기 분위기 처리, 암모니아 분위기에서의 레이저 조사도 전계방출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다이아몬드 박막의 성장후 구조적 특성이 다른 박막의 후성장이나 열분해된 운자수소 처리가 다이아몬드 박막의 전계방출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지금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소처리와 후성장이 다이아몬드 박막의 전계방출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이로부터 그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다이아몬드 박막은 hot-filament 화학증착법을 이용하여 증착하였다. 후성장한 다잉아몬드 박막내의 흑연성분과 박막의 두께를 체계적으로 조절하여 후성장 박막의 구조적 특성과 그 두께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후성장층내의 흑연성분과 두께가 증가할수록 전계방출특성은 향상되다가 저하되었다. 한편, 다이아몬드 박막을 성장시킨 후 수소분위기 처리를 함에 따라 전계방출특성은 향상되었지만 수소처리시간이 5분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그 특성은 저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소처리와 후성장시 나타나는 전계방출특성의 변화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기판위에서 polymer-like Carbon 구조는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0 mm인 백금 망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실제 3차원 미세구조를 제작하여 보았다. 그림 1에서 제작된 구조물의 SEM 사진을 보여주었으며, 식각된 면의 조도가 매우 뛰어나며 모서리의 직각성도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출된 시험 조건을 기초로 하여 리소그래피 후에 전기 도금을 이용한 금속 몰드 제작 및 이온빔 리소그래피 장점을 최대한 살릴수 있는 미세구조 제작에 대한 연구를 계속 추진할 계획이다. 비정질 Si1-xCx 박막을 증착하여 특성을 분석한 결과 성장된 박막의 성장률은 Carbonfid의 증가에 따라 다른 성장특성을 보였고, Silcne(SiH4) 가스량의 감소와 함께 박막의 성장률이 둔화됨을 볼 수 있다. 또한 Silane 가스량이 적어지는 영역에서는 가스량의 감소에 의해 성장속도가 둔화됨을 볼 수 있다. 또한 Silane 가스량이 적어지는 영역에서는 가스량의 감소에 의해 성장속도가 줄어들어 성장률이 Silane가스량에 의해 지배됨을 볼 수 있다. UV-VIS spectrophotometer에 의한 비정질 SiC 박막의 투과도와 파장과의 관계에 있어 유리를 기판으로 사용했으므로 유리의투과도를 감안했으며, 유리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 관계로 투과도를 나타냈었다. 또한 비저질 SiC 박막의 흡수계수는 Ellipsometry에 의해 측정된 Δ과 Ψ값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로 비정질 SiC 박막의 두께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또한 Tauc Plot을 통해 박막의 optical band gap을 2.6~3.7eV로 조절할 수 있었다. 20$0^{\circ}C$이상으로 증가시켜도 광투과율은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부터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