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리연삭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2초

무심연삭공정의 진원도 형성해석

  • 주종남;김강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25
    • /
    • 2001
  • 기계부품의 소형화 , 고속화, 그리고 저공해, 저소음이 요구되는 세계적인 추세에서 정밀가공기술은 기계 및 전자산 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특히, 무심연삭공정(Centerless Grinding)은 높은 생산성과 정확한 치수 형성의 능력이 있어서 원통형상을 가공하는 중요한 생산공정으로 사용되어 왔다. 예컨대 VCR의 소형 축. Computer Disk Drive, 초소형 모터, 연료분사기등은 쎈터레스 연삭공정을 통하여 높은 정밀도를 얻고 있다. 하지만 이 공정의 특수성과 측정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이러한 정밀형상의 형성과정은 아직도 잘 밝혀져있지 않다. 무심연연삭 공정에서는 부품이 기계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공작물 받침날 위에 올려져 있으며 조절바퀴와 연삭바퀴 사이에 눌려져 있다. 조절바퀴가 마찰력으로 공작물을 돌려주며 연삭바퀴에서 연삭가공이 일어나게 된다. 조절바퀴와 연삭바퀴사이의 거리는 기계 자체의 탄성변형으로 인하여 항시 변화하게 되며 이 거리의 변화가 공작물의 정밀형상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무심연삭공정중 공작물과 받침날, 조절바퀴, 연삭바퀴의 상대운동을 기하학적으로 해석하였다. 특히 간섭조건을 사용하여 실제 공작물의 운동을 해석하여 순간 명목 절삭깊이를 구하였다. 또한 연삭 특성실험식을 이용하여 수직 연삭력을 구하고 연삭기의 탄성변형을 구하여 순간 실제 절삭깊이를 계산하였다. 그로부터 진원도형성에 관한 기본식을 유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도된 진원도 형성 식을 이용하여 실험과 동일한 조건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원형중의 어떤 이상형상, 즉, 홈또는 돌기는 반복되어서 다른 돌기 또는 홈을 형성 하게되며 그 반복주기는 공작물이 조절바퀴와 연삭바퀴위에 떠있는 각도에 따라 결점 됨을 확인하였다.'유창성' 에 그 목표를 두고 있는 점을 감안한다면, 시작단계부터 반드시 정확한 발음을 지녀야 하는 가의 문제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정확한 발음은 그 언어에 대한 숙련도가 점차 높아짐에 따라 이와 병행하여 이루어지는 경우도 흔히 경험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결국 초등영어 교육과정에도 명시되어 있듯이 '...영어에 대한 친숙함과 자신감을 심어주고, 영어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중요한 측면은 흥미와 관심을 유지시키는 지적인 학습활동보다는 정의적인 학습활동의 전개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유리된 AA의 세포독설과 관련된 세포내의 역할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었다., PCL에 SOD-1도 경미하게 나타났으나, 경련이 나타난 쥐에서는 KA만을 투여한 흰쥐와 구별되지 않았다. 이상의 APT의 항산화 효과는 KA로 인한 뇌세포 변성 개선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되나, 보다 명확한 APT의 기전을 검색하고 직접 임상에 응응하기 위하여는 보다 다양한 실험 조건이 보완되어야 찰 것으로 생각된다. 항우울약들의 항혈소판작용은 PKC-기질인 41-43 kD와 20 kD의 인산화를 억제함에 기인되는 것으로 사료된다.다. 것으로 사료된다.다.바와 같이 MCl에서 작은 Dv 값을 갖는데, 이것은 CdCl$_{4}$$^{2-}$ 착이온을 형성하거나 ZnCl$_{4}$$^{2-}$ , ZnCl$_{3}$$^{-}$같은 이온과 MgCl$^{+}$, MgCl$_{2}$같은 이온종을 형성하기 때문인것 같다. 한편 어떠한 용리액에서던지 NH$_{4}$

초정밀가공 기술의 현황과 전망

  • 강철희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11-20
    • /
    • 1989
  • 마이크로 일렉트로닉스(Microelectronics)를 중심으로 하는 산업혁명이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전자, 광학 또는 신소재 부품에 대한 형상과 치수 또는 표면거칠기에 대한 정확도와 정밀도가 엄격하게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경취 재료인 반도체의 웨이화( w-afer), 수정진동자 자기헷트, 비구면렌즈 또는 연질 금속의 레이저빔(Laser Beam) 프린터 용 포리곤 밀러(Polygon Mirror), 자기디스크, 복사기용 드럼(drum), 레저기기용 반사밀러 등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과거의 가공기술을 대치할 수 있는 새로운 초정밀가공 기술의 도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경취성 재료의 초정밀가공은 지금까지는 랩핑(lappi- ng), 폴리싱(polishing)의 가공기술이 주체였으나, 최근의 엄격한 부품정밀도에 대응하기 위하여 전가공을 초정밀 연삭가공으로 평면도,표면거칠기, 가공변질층을 향상시키고 다듬질 가공은 폴리싱으로 하여 표면거칠기를 향상시켜야 하는 가공기술이 보급되고 있다. 일반연질 금속의 다듬질가공은 유리지립을 이용하는 랩핑이나 폴리싱으로 다듬질 가공을 진행하고 있었 으나 형상정도와 표면정밀도를 동시에 얻는다는 것이 어렵고 또 가공시간이 너무 길어서 매우 고가인 것이 되고 말았다. 그러나 유리에서 연질금속으로 재료를 전환시키고 저가격화, 양산 화의 요구, 정밀도 향상과 부품의 안정화 등등 여러 이유로서 다아아몬드(Diamond) 공구로 mirror surface 를 만드는 초정밀 경면연삭 가공기술(precision turning with diamond)의 발달 로 이제는 완전히 새로운 가공기술로 대치되고 말았다. 다이아몬드에 의한 초정밀절삭은 공구 끝이 매우 예리하고 마모가 매우 적은 단결정 다이아몬드를 이용하고 절삭가공 기계는 운동정도 를 피가공물에 정확히 전사 시키는 방법이며 따라서 가공기계는 고도의 운동정밀도가 요구되며 그외에 강성, 진동, 열변이, 제어면에서 엄격한 검도가 있어야 한다.

  • PDF

비구면 유리 어레이 렌즈 성형용 초경합금 코어 초정밀 연삭 가공에 관한 연구 (Study on Ultra-Precision Grinding Processing for Aspheric Glass Array Lens WC Core)

  • 고명진;박순섭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3권11호
    • /
    • pp.893-898
    • /
    • 2016
  • Plastic array lens are cheap to manufacture; however, plastic is not resistant to high temperatures and moisture. Optical glass represents a better solution but is a more-expensive alternative. Glass array lens can be produced using lithography or precision-molding techniques. The lithography process is commonly used, for instance,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however, the manufacturing costs are high, the processing time is quite long, and spherical aberration is a problem. To obtain high-order aspherical shapes, mold-core manufacturing is conducted through ultra-precision grinding machining. In this paper, a $4{\times}1$ mold core was manufactured using an ultra-precision machine with a jig for the injection molding of an aspherical array lens. The machined mold core was measured using the Form TalySurf PGI 2+ contact-stylus profilometer. The measurement data of the mold core are suitable for the design criterion of below 0.5 um.

마이크로 렌즈 연삭기용 주축설계 및 제작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f High Precision Spindle Design for Micro-Glass Lens Grinding)

  • 김의중;한정훈;박상일;송승훈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7-60
    • /
    • 2002
  • The high precision spindle is essential fer mass and low cost production of aspherical glass lens. Especially, in the grinding process of micro glass lens the performance of the spindle determine the machined surface quality. For the aspheric micro glass lens grinding, we design and make a high precision spindle. We use air bearings for high speed and low motion errors of the spindle. And the driving mechanism is an air turbine to remove heat generation. In this study, we make basic performance requirements of the spindle through benchmarking. And we confirm the requirements by basic machining test. We test air consumption, static stiffness, run-out and vibration of the spindle.

  • PDF

BK7의 평행축 연성모드 연삭가공 (Dutile Regime Parallel Grinding of BK7)

  • 이현성;김민재;구할본;황연;김혜정;김정호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5-89
    • /
    • 2012
  • Conventional grinding of BK7 glass will normally result in brittle fracture at the surface, generating severe sub-surface damage and poor surface finish. The precision grinding of BK7 glass in parallel grinding modes has been investigated. Grinding process, maximum chip thickness, ductile/brittle regime, surface roughness and sub-surface damage have been addressed. Special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condition for generating a ductile mode response on the ground surface. Experiments reveal that the level of surface roughness and depth of sub-surface damage vary differently for different condition. This study gives an indication of the strategy to follow to achieve high quality ground surfaces on brittle materials.

나노 표면거칠기틀 위한 SF-5유리와 수정유리의 ELID 연삭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LID Grinding Characteristics of SF-5 Glass and Quartz Glass for the Nano Surface Roughness)

  • 곽태수;박상후;오오모리히토시;배원병;양동열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56-62
    • /
    • 2003
  • The precision fabrication of glass is increasingly demanded for the latest industrial applications of spherical lenses, micro-optical components, and so on. In many cases, the surface roughness of glass is required to be minute for improving the optical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machining characteristics of SF-5 glass and quarts glass are studied by using the ELID grinding process to get mirror surface and productivity compared with a general lapping process. A rotary type grinder with air spindle was used for the experiments. Mitutoyo surface tester and AFM were also used to measure the grinded surface of glass. As the results of experiments, they showed that the surface roughness (Ra) of SF-5 glass was under 7.8 nm and that of quartz glass was under 3.0 m using the # 8000 grinder. So, the possibility of highly efficient and accurate surface for optical components can be achieved by the ELID grinding process.

수정유리와 SF-5 유리의 ELID 연삭특성 비교 (Comparative Study on the Grinded Surface Characteristics of Quartz Glass and SF-5 Glass using ELID(Electrolytic In-Process Dressing) Grinding)

  • 박상후;양동열;곽태수;오오모리히토시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4-97
    • /
    • 2003
  • A precise fabrication technology of glass is increasingly demanded fer the latest Industrial applications of spherical lenses. micro-optical components, laser applications and so on. Most of cases, the surface roughness of glass is required to be minute for improving the optical characteristics. Then. the machining characteristics of SF-5 glass and quarts glass were studied by using the ELID grinding process to get mirror surface and productivity compared with a general lapping process. A rotary type grinder with ELID generator was used to make the mirror surface of glass and a Mitutoyo surface tester and a nano-hardness tester were also used to measure the grinded surface or glass. As the results of experiments. they showed that the surface roughness(Ra) of SF-5 glass was under 7.8 nm and that of quartz glass was under 3.0 nm using the # 8000 grinder. So, the possibility of highly efficient and accurate surface for optical components can be achieved by the ELID grinding process.

  • PDF

렌즈 성형용 유리탄소 금형의 초정밀연삭 (Ultraprecision Grinding of Glassy Carbon Core for Mold Press Lens)

  • 황연;차두환;김정호;김혜정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61-265
    • /
    • 2012
  • In this study, glassy carbon was ground for lens core of glass mold press. Ultraprecision grinding process was applied for machining of core surfaces. During the process, brittle crack occurred because of hard-brittleness of glassy carbon. Author investigated optimized grinding conditions from the viewpoint of ductile mode grinding. Geometrical undeformed chip thickness was adopted for critical chip thickness that enables crack free surface. Machined cores are utilized for biaspheric glass lens fabrication and surfaces of lens were compared for verification of ground surface.

보급형 자동옥습기 개발을 위한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Distributed Auto Edging Machine)

  • 이영일;김정희;박지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7-115
    • /
    • 2011
  • 목적: 안경렌즈 조제가공을 위한 보급형 전자동 옥습기 개발을 위해 설계하고 제작하고자 한다. 방법: 보급형 전자동 옥습기의 주요 설계도를 캐드로 그려서 제작에 필요한 정보를 얻었다. 이 데이터를 기본으로 보급형 자동옥습기 개발을 위해 시제품을 제작 하였다. 결과: 무패턴 모드는 외부 자동 취형기에서 안경테의 렌즈삽입부 정보를 RS232C 전송방식으로 형판 없이도 작동할 수 있었고, 패턴 모드는 형판을 이용해서 개발품의 좌측에 장착하여 작동할 수 있었다. 보급형 자동옥습기는 헤드부, 오토암부, 형판고정부 그리고 연삭부와 같은 주요 요소들로 구성되었다. 헤드부는 좌우모터와 상하모터의 작동을 이용하여 안경렌즈의 연삭을 제어하였다. 연삭부는 유리 재질, 플라스틱 재질, V-홈 그리고 광택을 낼 수 있는 연삭휠로 구성하였다. 슬라이드는 고정된 형판의 하부에 구비되었고, 고정 샤프트에 의해 회전되는 형판이 슬라이드부에 의해 지지할 수 있었다. 형판고정부는 안경사의 수동적인 조작에 의해 헤드파트를 승강 및 좌우 이동시킬 수 있게 하였다. 연삭휠의 분당 회전수를 3,600 rpm으로 최적화 하였다. 결론: 패턴리스와 패턴 렌즈 가공이 가능한 보급형 자동옥습기를 설계 및 제작하여 시제품 제작에 성공하였다. 최소의 비용으로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조제가공이 가능하여 안경사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