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량조절

Search Result 636,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Study on the Lubrication Characteristics of a Compensator System for Swash Plate Type Axial Piston Pump (사판식 액시얼 피스톤 펌프 가변용량 시스템의 윤활특성에 관한 연구)

  • Kim, Sin;Song, Ju-Hyun;Jung, Jae-Yeon;Lee, Du-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4.06b
    • /
    • pp.54-58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액시얼 피스톤 펌프의 가변용량 시스템에 있어서 actuator piston의 가공정도와 실린더사이의 간극의 변화에 따른 응답성 및 누설용량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가변용량형 사판식 액시얼 피스톤 펌프는 사판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사판의 각도조절은 actuator piston에 의해 행해지며, 가변용량부의 어느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이 actuator piston이 사판을 밀어 사판의 각도를 변화 시키게 된다. 지배방정식으로는 spool과 사판의 운동방정식과 각 chamber의 누설 유량이 있다. 이들 방정식을 \ulcorner으로써 각 부분의 운동을 해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해석이 어려운 부분은 각 계수들의 결정이며 simulation을 할 때는 이로한 계수들을 이론적으로 결정을 하게 되고, 실험을 통해 검증하도록 한다. 즉, 각 운동뷰의 감쇠계수와 각 오리피스를 통한 유량계수, 그리고 감쇠계수 등은 실험을 통해 검토한다. 실험을 통한 측정에서는 각 chamber의 압력은 각 chamber에 연결된 압력센서 3개에 의해 행해지며, 사판의 각도는 angle 센서에 의해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actuator piston과 블럭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여 누설계수를 변화시키며, 그 영향을 살펴보았다.

  • PDF

CFD Analysis on the Flow Uniformity of a $CO_2$ Enrichment System (CFD를 이용한 온실 $CO_2$ 시비 시스템의 유량 균일성 해석)

  • Yim, Kyungjin;Kim, Hongjip;Lee, Sangmin;Park, Kyoung-Sub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2 no.2
    • /
    • pp.123-130
    • /
    • 2013
  • $CO_2$ enrichment systems have been recently used to shorten the growth period of plants and the improvement of harvest and its quality. To accomplish these goals, manifold should be designed to supply the same amount of $CO_2$. In this study, CFD approach has been us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geometric parameters, such as tube and hole diameters. An optimized geometry has been derived through pipe and tube part,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deviation of flow rate less than 0.1 g/s was expected at all holes of the $CO_2$ enrichment system.

화력발전소 CWD(Cooling Water Discharge)를 활용한 해양소수력 개발의 기술적인 고찰(화력발전소 CWD와 조위특성과의 Harmony)

  • Eom, Bok-Jin
    • 열병합발전
    • /
    • s.69
    • /
    • pp.15-20
    • /
    • 2009
  • 소수력 계획 시 개발지점에 대하여 수많은 자료와 정보 등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특히 해당지역내의 유량분포에 대한 유황자료는 개발의 판단여부를 결정케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소수력발전소의 설비용량에 직접 관계되는 설계유량의 결정과 재해방지를 위한 유출의 예측을 가능케 하고 발전소운영 시 가동률 및 경제성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용한 요소이나 여기서 논하는 소수력개발은 하천이나 댐과 같은 유형이 아니라 일정한 유량을 확보하여 배출하기 때문에 문제는 없다. 그러나 계절별 부하에 따른 냉각수량의 변화 및 소수력 발전유량의 변동, 조위(해수면) 변화 등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므로 수위조절을 위한 수문은 이들의 변화에 따라 자동운전이 가능해야 하지만 운전시 발전정격수위를 맞출 수 있도록 수문을 조절한 다음 Turbine Governor에 의해 유량 및 수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냉각수 순환수 계통에 영향이 미치지 않게 언제나 적정수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운전모드로 구축하는 것이 안정이라 볼 수 있다. 소수력발전설비 및 수문의 오작동 및 고장이 발생할 때 수위가 상승하여 냉각계통에 손실수두 증가, 취수펌프의 양정고 증가와 Surge 발생 등으로 발전소의 정상 운전에 미치는 영향이 없어야 하므로 세밀한 검토가 필요하기 때문에 폐쇄시간과 수압상승 값 등 요인 분석후 설계하여야 한다. Figure A와 같이 국내 화력발전단지에서 냉각수로 사용되고 방류되는 해수는 발전소에 따라 ca.70~150 CMS로 ca.2,000~5000 kW 이상의 수력에너지(H=4m 형성 기준)를 보유하고 있으나, 현재 활용되지 못하고 그대로 해양으로 방류되고 있어 이 수력에너지의 개발 방안을 오래전부터 검토하여 왔다. 발전소 온배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한 설계 낙차와 함께 남서해안의 조위변화에 따른 낙차를 이용하는 것으로 소수력 발전 방식과 조력발전 방식의 특징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다.

  • PDF

Flow Rate Control of Gaseous Oxygen for a $HTPB/GO_2$ Hybrid Rocket ($HTPB/GO_2$ 하이브리드 로켓의 산화제 유량제어)

  • Oh Hwa-Young;Moon Sung-Hwan;Huh Hwan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4.10a
    • /
    • pp.251-254
    • /
    • 2004
  • Hybrid rockets have many advantages over solid and liquid rockets. Hybrid rockets put forth high $I_{sp}$ like liquid rockets in spite of simple structure and low cost. As oxidizer flow rate is increased, thrust of hybrid rocket is increased accordingly. In this study, lab-scale hybrid rocket is designed, fabricated and tested. This system consists of lab-scale hybrid rocket motor, ignition system, flow system and data aquisition system. In order to control oxidizer flow rate, we construct flow rate control system by using needle valve and stepping motor.

  • PDF

Study on the Change of Rating Curve by Monitoring of Downstream Weir with Gates Operation (하류 보 운영 모니터링을 통한 수위-유량관계곡선 변화 연구)

  • Kim, Soo Jeong;Park, Jun Su;Lee, Jae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11-411
    • /
    • 2022
  • 보는 수로나 하천의 수위를 조절하고 취수 등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건설되는 하천 구조물이다. 일반적인 보(고정보)는 상시 담수 되어 농업용수, 생활용수, 공업용수 등의 취수원으로 활용되지만, 최근에 설치되는 보(가동보)들은 수문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보의 운영은 보 상류의 유속, 수심, 흐름 특성, 하천 형상 등의 변화를 발생시킨다. 특히 하류 보는 운영현황에 따라 하천 흐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하천 흐름 특성에 핵심적인 요소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수위-유량관계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함평천 유역에 위치한 함평군(영수교)관측소를 대상으로 하류 약 1.3km에 위치한 개량형 공압식 가동보의 2021년 기립각도 변화에 대한 보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수위-유량관계 변화를 분석하였다. 2021년에는 가동보의 기립각도 변화 및 취수조건에 따라 총 37회의 수위관측 및 유량측정을 하였으며 총 29회의 가동보의 기립각도를 계측하였다. 2021년 전반기에는 부분개방1, 부분개방2, 부분개방3, 완전개방, 취수조건으로 기간 분리되었고 후반기에는 완전개방, 부분개방3, 부분개방4, 부분개방5 조건으로 가동보의 기립각도에 따라 총 6개의 기간분리가 발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하류 가동보 운영현황에 대한 보 모니터링과 흐름 특성이 변화하는 기간의 유량측정성과 확보를 통해 신뢰도 높은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생산된 유량자료는 정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The Development of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Storm Overflow Chamber Device (우수토실 일체형 하수유량조절장치 원격관리시스템 개발)

  • Jeon, In-Jae;Kim, Ki-Bo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6
    • /
    • pp.61-68
    • /
    • 2018
  • This paper propose the remote monitoring system using LoRa networks about storm overflow chamber, which is a device designed to discharge rainwater directly to a sewage treatment plant when it reaches a certain amount of rainfall during precipitation. In this system, when the information produced by the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LoRa network server and updated, the application server can automatically receive data through the implemented communication interface. The application server carries out management functions of storm overflow chamber devices and subscription information, collects measured flow rate and opening-closing information, and provides statistical information using the collected data. The android app performs a firebase-based notification function to prompt the user of malfunctioning of the storm overflow chamber device.

Reservoir System Operation for Minimizing Flood Damage in Imjin River Basin (임진강 유역 홍수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저수지 연계운영)

  • Yang, Wonseok;Yu, Myungsu;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57-157
    • /
    • 2016
  • 임진강 유역은 62.9%가 북한에 위치하여 수문자료 획득이 어려우며 북측의 무단방류로 남측 저수지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과거 피해사례를 살펴보면 1996년, 1998년, 1999년, 2011년 및 2013년 이상 강우로 인한 홍수가 발생하였다. 또한 북측 댐의 무단방류로 2009년 임진강 하류에서 야영하던 관광객 6명이 사망하였고 1억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의한 수해 피해와 북한의 무단방류로부터 수해를 예방하고자 군남홍수조절지와 한탄강홍수조절지댐 사업이 추진되었다. 현재 북한의 댐 운영 등 수자원 관련한 정책 결정 과정에 한국이 관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항시 무단방류로 인한 홍수피해에 노출된 상황이다. 그리고 기후변화에 의한 강우의 지역적 편차 등 수문 자료에 불확실성 증가가 되고 있지만 임진강 상류의 정확한 수문 자료를 획득을 할 수 없어 홍수와 같은 위급 상황 시 대처가 어려운 실정이므로 급작스러운 위급 상황 시 하류의 홍수피해를 최소화하고 대비하기 위한 효율적인 저수지 운영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군남홍수조절지와 2016년 5월 완공 예정인 한탄강홍수 조절댐과 연계운영을 통해 홍수조절 저감효과를 검토하였다.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임진강 중 하류에 위치한 적성수위표 지점의 실측 유량값과 모의 유량값을 비교하여 모형을 검증하였고, 홍수조절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수치해석을 이용한 화학제주입탱크의 주입시간 특성분석

  • 박병호;김은기;김유환;고용상;장근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b
    • /
    • pp.55-60
    • /
    • 1996
  • 원자력발전소 운전시 원자로냉각재는 부식 방지를 위해 적절한 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어야한다. 이러한 원자로냉각재의 수질화학 조절은 유량조절 기능과 화학제주입 기능을 가진 화학 및 체적제어계통의 화학제주입탱크 및 체적제어탱크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영광5,6호기에서 화학제주입계통의 연결위치를 충전펌프 후단에서 전단으로 변경하고, 원자로보충수펌프에 의하여 화학제주입을 수행할 경우 요구되는 주입운전시간 특성에 대해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설계요건에서 요구되는 화학제주입탱크의 용량 및 주입유량을 고정하고 탱크의 구조적형상 변경, disk block 설치 및 주입속도를 변경(입구배관 크기 변경)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시간변화에 대한 탱크 내에서의 유속분포, 농도분포, 평균농도 등 을 구하였다. 분석결과 발전소의 빠른 화학제주입운전을 위해서는 탱크 내에 혼합효과를 중대 시킬 수 있는 disk block의 설치가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Comparison of refrigerant flow through capillary with short tube orifice (모세관과 오리피스 팽창장치의 냉매유량 조절특성의 비교)

  • 김용찬;최종민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10 no.1
    • /
    • pp.118-128
    • /
    • 1998
  • Capillary and short tube orifice have been widely used as an expansion device in refrigeration and air-conditioning system. To improve the system performance, expansion devices need to be optimized with the components of a refrigeration system. In the present study, a numerical model for a capillary, which can predict properties along a tube and flow rate through a tube, was developed by assuming homogeneous two-phase flow, A semi-empirical flow model that can be used to evaluate the flow rate through a short tube orifice was also developed by summarizing the experimental data. Finally, the results of the numerical model for capillari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semi-empirical model for short tube orifices to verify dominant flow factors for the expansion devices.

  • PDF

Gas Flow Pattern Through a Long Round Tube of a Gas Fueling System (II) (기체연료주입계의 긴 원형도관에서 기체 흐름의 유형 (2))

  • In, S.R.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15 no.6
    • /
    • pp.594-604
    • /
    • 2006
  • Gas fueling systems operated in the mode of a fixed valve opening at a constant line pressure, and the mode of a constant inlet flow are simulated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as flow pattern and the tube dimensions under various system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