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동 입자층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6초

S/B 라텍스 특성에 따른 커튼코팅용 도공액의 커튼안정성 변화

  • 김채훈;이학래;최은희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27-227
    • /
    • 2010
  • 기존 도공지 생산 공정에서 널리 사용되던 블레이드 도공방식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커튼코팅 방식은 스크래치, 스트릭, 미스팅, 블레이드의 마모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고고형분 도공이 가능하며 우수한 커버리지를 갖는 도공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코팅 유닛에서 여러개의 도공층을 한번에 형성시킬 수 있어 설비투자비용 및 건조에너지, 공간활용도 절감 측면에서도 한층 유리하다. 커튼 코팅 방식에서 도공액의 유동은 도공액이 필름 형태로 사출되는 sheet forming zone, 도공액 커튼이 낙하하는 curtain flow zone, 도공액 커튼이 원지와 접촉하는 impingement zone으로 나뉜다. 커튼 코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sheet forming zone과 curtain flow zone에서 도공액이 얇은 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impingement zone에서는 고속으로 이송되는 도공원지에 의한 급격한 신장 조건에서 도공액 필름이 끊어지지 않고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유화제를 통해 동적 표면 장력을 낮초고 rheology modifier를 통해 점도 및 신장점도를 조절해 도공액의 커튼 안정성을 부여하는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 도공액 제조시 바인더로 널리 사용되는 S/B 라텍스는 입도, 유리전이온도, 표면전하 등 그 특성을 달리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에 따라 도공액의 점도와 같은 유변특성이 변화하여 도공액의 커튼 안정성에 영향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입자경과 유리전이온도, 카르복실화 정도 등을 달리한 다양한 S/B 라텍스를 사용하여 유변특성을 달리한 도공액을 제조하고 커튼 안정성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PDF

경계층 외부 수직날의 마찰저항 저감 기구에 대한 PIV 관측 (PIV Investigation on the Skin Friction Reduction Mechanism of Outer-layer Vertical Blades)

  • 박현;안남현;박성현;전호환;이인원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0-28
    • /
    • 2011
  • An experimental assessment has been made of the drag reducing efficiency of the outer-layer vertical blades, which were first devised by Hutchins. The drag reduction efficiency of the blades was reported to reach as much as 30%. However, the drag reduction efficiency was quantified only in terms of the reduction in the local skin-friction coefficient. In the present study, a series of drag force measurements in towing tank has been performed toward the assessments of the total drag reduction efficiency of the outer-layer vertical blades. A maximum 9.6% of reduction of total drag was achieved. The scale of blade geometry is found to be weakly correlated with outer variable of boundary layer. In addition, detailed flow field measurements have been performed using 2-D time resolved PIV with a view to enabling the identification of drag reduction mechanism.

모형선 시험을 통한 외부경계층 수직 날 배열의 저항저감효과 검증 (Verification of Drag Reduction Effect of Outer-layer Vertical Blades based on Model Test)

  • 이성훈;이인원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6-34
    • /
    • 2018
  • In the present study, an experimental assessment has been made of the drag reducing efficiency of the outer-layer vertical blades, which were first devised by Hutchins(1). A detailed flow field measurements have been performed using 2-D time resolved PIV with a view to enabling the identification of drag reduction mechanism. In addition,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has been made of the applicability of outer-layer vertical blades to real ship model. The arrays of outer-layer vertical blades have been installed onto the flat side and flat bottom of a 300k KVLCC model. A series of towing tank test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resistance (CTM) reduction efficiency with various geometric parameters and installed places of blades. The installation of vertical blades led to the CTM reduction of 1.44~3.17% near the service speed.

PIV를 이용한 Weis-Fogh형 수차의 유동장 가시화 (Visualization of Flow Field of Weis-Fogh Type Water Turbine Using the PIV)

  • 노기덕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1권3호
    • /
    • pp.191-197
    • /
    • 2017
  • 본 연구는 Weis-Fogh형 수차모델의 비정상 유동장을 PIV를 이용해 가시화한 것이다. 실험은 비교적 효율이 높은 날개의 열림각 ${\alpha}=40^{\circ}$ 및 날개의 이동 속도에 대한 일정류의 속도비 U/V=1.5~2.5 범위 내에서 진행했다. 유동장은 각 실험 파라메터에 대해 열리는 과정, 병진운동의 과정 및 닫히는 과정으로 나누어 고찰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열리는 과정에서는 날개와 벽 사이에 유체가 흡입되며, 그 유입속도는 열림각이 클수록, 속도비가 클수록 증가했다. 병진운동의 과정에서 날개 압력면의 유체는 날개의 이동방향으로 움직였으며, 배면에서의 경계층의 두께는 속도비 2.0일 때 가장 작았다. 닫히는 과정에서는 날개와 벽 사이에서 유체가 분출되며, 그 분출속도는 열림각이 작을수록 증가했지만, 속도비와는 관계가 없었다.

직사각형 프리즘 주위의 유동구조에 대한 경계층 두께의 영향 (Effect of Boundary Layer Thickness on the Flow Around a Rectangular Prism)

  • 지호성;김경천;이승홍;부정숙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6권6호
    • /
    • pp.893-901
    • /
    • 2002
  • Effect of boundary layer thickness on the flow characteristics around a rectangular prism has been investigated by using a PIV(Particle Image Velocimetry) technique. Three different boundary layers(thick, medium and thin)were generated in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Wind Tunnel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The thick boundary layer having 670 mm thickness was generated by using spires and roughness elements. The medium thickness of boundary layer($\delta$=270 mm) was the natural turbulent boundary layer at the test section floor with fairly long developing length(18 m). The thin boundary layer($\delta$=36.5 mm) was generated on the smooth panel elevated 70cm from the wind tunnel floor. The Reynolds number based on the free stream velocity(3 ㎧) and the height of the model(40 mm) was 7.9$\times$10$^3$. The mean velocity vector fields and turbulent kinetic energy distributions were measured and compared. The effect of boundary layer thickness was clearly observed not only in the length of separation bubble but also in the location of reattachment point. The thinner the boundary layer thickness, the higher the turbulent kinetic energy Peak around the model roofbecame.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the height ratio between the model and the approaching boundary layer thickness should be encountered as a major parameter.

삼상유동층 반응기에서 토양미생물에 의한 유기성 폐수처리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Treatment of Organic Wastewater by Soil Microbes Using Three-phase Fluidized Bed)

  • 정연규;전양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207-217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기체 액체 고체의 직접접촉이 일어나는 3상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하여 유입상승 유속에 의한 공극률의 변화와 생물막의 두께 및 밀도를 관측하였다. COD의 용적부하율은 반송비(r=0.2, 0.4, 0.6)로 조절하여 $201.12-1150.8g/m^3{\cdot}d$로 하였으며, 고체 매질로는 연탄재입자(평균유효입경 : 1.34 mm)와 유리비드(3 mm)를 사용하여, 매질의 차이에 따른 반응기의 효율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반송비를 일정하게 고정시킨 경우, 연탄재 매질에 의한 생물막의 두께가 유리비드를 사용한 것보다 약 4.8배 두꺼우며, COD 제거 효율은 두 매질사이에는 변화가 거의 없으나, 암모니아성 질소의 제거에는 연탄재의 경우가 약간 높았다. 반응조내의 식종균으로는 합성폐수와 유사한 배지에서 동정 분리하여낸 토양미생물을 이용하였다 이 토양미생물은 기존의 활성슬러지균 보다 점착력과 침강성이 뛰어났다.

  • PDF

합성가스 중 $H_2S$ 정제용 탈황제의 물성 및 반응특성 (Physical Properties and Sulfur Absorption Capacity of Spray-dried Solid Sorbents for Desulfurization of Syngas)

  • 백점인;이중범;김지웅;엄태형;류정호;전원식;류청걸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80-883
    • /
    • 2009
  •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 시스템에서 합성가스 중에 포함된 황화수소($H_2S$)는 후단의 가스 터빈과 같은 장치의 부식을 방지하고, 합성가스를 이용하는 연료전지 등의 연계 공정에서 요구하는 수준에 맞추어 정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H_2S$ 정제공정 추가에 따른 IGCC 시스템의 효율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고온고압에서 사용가능한 탈황제를 분무건조법을 이용하여 제조하고 제조된 탈황제에 대해 물성 및 황 흡수능 시험을 실시하였다. 형상, 내마모도, 평균입자크기, 충진밀도와 함께 제조된 탈황제가 적용되는 유동층 공정에 적합한 강도를 보유하는지 여부를 미국표준시험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황 흡수능은 열중량분석기를 반응기로 사용하여 모사 합성 가스 분위기에서 측정하였다. 분무건조 성형된 탈황제의 일부가 구형이 아닌 타원형 또는 도넛 형태를 나타내고 있어 형상 개선을 위한 제조방법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된 탈황제는 기공도가 65% 이상으로 macropore가 기공부피의 대부분을, mesopore가 비표면적의 대부분을 제공하고 있었다. 소성온도를 650 $^{\circ}C$에서 750 $^{\circ}C$로 증가시킴에 따라 대체로 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열중량분석기로 측정된 황 흡수능은 약 10 wt%로 나타났다. 제조된 탈황제 중 일부는 유동층 공정에 적합한 물성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반응성 또한 기존에 개발된 탈황제에 버금가는 성능을 나타내어 향후 공정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두꺼운 난류경계층 내부에 놓인 직사각형 프리즘 주위의 유동구조 (Flow Structure Around a Rectangular Prism Placed in a Thick Turbulent Boundary Layer)

  • 김경천;지호성;추재민;이석호;성승학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6권4호
    • /
    • pp.578-586
    • /
    • 2002
  • Flow structures around a rectangular prism have been investigated by using a PIV(Particle Image Velocimetry) technique. A thick turbulent boundary layer was generated by using spires arid roughness elements. The boundary layer thickness, displacement thickness and momentum thickness were 650mm, 117.4mm and 78mm, respectively. The ratio between the model height(40mm) and the boundary layer thickness H/$\delta$, was 0.06. The Reynolds number based on the free stream velocity and the height of the model was 7.9$\times$10$^3$. The PIV measurements were performed at three different wall normal planes. Three recirculation regions at forward facing step, top of the roof and backward facing step are clearly seen and show three dimensional features. Dramatic changes of flow patterns are observed in the wake regions in the different spanwise wall normal planes. Instead of reattachment and recirculation zone, rising streamlines are depicted at the normal planes near the side wall due to the interaction with a rising horse shoe vortex. The peak of turbulent kinetic energy occurs at the separation bubble on top of the roof and the magnitude is 2.5 times higher compared with that of the wake region.

발전소 비산재를 결합재로 활용한 로내탈황용 석회 흡수제의 탈황효율 (Desulfurization Efficiency of Lime Absorbent in In-Furnace Desulfurization as Fly Ash Binder in Power Plant)

  • 서준형;백철승;조진상;안지환;윤도영;조계홍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7권3호
    • /
    • pp.58-65
    • /
    • 2018
  • 국내 순환유동층보일러형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석탄재의 재활용을 위해 석회석 미분말과 CFBC 비산재를 이용하여 0.2~0.4 mm 크기를 가지는 석회계 흡수제를 제조하였다. 석회계 흡수제에 소석회를 소량 혼합한 결과 칼슘실리케이트 성분이 입자 표면에 형성되어 강도가 향상되었으며, 탈황특성을 비교한 결과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로내탈황용 석회석보다 약 10% 정도 높은 전환율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탈황 흡수제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회분식 유동층 반응기에서 석탄과 촤의 매체순환연소 특성 (Chemical Looping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Coal and Char in a Batch Type Fluidized Bed Reactor)

  • 류호정;현주수;김영주;박영성;박문희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884-894
    • /
    • 2011
  • Effects of temperature, volatile content, particle diameter and solid input weight were investigated in the batch fluidized bed reactor using OCN703-1100 particle as oxygen carrier and Roto coal and char as fuels. Two solid fuels represented the best reactivity at different temperature, $900^{\circ}C$ for Roto coal and $950^{\circ}C$ for char, respectively. However, we selected $900^{\circ}C$ as the best operating temperature because the improvement of reactivity of char at $950^{\circ}C$ was negligible. Char represented better reactivity than Roto coal because char contains low volatile than Roto coal. For both solid fuels, reactivities were improved with increasing of the particle diameter. These results were explained by solid mixing tests in a transparent fluidized bed using two char particles having different particle size ranges and OCN703-1100 particle. The bigger particle showed better solid mixing with OCN703-1100 particle, and therefore, represented better reactivity. For both solid fuels, reactivities were improved with increasing of the solid input weight withi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of this study because the weight of coarse particles increased with the solid input weight increased, and therefore, these coarse particles can mix well with the oxygen carr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