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독성

검색결과 337건 처리시간 0.023초

산화티탄 및 CuO 가 담지된 산화티탄을 이용한 NO 의 광촉매 반응특성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NO by photocatalysis with $TiO_2$ and CuO/$TiO_2$)

  • 임탁형;김상돈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0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33-236
    • /
    • 2000
  • 산업발달과 더불어 급속한 속도로 오염되고 있는 환경문제는 날로 두드려져 그린하우스 효과, 산성비 등의 출현과 더불어 세계 곳곳의 기후이변을 야기하였다. 그 원인은 지구상에서 빠른 산업화 및 과학화로 인하여 화석연료의 과다사용과 그 매연으로 인한 지구환경의 불균형을 초래하였기 때문이며, 지구온난화는 그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구환경 보전문제로서 새로운 유독성 오염물질의 처리기술이 요구되며 에너지 고갈을 대비한 비에너지 소비성 분해기술의 확보가 시급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태양에너지와 같은 무공해 에너지원을 driving force 로 활용하여 유독성 오염물질을 상온에서 완전 분해하여 전혀 무해한 물질로 분해하는 시스템의 개발은 필수적이다.(중략)

  • PDF

포장과 법률 - 유독물 등의 분류기준 및 표시방법에 관한 규정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245호
    • /
    • pp.113-121
    • /
    • 2013
  • GHS는 화학물질의 분류 표시에 대한 세계조화시스템(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으로 동일한 화학물질에 대해 국제적으로 동일한 유해 위험성 분류 표시를 하기 위한 새로운 규정이다. 화학물질의 분류 표시는 화학물질이 갖는 여러 가지 유해성, 위험성을 적절히 판별하고, 그 정도에 따라 분류한 다음, 가장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표시하는 것이 그 목적이며 올바른 정보제공을 통한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국제적인 조화를 통하여 화학물질의 적정 평가 및 국제적 교역을 증대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에서는 유독물 등의 분류기준 및 표시방법에 관한 규정과 유독물의 표시규격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 PDF

유독성 유기화합물 제거를 위한 흡착제 개발(II) - Organo-anthracite에 의한 유기화합물의 흡착용해 특성 - (Development of Adsorbent for Removing Toxic Organic Compounds(II) - Characterization of Adsolubilization of Organic Compounds by the Organo-anthracite -)

  • 장현숙;박상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57-56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수용액 중의 유독성 유해물질로 미량으로 존재하여도 치명적 독성을 가진 난용성 유기오염물(sparingly soluble organic compounds, SSOCs)의 제거를 위한 흡착제 개발을 목표로 양이온 계면활성제(cetyltrimetylammonium bromide, CTAB)로 표면 개질된 organo-anthracite의 유기화합물 제거능을 조사하고, 흡착 특성을 분배계수 (partition coefficient, $K_d$) 로 평가함으로써 organo-anthracite의 유기물질 흡착메카니즘을 규명하고자 히였다. Organo-anthracite는 CTAB가 흡착됨에 따라 전 pH 범위에서 표면전위가 양의 값으로 상닫히 증가되었으며, 또한 표면의 소수성이 증가되어 표면전하가 pH에 비의존적으로 나타났다. pH 2~10의 용액을 탈리액으로 하여 organo-anthracite의 탈착성을 실험한 결과 0% 의 탈착율을 나타내어 전 pH 범위에서 안정함을 알 수 있었고, 이를 이용한 제거실험에서 츠기 농도 $6{\times}10^{-4}M$인 클로로포름과 벤젠이 전 pH범위에서 95% 이상 제거되었다. Organo-anthracite와 유기화합물간의 분배계수 $K_d$값은 실측치가 이론치보다 4~25배의 높은 값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른 흡착제에 비해 organo-anthracite내에서 SSOCs의 분배가 더 쉽게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독성 유기오염물질을 포함하는 폐수의 처리시 흡착제로써 이용이 가능하며 또한 organo-anthracite를 매립지의 차수막으로 이용시 유독성 유기 오염물질의 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아파트 마감재의 연기 유독성 (A Toxicity of Interior Upholstery in Apartment Housing)

  • 함상근;김홍;한상범;김운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6-43
    • /
    • 2001
  • 아파트 내장재 중 마감재로 사용되는 벽지, 목재합판 및 장판 등을 사용하여 LOl(Limit Oxygen Index)와 NES 713의 측정방법으로 연소가스 방출특성을 고찰한 결과 난연 벽지, 장판 등의 난연성은 우수하였으나, 난연 벽지의 경우 점화원이 지속적으로 제공이 되어지면 유독가스를 많이 배출하였다. 장판, 벽지 및 합판을 질량별로 연소특성을 고찰한 결과 단일 CO의 양은 벽지가 가장 많이 측정되었으나 CO/Mass loss는 장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장판의 경우 연소시 적은 양의 연소로도 많은 유독성 가스를 방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방염처리된 단청목재의 방염성능 및 유독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and Toxicity of the Painting Wood Painted with Flame Retardant Solution)

  • 김인범;현성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66-7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방염처리 단청목재에 대한 방염성능 및 연소가스를 분석하여 그 독성지수에 근거한 유독성을 평가하였다. 시료에 대한 방염처리방법과 시료처리의 환경조건은 방염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소가스의 발생량은 방염액을 분무도포한 시료들에서 거의 비슷한 발생량을 보였고 독성지수는 위험등급 III에 해당하는 높은 위험도를 나타내었고, 방염액을 가압함침시킨 시료가 상대적으로 낮은 위험도인 위험등급 II를 나타내었다.

광촉매 TiO$_2$의 표면특성 고찰 (Surface Characterization of Photocatalyst TiO$_2$)

  • 이도현;하진욱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3-236
    • /
    • 2000
  • 산업화에 따라 발생하는 산업폐수에는 많은 종류의 유해한 유기물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독성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기존의 처리 방법들은 2차 환경오염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최근 폐수처리에 광촉매를 이용한 광분해 반응이 기존의 처리방법들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과 폐수중의 유독성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공정이라는 보고가 있은 후 광촉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촉매 TiO₂의 표면특성을 XRD, SEM 및 BET를 사용하여 자세히 고찰하였다. XRD 결과 Degussa P25는 anatase 구조와 rutile 구조가 섞인 형태였으며, Aldrich Degissa TiO₂는 100% anatase 구조, KIER TiO₂는 100% rutile 구조를 가졌고 SEM 결과 Aldrich와 Degussa TiO₂의 입자형태는 작은 입자들이 뭉쳐있는 형태였으나 KIER TiO₂는 작은 입자들이 독립적으로 분리된 타원형으로 입자크기가 가장 컸다. 반면 BET 결과 Degussa TiO₂의 비표면적이 59㎡/g으로 Aldrich TiO₂(6㎡/g)나 KIER TiO₂(14 ㎡/g)에 비하여 매우 큼을 알 수 있었다.

한국 식품중의 유독성 진균에 관한 연구(제7보) Penicillium 속의 유독성에 대하여 (Studies on the Population of Toxigenic Fungi in Foodstuffs (Ⅶ) Toxicological approches to the Penicillium sp. metabolites isolated from foodstuffs)

  • 고춘명;김성광;조세훈;김세종;최태주;류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9-27
    • /
    • 1974
  • 식품중에서 분리한 Penicillium 속에 대하여 Hela cell과 ICR-mouse를 이용한 독성 여부를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총 실험균주 Penicillium 속 31주 가운데 Helacell에 대하여 독성을 나타내는 균주는 9주(P-32, P-47, P-56. P-63, P-66, P-67, N$_1$-3, N$_1$-12 및 RC-8)이었다. 2. 실험균주중 ICR-mouse에 대하여 독성 및 병변을 유발한 것은 31주 중에서 7주(P-32, P-63, P-66, P-67, $N_2$-1 N$_1$-2 및 RC-8)이였다. 3. Hela cell을 이용하여 진균의 유독성 여부를 screering 하는것은 가능한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 PDF

태양광을 활용한 선체방오시스템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ti-Fouling System Using a High Frequency?High Voltage Pulse Power)

  • 김신효;김희제;김현민
    • 선박안전
    • /
    • 통권34호
    • /
    • pp.18-32
    • /
    • 2013
  • 최근 선저 부착 생물에 관한 문제가 환경오염으로 확대되고 그에 따른 여러 가지의 선체 방오 방법 중 특히 주석(Sn)의 화합물질의 화학반응으로 따개비 등의 오염 요소를 방지하는 기존 방법이 수은, 구리 등의 유독성 화합물에 의해 임포섹스 유발과 그에 따른 2차 오염 확산의 요인이 되어 2012년 7월부터는 유기주석화합물(TBT) 도료를 사용한 신규 선박은 규제되는 등 그 심각성이 대두하고 있다. TBT는 매우 미량의 농도에서도 다양한 생물학적 저해영향을 일으키는 것이 알려져 이를 대체하기 위한 여러 화학물질이 개발됐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추세에 따라서, 유독성 화합물의 독성을 벗어나 저 전류의 고주파 고전압 펄스 에너지를 이용한 새로운 환경조성을 통해서 부착성 패류의 선저 부착에 대한 특성을 연구하였으며, 특히 환경오염 및 해양오염에 영향이 적은 방오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적용된 고전압 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선체의 부식정도를 저감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을 위한 기초 실험과 현재 이슈화 되고 있는 선박평형수의 살균장치에 적용하는 파생연구들을 통하여 해양오염방지 요소들을 겨냥하여 후속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