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도미사일

Search Result 77,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Optimal Terminal Guidance Law for BTT Missiles Considering Impact-Angle Constraint of Stationary Target (정지 표적의 표적 충돌각을 고려한 BTT 미사일의 최적 종말 유도 법칙 설계)

  • Yeom, Joon-Hyung;Park, Sung-Min;Ha, In-Jo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737_1738
    • /
    • 2009
  • 미사일의 표적 충돌각을 원하는 각도로 제어하는 것은 표적의 취약점을 공략하기 위해 필수적인 기술이다. 표적 타격 지점 및 충돌각을 고려하지 않으면 타격에 성공하였다고 하더라도 표적의 방어 능력이 좋거나 신관이 충돌각에 민감하면 표적의 효과적인 파괴에 실패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유도 미사일의 종말 유도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미사일이 표적을 타격하는 각도인 표적 충돌각(Impact Angle)을 제어할 수 있으면 적정 비행경로의 설정에 유리하고 우회공격 등이 가능할 뿐 아니라 미사일 탄두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을 갖는 표적 충돌각 유도 기법에 대한 연구는 아직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지는 못하다. 기존 연구 결과들은 2차원 평면상에서의 충돌각 제어만을 다루고 있어, 요와 피치 채널의 커플링 문제가 있는 BTT 미사일에 적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미사일 동역학을 무시하거나 단순화하여 문제를 풀고 있기 때문에 실제 상황에 적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공간상에서의 롤 명령을 모두 포함하면서 동시에 미사일 자동조종제어기, 핀 구동기 동역학을 모두 고려한 새로운 BTT 미사일의 표적 충돌각 유도 기법을 제안한다.

  • PDF

선진국 주요장비 현주소 및 추세(2)

  • Jo, Jeong-Seo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6 s.172
    • /
    • pp.44-51
    • /
    • 1993
  • 전술 미사일은 전파 혹은 적외선을 사용해 목표를 탐지하고 미사일을 유도하는 호밍유도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앞으로 미사일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센서부의 고감도, 고기능화, 방해배제능력의 향상에 주력해야 합니다 또한 급속도로 발전해 가는 직접회로 기술과 디지털 신호 처리기술을 접목시켜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신호의 고도처리와 미사일의 운동제어에 응용함으로써 운용형태와 환경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해야 합니다. 이와함께 미사일 개발에서 소프트웨어의 개발중요성이 더욱 제고되어야 합니다

  • PDF

개인 휴대용 방공체계 (MANPADS) 발전 및 현황

  • Guest Peter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6 s.172
    • /
    • pp.58-63
    • /
    • 1993
  • 개인 휴대용 방공 무기체계의 야전배치는 항공기 및 헬기에 대한 자체방어 능력을 강화시켜 줍니다 제3세대 가시선 통제 유도 시스템의 휴대용 미사일은 다른 화기나, 현재 운용중인 적외선 유도미사일보다 가격이 저렴하며, 보다 유용하고 효과적입니다

  • PDF

Theoretical Analysis of the Lock-on Range of a Man-portable Air Defense System Under Foggy Conditions with the Radiative-transfer Equation (복사전달방정식을 활용한 안개 조건에서의 휴대용 대공 유도미사일 Lock-on range에 대한 이론적 분석)

  • Seok, In Cheol;Lee, Chang Min;Hahn, Jae W.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30 no.1
    • /
    • pp.1-7
    • /
    • 2019
  • MANPADS (man-portable air defense system) is a counterweapon system against enemy aircraft, tracking the MWIR (mid-wavelength of infrared) signature of the plume. Under foggy conditions, however, multiple scattering phenomenon caused by the particles affects the MWIR transmittance, and the MANPADS detection performance.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lock-on range of MANPADS with varying fog conditions and plume characteristics. To analyze the optical extinction properties and transmittance in fog, Mie scattering theory and analytic solution of the radiative-transfer equation are utilized. In addition, we used flare signature as an alternative MWIR light source. We confirmed that the lock-on range could be noticeably reduced under conditions of mist, and proportional to the flare temperature.

A Study of Load Control for Missile Guidance on Load Control Model (하중 제어 모델에서의 미사일 유도 법칙 하중 제어에 관한 연구)

  • Wang, Hyun-Min;You, Jeong-B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9 no.6
    • /
    • pp.1585-1591
    • /
    • 2008
  • Recently it is tried to use load control for maneuver moving object. MIN design method proposed to solve control problem of nonlinear system using load concept. Min design method shows direct method for finding control value on the load control model. In this paper, is shown load control value for problem of line of sight on missile guidance. The load control value keep given velocity of missile and angle of attack for tracking target.

Optimal Terminal Guidance Law for BTT Missiles considering Impact Angle (표적 충돌각을 고려한 BTT 미사일용 최적 종말 유도 법칙)

  • Park, Noh-Yong;Park, Jin-Won;Song, Seong-Ho;Ha, In-Jo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0a
    • /
    • pp.217-218
    • /
    • 2007
  • 최근 개발된 비선형 자동조종 제어기를 사용하면 비행 환경에 무관하게 BTT 미사일의 입출력 동특성이 일정한 선형 시스템의 형대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특성을 바탕으로 BTT 미사일이 목표물의 취약 지점을 정밀하게 요격할 수 있도록 자동조종장치 동역학의 시간 지연 효과를 고려하여 표적 충돌각을 최소화하는 최적 종말 유도 법칙을 설계하였다. 제안된 최적 종말 유도 법칙은 극좌표 변환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가제어성을 보장하며, 가속도 편향값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유도 법칙에 비하여 미사일의 기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 PDF

저고도 대공방어 무기체계-균형유지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 Son, Seong-Yu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3 s.229
    • /
    • pp.80-91
    • /
    • 1998
  • 오늘날 기동하는 장갑부대 및 기계화부대등 고가의 군사자산 보호는 제5의 위협으로 상정한바 있는 지상공격기(항공기, 유도미사일, 무인항공기 등)의 다양한 공격위협과 교전할 수 있는 전천후 방공능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서방 선진국은 저고도용 지대공 미사일(스팅어, 스타버스트, 미스트랄, RBS-70, 이글라 등)개발과 단일 장갑 차량에 "복합 방공무기체계"를 경쟁적으로 개발 및 운용하고, 중단거리 기동 방공체계를 연구 개발중이다. 특히 고도로 유동적인 장차전의 전장환경에서 적은 최신 무기로 공중침투 공격을 감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선진국의 "저고도 대공방어 무기체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 PDF

Effect of Evasive Maneuver Against Air to Air Infrared Missile on Survivability of Aircraft (공대공 적외선 위협에 대한 회피기동이 항공기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

  • Bae, Ji-Yeul;Bae, Hyung Mo;Kim, Jihyuk;Jung, Dae Yoon;Cho, Hyung Hee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30 no.6
    • /
    • pp.501-506
    • /
    • 2017
  • An infrared seeking missile does not emit any signal by itself as it is guided by passive heat signature from an aircraft.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the target aircraft to notice the existence of incoming missile, making it a serious threat. The usage of MAW(missile approach warning) that can notify the approaching infrared seeking missile is currently limited due to its high cost. Furthermore, effectiveness of MAW against infrared seeking missile is not available in open literature. Therefore, effect of evasive maneuver by MAW on the survivability of the aircraft is simulated to evaluate the benefit of the MAW in this research. The lethal range is used as a measure of aircraft survivability. An aircraft flying at an altitude of 5km with Mach 0.9 being tracked by air-launched AIM-9 infrared seeking missile is considered in this research. As a variable for the evasive maneuver, the MAW recognition distance of 5~7km and the G-force of 3~7G that limits maximum directional change of the aircraft are considered.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recognition of incoming missile by MAW and following evasive maneuver can reduce the lethal range considerably. Maximum reduction in lethal range is found to be 29.4%. Also, the MAW recognition distance have a greater importance than the aircraft maneuverability that is limited by structural limit of the aircraft.

A Feedback-Form of Terminal-Phase Optimal Guidance Law for BTT Missiles Considering Autopilot Dynamics (자동조종장치 동역학을 고려한 궤환 형태의 BTT 미사일용 최적 종말 유도 법칙)

  • Yoo, Seong-Jae;Hong, Jin-Woo;Ha, In-Jo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4 no.3
    • /
    • pp.203-211
    • /
    • 2016
  • In contrast with STT missiles, the guidance law design for BTT missiles should be based on 3-dimensional pursuit kinematics, since the pitch and roll channels of BTT missiles are coupled dynamically. More generally than the prior works, the dynamics of pitch and roll channels, as well as 3-dimensional pursuit kinematics ar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our terminal-phase optimal guidance law for BTT missiles proposed in this paper. Thereby, the proposed optimal guidance law guarantees high capturability with small miss distance without significant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time-lag effect even in case of relatively slow autopilot dynamics. Moreover, the resulting optimal guidance law is expressed explicitly in feedback-form with the coefficients given as the functions of time-to-go. The effectiveness and practicality of our work is demonstrated through various simulation results.

Recent Status on Miniature Smart-bullet Techniques (초소형 스마트탄 최근기술 동향분석)

  • Lee, Seongheon;Cho, Hanjin;Cho, Youngki;Bang, Hyocho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3 no.3
    • /
    • pp.272-281
    • /
    • 2015
  • Miniature smart-bullet is a human-carrying guided missile designed to hit a target easily while having a miniature size. Contrary to the normal missiles, miniature smart-bullet is highly expected to enhance the military strength and survival rate of troops by its compact size readily carriable to a single soldier. In this paper, previously developed techniques, activities and patents of miniature smart-bullet, particularly its structural shape and actuators are surveyed. Furthermore, analysis of required techniques to develop a miniature smart-bullet are also discussed for upcoming conceptual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