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단백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31초

참깨 품종별 Sesamin, Sesamolin 함량 변이 (Quantitative Analysis of Sesamin and Sesamolin in Various Cultivars of Sesame)

  • 김금숙;김동휘;정미란;장인복;심강보;강철환;이승은;성낙술;송경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496-502
    • /
    • 2004
  • 본 시험는 국내의 리그난 고함유 품종 개발이 미흡한 실정에서, 기존에 개발된 참깨 품종을 대상으로 항산화 성분인 리그난 화합물 및 지방산 조성 등의 품질을 분석 비교함으로써 리그난 고함유 품종 개발과 리그난 화합물의 건강기능식품으로의 소재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품질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002년, 2003년에 재배된 참깨 각각 21품종, 27품종을 대상으로, 2002년도의 세사민, 세사몰린의 평균함량은 각각 $4.08\pm1.74\;2.48\pm0.68mg/g$이었으며, 2003년도의 세사민, 세사몰린의 평균함량은 각각 $4.08\pm1.51\;2.48\pm0.67mg/g$이었다. 2. 흰깨, 검은깨의 2003년의 세사민 평균함량은 $4.87\pm0.73\;1.82\pm0.47mg/g$, 세사몰린 함량은 $2.85\pm0.25\;1.42\pm0.31mg/g$으로 세사민, 세사몰린 모두 흰깨가 검은깨보다 함량이 $2\~4$배정도 높았다. 3. 성분깨는 세사민, 세사몰린 함량이 2002년에는 각각 5.94, 3.26mg/g이었고, 2003년에는 각각 6.27, 3.21mg/g으로 모두 상위 $1\~2$위 순위에 분포하는 양상이었으나, 다른 흰깨 품종들은 재배 연수에 따라 절대함량은 물론 함량 순위에도 약간의 변이를 보였다. 4. 세사민은 2002년에는 단백깨(6.22mg/g), 성분깨(5.94mg/g), 남다깨(5.83 mg/g), 남안깨(5.59 mg/g) 순으로 함량 순위를 나타내었고, 2003년에는 성분깨(6.27 mg/g), 다삭깨(5.53mg/g), 단백깨(5.50mg/g), 진백깨(5.45 mg/g), 서둔깨(5.41mg/g) 순으로 함량 순위를 나타내었다. 5. 세사몰린은 2002년에는 황백깨(3.27mg/g), 성분깨(3.26mg/g), 안남깨(3.22 mg/g), 한섬깨(3.17 mg/g), 단백깨(3.16mg/g)순으로, 2003년에는 성분깨(3.21 mg/g), 서둔깨(3.04 mg/g), 풍안깨(3.10 mg/g), 남안깨(3.09 mg/g), 단백깨(3.04 mg/g) 순으로 함량 순위를 나타내었다. 6. 세사민 함량이 높은 단백깨, 성분깨, 다삭깨, 남다깨, 풍안깨 등은 성분깨가 $48.56\%$로서 기름함량이 다소 낮았으나 나머지는 $50.00\%$ 이상으로 양호한 기름 함량분포를 나타내었다.

한국인 위암에서 KLF4 단백 발현 양상 (Expression Pattern of KLF4 in Korean Gastric Cancers)

  • 송재휘;조용구;김창재;박조현;김수영;남석우;이석형;유남진;이정용;박원상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3호
    • /
    • pp.200-205
    • /
    • 2005
  • 목적: Zinc finger를 가진 KLF4는 위장관 상피세포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종양억제유전자이다. 연구자들은 KLF4 단백의 발현 변화가 위암의 발생에 관여하는지를 파악하고 위암의 병리 지표들과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84예의 파라핀 포매된 위암조직에서 암세포들을 각각 3군데에서 펀치하여 새로운 파라핀 블록으로 옮겨 위암의 tissue microarray를 제작하였다. Tissue microarray 절편에서 KLF4 단백에 대한 항체로 면역화학염색을 실시한 후 발현 양상을 병리 지표들인 조직학적 소견, 침습 정도, 림프절 전이 및 복막파종 등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KLF4 단백은 위점막의 표면과 소와 상피세포의 세포질과 핵에서 주로 발현되고 있었고 조사된 위암 84예 중 43예(51.2%)에서 발현이 현저히 저하되어 있거나 소실되어 있었다. 이러한 KLF4 단백의 발현 소실은 조직학적 소견, 침습 정도, 림프절 전이 및 복막파종과는 통계적으로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는 KLF4 단백의 발현 소실이 위장관 상피세포의 비정상적인 성장과 분화를 유도하고 위암의 발생 초기에 관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솔잎 향미유의 제조와 기호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Pine Needle Flavor oil)

  • 원종숙;안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9-138
    • /
    • 2001
  • 우리나라 어디서나 자생하고 있어서 비교적 쉽게 접할 수 있고 예로부터 약용, 향료, 구급 식료품 등으로 사용되어 온 소나무잎의 일반성분과 향기성분을 분석한 후 솔잎의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autoclaving법을 사용하여 솔잎 및 솔잎분말 향미유를 제조하여 저장중의 색도 변화와 산화정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실용 가능성 여부를 검토하기 위하여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솔잎과 솔잎 분말의 일반성분은 수분 함량이 각각 54.5와 8.2%, 조지방량은 4.9와 8.1%, 조단백질량은 1.4와 2.9%, 조회분은 0.8과 2.3%, 조섬유는 2.3과 4.9%, 탄수화물은 36.2와 73.7%였다. 2. 옥배유를 기질로 하여 제조한 솔잎 향미유의 산패도는 솔잎과 솔잎분말로 만든 솔잎 향미유들의 유도기간이 솔잎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유의 유도기간보다 각각 1.1 및 1.2배 증가되어 산패 억제가 인정되었으며 그 효과는 솔잎보다 솔잎분말로 제조된 향미유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3. 솔잎향미유의 저장중 색도의 변화는 기기적인 수치는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육안적으로는 PNO(pine needle falvor oil)는 저장에 따라 투명해지는 반면 PPNO(flavor oil from powdered pine needle)는 혼탁해짐을 알 수 있었다. 4. 솔잎 분말 향미유에서 33종의 향기 성분들이 분리되었으며 주 된 성분은 $\alpha$ -pinene 20. 1ppm(31.1%), pentane 6.4ppm(9.8 %), tricyclene 4.8ppm(7.5%) camphene 4.4ppm(6.8%), hexanal 4.0ppm(6.2%), propane 3.9ppm(6.0%), $\beta$ -pinene 3.6ppm (5.6%), limonene 2.5ppm(3.9%)등 8종이었으며, 이들 주요성분의 총량은 49.6ppm으로 전체 검출량의 76.8%를 차지하였다. 5. 솔잎 분말 향미유를 송편 제조시 솔잎 향을 주는 참기름의 대체 기름으로 사용가능성의 관능 검사 결과, 기호성이 낮았으나 솔잎 분말 향미유와 참기름을 1 : 1v/v로 혼합한 경우는 기호도가 참기름과 거의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p<0.05). 또한, 이 혼합유에 대해서 정량적 묘사검사를 실시한 결과 참기름의 고소한 향과 맛, 솔잎 분말 향미유의 솔잎향과 맛 등과 같은 특성들을 비교적 강한 것으로 인지(p<0.01)되어 송편의 맛과 향을 줄 수 있는 참기름대체 향미유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인삼 Extract의 부패성 미생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poilage Microorganism from Ginseng Extract)

  • 양재원;김영배;유태종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67-370
    • /
    • 1985
  • 인삼농축액이 미생물에 의하여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부패된 홍삼농축액으로부터 효모를 분리 동정하였고 홍삼농축액의 일반성분 및 사포닌의 조성을 조사하였다. 분리, 선발된 홍삼농축액의 부패성 효모는 형태학적, 배양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candida parapsilosis로 동정되었다. 홍삼농축액의 일반성분은 회분 3.85, 조지방 1.48, 조단백 15.3. 환원당 12.4, 전당 45.6% 및 기타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조사포닌 함량은 18.24%이었으며 각 ginsenoside의 구성은 Rb$_1$, Rg$_1$, Rc, Rb$_2$, Rf, Ra, Ro순이었으며 panaxadiol계 및 panaxatriol 계 saponin의 구성비는 1.56이었다.

  • PDF

유청 및 대두 단백질의 상호작용 (Interaction between Whey and Soybean Proteins)

  • 손동화;이형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4호
    • /
    • pp.361-370
    • /
    • 1988
  • 유청 및 대두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규명하기 위하여 두 단백질용액 및 1 : 1 혼합용액에 대한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와 전기영동에 의하여 열처리 중 조성단백질의 변화 및 상호작용에 관여한 조성단백질을 조사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 결과 $80^{\circ}C$ 이상에서 열처리할 경우, 대두단백질 및 혼합물에서 저분자량의 단백질과 고분자량의 응집물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열처리에 의하여 대두의 11S globulin이 subunit로 해리되고, 이것이 thiol기, disulfide bond 등을 함유한 유청단백질과 가용성 응질물을 형성하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전기영동에 의하여, 가열시 유청조성단백질 중의 ${\beta}-Lactoglobulin$, ${\alpha}-Lactalbumin$ 및 proteose-peptone 3이 대두단백질과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용액의 염환경에 따라 Bovine Serum Albumin, Immunoglobulin G(H) 및 Lactoferrin도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대두조성단백질 중의 11S globulin의 basic subunit와 acidic subunit, 7S globulin의 ${\alpha}'$ subunit가 유청단백질과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 PDF

반응 표면분석에 의한 Imitation Cheese의 조직감 형성 (The Textural Properties of Imitation Cheese by Response Surface Analysis)

  • 이철호;손혜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61-370
    • /
    • 1985
  • 수분, 대두유, Na-caseinate, 분리대두단백, 옥수수 전분, 젖산및 disodium phosphate를 주 원료로 하여 imitation치즈의 조직감 특성 견고성, 부착성, 탄력성 및 녹는 성질을 반응표면분석을 통하여 살펴본 결과 imitation치즈의 조직감에는 각 원료가 1차적 영향뿐 아니라 2차적인 영향과 원료 서로간의 교호작용의 영향도 매우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견고성에는 대두유와 Na-caseinate가 1차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고 수분과 대두유, 옥수수 전분과 젖산/인산염과의 교호작용 영향도 컸으며 부착성과 탄력성에는 젖산/ 인산염과 Na-seinate가 큰 영향을 미쳤으며 녹는 성질에서 또 Na-caseinate와 젖산과의 모든 교호작용함이 높은 유의수준을 보이므로 전체적으로 imitation치즈의 조직감 특성에는 Na-caseinate와 젖산/인산염의 영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응표면방법을 이용하므로 6가지 원료가 조직감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수학적으로 간단히 살펴볼 수 있었으며 동시에 등고선 그림을 통하여 각 조직감 특성에 두가지 원료가 서로 미치는 경향을 쉽게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젖소에 있어서 삭제(削蹄)가 유량 및 유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law Trimming on Milk Yield and Its Composition in Lactating Dairy Cows)

  • 백광수;박수봉;박성재;김현섭;김재기;이왕식;이현준;기광석;허태영;강석진;서국현;전병순;안병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5-51
    • /
    • 2006
  • 본 연구는 젖소에 있어서 삭제가 유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2004년까지 2년간에 걸쳐 축산연구소 개방형 깔짚 우사에서 사육중인 홀스타인 착유우 17두를 대상으로 처리구 9두 및 대조구 8두를 공시하였고 삭제는 분만 후 20일을 전후하여 1회에 한해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기에 따른 두당 1일 유량은 100일 이하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28.5{\pm}1.37kg$$29.0{\pm}0.54kg$, $101{\sim}200$일의 경우 $24.5{\pm}0.59kg$$25.6{\pm}0.60kg$, 201일 이상의 경우 $19.9{\pm}0.42kg$$19.4{\pm}0.48kg$으로 두당 1일 유량은 유기에 따라 대조구와 삭제구간에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05일 보정유량에 있어서도 대조구와 삭제구가 각각 $7,235{\pm}371$$7,472{\pm}356kg$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2. 유기에 따른 체세포수는 100일 이하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220.4{\pm}27.4$$125.0{\pm}21.1x10^3\;cell/ml$로 유의적인(p<0.05) 차이를 나타내었다. $101{\sim}200$일의 경우 $167.8{\pm}28.2$$147.8{\pm}18.2x10^3\;cells/ml$, 201일 이상의 경우 $125.8{\pm}27.2$$237.1{\pm}90.0X10^3\;cells/ml$로 101일 이상에서는 유기에 따라 대조구와 삭제구간에 유의적인(p<0.05) 차이를 나타내었다. 3. 유기에 따른 유지방은 100일 이하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3.86% 및 3.56%, $101{\sim}200$일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4.01 % 및 3.76%, 201일 이상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4.29% 및 3.78%로 201일 이상의 유기의 경우에 대조구와 삭제구간에 유의적인(p<0.05) 차이를 나타내었다. 유단백은 100일 이하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3.22% 및 3.03%, $101{\sim}200$일의 경우 공히 3.21%, 201일 이상의 경우 3.50% 및 3.28%로 유단백도 201일 이상의 유기의 경우에만 대조구와 삭제구간에 유의적인(p<0.05) 차이를 나타내었다. 유당은 100일 이하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4.76% 및 4.81%, $101{\sim}200$일의 경우 4.84% 및 4.74%, 201일 이상의 경우 4.59% 및 4.50%로 유당은 전유기에 걸쳐 대조구와 삭제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유고형분은 100일 이하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12.43% 및 12.36%, $101{\sim}200$일의 경우 12.78% 및 12.44%, 201일 이상의 경우 13.17% 및 11.30%로 201일 이상의 유기의 경우에만 대조구와 삭제 구간에 유의적인(p<0.05) 차이를 나타내었다.

C-PER방법(方法)을 이용(利用)한 수산단백질(水産蛋白質) 품질(品質)의 예측(豫測) (Protein Nutritional Quality of Precooked Seafood as Predicted by the C-PER Assay)

  • 유홍수;이강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3-22
    • /
    • 1985
  • 최대의 in vitro digestibility를 나타내는 조건에서 가열처리한 오징어, 굴, 새우, 명태 및 김을 대상으로 rat-PER, NPR 및 in vitro apparent digestibility를 측정한 결과와 최근 개발된 computed PER(C-PER) 및 discriminant computed PER(DC-PER) technique을 이용하여 계산된 결과를 비교하여, 수산단백질의 품질을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오징어, 새우, 멍태의 C-PER은 rat-PER 보다 낮게 계산되었으나, 김은 높게 계산되었으며, 굴은 거의 비슷하게 계산되었다. 또한 이들 시료의 DC-PER은 rat-PER 및 NPR에 C-PER보다 근접된 결과를 보였으며, 단백효율비(PER)와 소화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굴은 가공저장 중 발생된 산패의 결과로 rat-PER 및 C-PER이 표준단백질인 ANRC casein 보다 훨씬 낮게 계산되었으나, DC-PER은 높게 계산되었다. In vitro 및 in vitro digestibility가 높은 시료의 단백질 품질평가는 DC-PER이 정확하였으며, 품질변화가 심하게 일어난 시료나, 소화율이 낮은 시료는 C-PER technique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단백질 구조 예측을 위한 서열 연관 규칙 탐사 (Discovering Sequence Association Rules for Protein Structure Prediction)

  • 김정자;이도헌;백윤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8D권5호
    • /
    • pp.553-560
    • /
    • 2001
  • 바이오정보학(bioinformatic)은 생물학 분야 특히 분자 수준의 유전체 연구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 관리, 분석하여 실험 프로젝트를 지원함은 물론, 기능 예측 및 조절에 대한 실험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제반 컴퓨터 기술을 의미한다. 유전체 연구의 다양한 접근 방식 중 단백체학(proteomics)는 유전체의 최종 산물인 단백질을 직접적으로 다룬다는 측면에서 그 효용성에 대해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백질의 기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단백질의 구조를 예측하기 위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제안한다. 단백질의 일차 구조인 아미노산 서열에 타나나는 부서열간의 연관성이 해당 단백질의 이차 혹은 삼차 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단서임을 설명하고, 아미노산 부서열간의 연관성을 표현하기 위한 모델로서 서열 연관 규직을 정의한다. 서열 연관 규칙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지도와 신뢰도를 새롭게 정의하고, 주어진 단백질 집단으로부터 유용한 서열 연관 규칙을 발견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아울러, SWISS-PROT 단백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입수한 단백질 서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안한 기법의 성능을 평가한다.

  • PDF

Hydrocortisone 투여가 비유중기 재래산양의 유단백질과 유선세포 Prolactin Receptor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ydrocortisone Administrations on Expressions of Casein and Prolactin Receptor mRNAs in Mammary Glands of Mid-Lactation of Korean Goats)

  • 전기준;김재영;최재관;정영훈;박정준;이용준;우제석;서동석;홍승국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71-177
    • /
    • 2002
  • Glucocorticoid는 비유기 동물의 유선세포 pro-lactin receptor(PRL-R) 발현을 증가시키며, 전반적인 유선세포의 유합성 작용을 활성시킴으로 유합성 능력을 증진시킨다. 유선세포 PRL-R 발현량 증가는 유생산량 향상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본 실험은 비유중기의 재래산양의 유합성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0.05. 0.1과 0.2 g hydrocortisone을 5ml의 생리식염수에 현탁하여, 정맥투여하고 유선세포 PRL-R와 $\alpha$-유단백 질 mRNAs 발현 량을 조사하였다. 대조구로는 5$m\ell$의 생리식염수를 정맥투여 하였다. 24시간 후 유선조직을 채취하여 $\alpha$-유단백질과 PRL-R mRNA 발현량을 competitive PCR(polymerase chain reaction)로 발현량을 조사하였다. Hydrocortisone 처리 24시간 후 재래산양 유선세포의 PRL-R mRNA 발현량은 대조구의 PRL-R mRNA 발현량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lpha$-유단백질 mRNA 발현은 대조구에 비하여 0.05g hydrocortisone투여구는 37%, 0.1g hydrocortisone 투여구는 630%, 0.2g hydrocortisone 투여구는 386% 증가하였다. Hydrocortison 처리에 의한 유선세포 PRL-R mRNA 발현에 변화가 없었으나 $\alpha$-유단백질 mRNA 발현 증가는 세포 내 기능성 단백질 발현과 세포 외부로 분비되는 단백질의 시간에 따른 발현양상의 차이인 것으로 사려된다. 본 연구에서 비유중기 재래산양에 hydrocortisone 투여는 $\alpha$-유단백질 mRNA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