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단백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8초

상호작용 및 도메인 정보를 이용한 단백질 기능 분석 시스템 (Protein Function Analysis System Using Protein Interaction and Domain Information)

  • 김기봉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B)
    • /
    • pp.301-303
    • /
    • 2004
  • 기능 유전체학과 단백질체학에 있어서 개별 단백질의 기능 분석은 매우 중요한 핵심사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 분석에 있어서 과거와는 달리 현재는 전체 생명 시스템 상에서 개별 유전자 일 단백질의 기능 및 역할을 규명하는데 않은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단백질 상호작용 정보 및 도메인 정보를 기반으로 기능 분석을 행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그와 같은 분석 시스템을 소개하고 있다. 단백질 상호작용 정보는 모티프 일 도메인의 모듈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특이성과 민감도 측면에서 분석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 PDF

위암에시 EphB2 단백의 발현 양상 (Expression Pattern of EphB2 in Gastric Cancer)

  • 송재휘;김창재;조용구;박조현;남석우;유남진;이정용;박원상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1호
    • /
    • pp.25-30
    • /
    • 2006
  • 목적: EphB2 수용체는 티로신 키나제 수용체 군에 속하면서 Wnt 신호 전달계의 대상 유전자로 세포의 성장 및 이동을 조절함으로써 종양의 발생과 진행을 억제한다. 연구자들은 한국인 위암에서 EphB2 단백의 발현 변화가 위암의 발생 및 진행에 관여하는지와 위암의 병리 지표들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83예의 파라핀 포매된 위암조직에서 암세포들을 각각 3군데에서 펀치하여 새로운 파라핀 블록으로 옳겨 위암의 고집적 tissue microarray를 제작하였다. Tissue microarray 절편에서 EphB2 단백에 대한 항체로 면역조직화 학염색을 실시한 후 그 발현 양상을 병리 지표들인 조직학적 분류, 침습 정도, 림프절 전이 및 복막 파종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EphB2 단백은 정상 위 점막 상피세포의 세포막과 세포질에서 발현되고 있었고 조사된 83예의 위암 중 30예 (36.1%)에서 발현이 소실되었다. 흥미롭게도 EphB2 단백의 발현 소실은 위암의 림프절 전이와 통계적으로 연관성이 있었으나 조직학적 분류, 침습 정도 및 복막 파종과는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이러한 소견들은 EphB2 수용체 단백의 발현 소실이 위암의 발생 및 진행에 있어 중요한 과정 중의 하나임을 의미한다.

  • PDF

봄맞이 분만전후 젖소관리

  • 임현주
    • 월간낙농육우
    • /
    • 제36권3호
    • /
    • pp.141-145
    • /
    • 2016
  • 봄이 시작되는 3월이다. 봄이 되면 마음이 분주해지고, 해야 할 일도 많아진다. 특히 새봄의 시작 3월에는 봄 농사철을 준비해야 하는 경칩이 있어 농사준비도 해야 하고 겨우내 하지 못했던 젖소들의 사양관리 점검 및 주변 환경을 돌아보고 새봄 맞이할 준비 시기이다. 이렇듯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경쟁력 있는 낙농가가 되기 위한 기본적인 사항부터 다시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축의 생산성 향상은 가축개량을 통한 고능력우 확보로 그 기반을 닦고, 세균 및 체세포수 감소에 의한 우유 위생등급 향상, 조사료 다급 등을 통한 사양관리 기술 개발로 유지율 및 유단백을 향상한다. 또한 번식률 향상에 의한 산유량 증대와 부산물 수입 증대, 고능력 젖소의 이용연한 연장에 의한 가축감가상각비 절감에 대해 중점적으로 관심과 노력을 기울인다. 이를 위한 새봄맞이 젖소관리 방안에 대하여 기술해 보고자 한다.

  • PDF

대두(大豆) 및 대두가공품(大豆加工品) 첨가(添加)에 따른 유지안정성(油脂安定性) (Stability of Lipids by Adding Soybean and Soybean Products)

  • 임춘선;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4호
    • /
    • pp.328-334
    • /
    • 1987
  • 대두(大豆) 및 대두가공품첨가(大豆加工品添加)에 따른 유지안정성(安定性)을 검토하기 위하여 대두유(大豆油)에 대두(大豆) 및 대두가공품(大豆加工品)의 용매추출물(抽出物)을 첨가하고 또한 Ramyon을 제조할 때 대두(大豆) 및 대두가공품(大豆加工品)을 첨가하여 그 유지(油脂)의 산가(酸價),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 TBA가(價)를 측정(測定)하였다. 1. 대두유(大豆油)에 대한 항산화효과(抗酸化?果)는 분리대두단백추출물(分離大豆蛋白抽出物)이 가장 크고 탈지대두추출물(脫脂大豆抽出物), 대두열수추출물(大豆熱水抽出物)이 그 다음가고 탈지대두(脫脂大豆) Ethanol추출물(抽出物)도 유효(有效)하였으나 대두냉수추출물(大豆冷水抽出物)은 효과(?果)가 거의 없었다. 2. Ramyon지질(脂質)에 대하여 저장기간마다 산가(酸價),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 및 TBA가(價)의 변화는 분리대두단백가수분해물(分離大豆蛋白加水分解物)이 가장 변화(變化)가 적었고 탈지대두가수분해물(脫脂大豆加水分解物), Tempeh, Tempeh추출물(抽出物), 탈지대두분말(脫脂大豆粉末)첨가 순으로 큰 변화(變化)를 보여 대체적으로,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첨가는 매우 효과적인 산화방지작용(酸化防止作用)을 나타냈다.

  • PDF

농산방자원의 이용에 관한 연구 (제9유) 섬유소단세포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 및 그의 영향학적 가치 (Studies on Microbial Utilization of Agricultural Wastes (Part IX) Analsis of Cellulosic Single Cell Protein and Their Amino Acid Patterns)

  • 김병홍;배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67-169
    • /
    • 1977
  • 볏짚을 기질로 생산한 삼종의 단세포단백질의 성분 및 아미노산의 조성을 분석하였다. 이들의 조성을 조단백질 52.2∼70.3%, 조지방 11.6∼13.9%, 회분 11.5∼18.1% 이었으며, 단백가는 80.0, 61.8, 78.0이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이들의 단백질원으로의 가치를 검토하였다.

  • PDF

서남해안 검정콩들의 단백질과 지방산 조성변이 (Seed Protein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Black Seeded Soybeans Collected From Southwestern Islands)

  • 권병선;신정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40-243
    • /
    • 2002
  • 서남해안 부근의 섬에서 재배되고 있는 재래종 검정콩 유전자원 45품종(135점)의 조단백,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조단백 함량 변이는 34.70-44.20%(평균 40.75%),지방산 조성 변이는 palmitic acid에서 9.00-14.40%(평균 11.41%) stearic acid에서 2.90-5.00%(평균 3.93%), oleic acid에서 22.25-26.50%(평균 22.75%), linoleic acid에서 50.30-57.20% (평균 53.55%), linolenic acid에서 6.70-11.20%(평균 8.35%)의 변이를 보였다. 지방산에 대한 유전력은 oleic acid에서는 높았으나 stearic acid와 linolenic acid에서는 낮았으며 palmitic acid, linoleic acid는 조단백의 유전력과 같은 경향으로 중정도 이었다. 형질상호간의 상관 계수에서 조단백은 oleic acid와는 고도의 유의차로 정의 상관을, linoleic acid와는 고도의 유의 차로 부의 상관을 보였고 기타의 지방산간에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인간 질병 네트워크로부터 얻은 질병 단백체의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Diseasomal Proteins from Human Disease Network)

  • 이윤경;구자을;여명호;강태호;송민동;유재수;김학용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6-311
    • /
    • 2009
  • 본 연구는 질병과 관련이 있는 단백질들은 질병네트워크를 형성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인자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한다. 우리는 Online Mendelian Inheritance in Man(OMIM)과 SWISS-PROT으로부터 인간의 단백질 데이터와 질병 정보를 확보하고 질병관련 단백질의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구축 한 후, 이를 바탕으로 질병네트워크를 구축했다. 그 결과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에는 CALM1, ACTB 및 ABL2와 같은 40개의 허브 단백질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다.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와 질병 네트워크를 통해서 우리는 질병들간의 상관관계와 각 질병에 작용하는 단백질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구축된 질병네트워크로부터 APP, ABL1 및 STAT1과 같은 38개의 질병단백체를 찾아냈다. 우리는 이전 연구에서 허브 단백질들이 서브 질병네트워크에서 질병 단백체의 경향이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전체 질병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전체 40개의 허브 단백질 중 단 18% 허브 단백질만이 질병단백체임이 확인되었다. 현시점에서 허브 단백질-질병단백체 경향성이 전체 질병네트워크와 서브 질병네트워크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없다. 비록 우리가 이러한 풀리지 않은 문제를 안고 있지만, 단백질-질병 네트워크의 구조 및 기능 분석은 복잡한 인간 질병 시스템에서 분자 수준의 기작과 생물학적 과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PDF

대장균을 이용한 세포사멸 유도 단백질 caspase-9의 발현에 관한 연구 (High-level Expression of Human Procaspase-9 in Escherichia coli and Purification of its GST-tagged Recombinant Protein)

  • 성영모;한철;최주연;박효진;성근혜;남민경;김상수;김인경;강성만;임향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16-222
    • /
    • 2003
  • Caspase는 세포사멸 과정에서 중심적 역할을 하는 cysteine 단백분해 효소이다. 그 중 caspase-9은 활성이 없는 전장 단백질로 존재하지만 Apaf-1과 cytochrome c와 함께 apoptosome을 이루면 활성화된다. 활성 된 caspase-9은 다른 caspase들을 활성 시키는 중요한 기능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대장균에서 전장 caspase-9 단백질을 정제하고자 pGEX 발현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일반적 배양 및 유도조건에서 caspase-9을 발현시키면 과다한 단백분해로 인하여 전장 caspase-9 단백질이 매우 적게 발현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배양조건과 유도인자의 농도를 변화시키자 caspase-9의 과다한 단백분해 현상이 감소되고 전장 caspase-9의 발현 정도도 상당량 향상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배양조건으로 caspase-9을 발현, 정제하면 70%이상의 순도를 가진 GST-caspase-9 단백질을 손쉽게 얻을 수 있다. 더불어 GST 융합 caspase-9이 대장균에서 발현될 때도 포유세포 내에서 절단되는 것과 동일한 위치인 Asp315 에서 자가 단백분해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caspase-9의 생화학적, 세포생물학적 기능연구에 필요한 전장 단백질을 다량으로 확보할 수 있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정제방법을 제안한다.

쥐의 콜라겐 유도 관절염에 대한 유근피의 효과 및 기전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Mechanisms of Ulmus Davidiana Planch(Ulmaceae) in Collagen-induced Arthritis Rats)

  • 송인광;이승덕;김갑성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83-100
    • /
    • 2007
  • 목적 : 쥐의 콜라겐 유도 관절염에 대한 유근피 추출액의 면역 반응 효과 및 그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유근피 추출액의 면역 반응을 관찰하기 위하여 콜라겐 유도 관절염 쥐가 사용되었다. 실험에 쓰인 쥐 뒷다리의 부종 용적은 volume meter로 측정하였고, lymphocyte 증식, 표1, 표2 및 TNF-${\alpha}$ 레벨은 3-(4,5-dimethylthiazol-2-yl)-2, 5-diphenyltetrazolirun bromide(MTT) assay에의해 측정하였다. 활막세포의 cAMP 레벨은 경쟁적 단백 결합검사 (CPBA)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2형 콜라겐에 대한 항체는 효소면역 협착검사법(ELISA)을 반복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실험에서 유근피 추출액( 20, 80, 150mg/kg, ig ${\times}$ 7days)의 시술은 면역 반응을 억제하고 콜라겐 유도관절염 쥐의 체중과 면역 기관의 무게를 유지하였다. 콜라겐 유도 관절염 쥐에서 림프구의 증식과 IL-2의 생산은 복막의 대식세포 및 활막세포의 IL-1 , TNF-${\alpha}$와 함께 증가하였고, 유근피 추출액 (20, 80, 150mg/kg, ig ${\times}$ 7days)의 시술은 이러한 변화를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다. 0.5, 2.5, 12.5, 62.5, 125mg/l 농도에서의 유근피 추출액은 활막세포의 cAMP 레벨을 증가시킨데 반해 콜라겐 유도관절염 쥐에서의 시험관 실험결과에서는 감소시켰다. 유근피 추출액은 2형 콜라겐 항체의 농도에 대하여는 효과가 없었다. 결론 : 유근피 추출액은 항염증 작용과 면역조절 작용을 갖고 있고, 활막세포의 G protein-AC-cAMP transmembrane signal transduction 형질 도입 신호에의한 콜라겐 유도관절염 쥐의 치료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속양(速釀) 어장유(魚醬油)에 대한 색(色) 측정(測定) 및 관능검사(官能檢査) (The Color Measurement and Sensory Evaluation for the Accelerated Fish Sauce Products)

  • 채수규;이등관;신국좌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49-654
    • /
    • 1989
  • 속양(速釀) 어장유(魚醬油)의 색(色)의 분포(分布)가 100nm당 log 흡광도의 변화$({\Delta}A)$를 색조의 파라메터로 이용하여 연구되었다. 오장유의 색에 있어서 log 흡광도와 450nm와 650nm 사이의 파장간에는 직선관계가 성립하였다. 속양(速釀) 어장유(魚醬油)의 ${\Delta}A$ 값은 $0.55{\sim}0.59$ 범위에 있었으며, 450nm에서의 흡광도 (A450)는 장유(醬油)코오지가 첨가된 어장유(魚醬油)가 대조(對照) 및 시판 단백분해효소 첨가 어장유(魚醬油)에 비하여 높았다. 장유(醬油)코오지가 첨가된 어장유(魚醬油)의 색(色)은 어두운 적황색(赤黃色)이었으며, 그 색(色)은 장유(醬油)의 색(色)과 비슷하였다. 모든 어장유(魚醬油)에 있어서 A450은 발효가 진행함에 따라 증가되었으나, ${\Delta}A$는 발효 초기에 약간 증가되다가 발효 후기에는 감소되었다. 속양(速釀) 어장유(魚醬油)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장유(醬油)코오지를 첨가하고 초기에 20% 식염을 가하여 제조한 어장유(魚醬油)가 풍미강도, 맛, 후미 등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였으며 또한 종합적인 선호도(選好度)가 있어서도 가장 우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