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닉스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32초

지시문을 통한 학습: 이해-기반 접근 (Learning from Instruction: A Comprehension-Based Approach)

  • Kim, Shin-Woo;Kim, Min-Young;Lee, Jisun;Sohn, Young-Woo
    • 인지과학
    • /
    • 제14권3호
    • /
    • pp.23-36
    • /
    • 2003
  • 학습에 대한 이해-기반 접근에 따르면 새로운 정보는 기존의 배경지식과 통합되어 정신표상을 형성하며 이는 다른 새로운 정보를 결합하는데 사용된다고 가정한다. 지시문을 통한 학습상황에서 인간과 계산적 모형의 수행비교를 통해 이 접근법이 타당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구성-통합 이론 (Kintsch, 1988; 1998)에 근거한 계산적 모형 (ADAPT-UNIX)은 사용자들이 UNIX 복합 명령문을 생성하는데 도움을 주기위해 제시된 지시문 학습에 높은 예측력을 보였다. 더불어, 제시된 지시문을 사용하여 올바른 복합명령문을 생성하는 과제수행도 실제 인간수행과 높은 유사성 보였다. 배경지식의 수준에 따라 지시문이 학습과 적용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교육적 함의와 이해-기반 인지모델의 이론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 PDF

MPI 환경에서 자원 사용량 측정을 위한 어카운팅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ccounting System to Measure the Resource Usage for MPI)

  • 황호전;안동언;정성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2A권3호
    • /
    • pp.253-262
    • /
    • 2005
  •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로컬 어카운팅 시스템은 하나의 호스트상에서 동작하는 프로세스의 어카운팅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분산 처리 환경에서 전통적인 로컬 어카운팅 시스템은 동일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들의 전체 자원 사용량 데이터를 기록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 환경에서 MPI(Message Passing Interface) 작업에 대한 자원 사용량 데이터를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어카운팅 시스템을 개발한다. 각 클러스터 노드에 병렬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세스의 자원 사용량 데이터와, 병렬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협력하는 프로세스들간의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기록하는 로컬 어카운팅 시스템을 구현한다. 그리고 각 노드의 로컬 어카운팅 시스템에서 기록된 자원 사용량 데이터를 수집하여, MPI 작업 단위의 어카운팅 정보를 만들어 내는 어카운팅 시스템을 개발한다. 마지막으로 대규모 클러스터링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는 로컬 스케줄러들에 의해 측정된 자원 사용량 데이터 항목들과 비교 평가한다.

멀티 플랫폼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대화형 도구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Interactive Tool for Developing Multi-platform Software)

  • 최진우;황선태;우종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95-102
    • /
    • 2002
  • 새로운 하드웨어 및 운영 체제의 지속적인 출현으로 인해 멀티 플랫폼에서 이식이 가능한 포터블 프로그래밍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또한 최근 컴퓨터 및 컴퓨터 통신의 발달로 인해 서로 다른 플랫폼으로의 접근 기회가 증가함에 따라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초기 제작 단계부터 여러 가지 플랫폼을 염두에 두고 개발해야 하는 등 소프트웨어 개발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기존의 GNU 시스템 도구 등에서는 소스 코드의 일부 configuration을 자동으로 생성하게 하고 새로운 플랫폼을 향한 지침서 등을 제시하고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이식성을 부여하기 위한 실질적인 코드는 소스 레벨에서 개발사에 의해 직접 입력되어야 하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 플랫폼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대화형 의 설계와 구현에 관하여 기술한다. 이 도구는 다양한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 관한 숙련된 지식이 없는 개발자들도 손쉽게 멀티 플랫폼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게 설계되었다. 또한 이 도구는 기존 GNU의 autoconf, autoheader, automake와 같은 시스템 툴을 사용하며, 개발자와 상호작용에 따라 적합한 장소에 포터블 삽입할 수 있다.

  • PDF

웹 기반 통합 유전체 분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Integrated Genome Analysis Tools)

  • 최범순;이경희;권해룡;조완섭;이충세;김영창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408-417
    • /
    • 2004
  • 유전체 분석 과정은 여러 단계를 걸쳐 다양한 소프트웨어 분석 도구가 사용되는 복잡한 작업을 수반한다. 유전체 분석과 관련된 기존의 소프트웨어 도구들은 대부분 리눅스나 유닉스 기반 프로그램 이므로 생물학자가 이들을 설치하고 사용하는데 어려움과 불편함이 많은 실정이다. 또한, 분석의 각 단계별로 생산되는 파일은 수작업을 통한 변환을 거쳐야만 다음 단계의 입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근래에 웹을 기반으로한 도구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한번에 하나의 서열을 처리하는 방식이므로 대량의 실험 데이터를 분석하는 경우에는 반복 작업으로 인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전체 분석에 필요한 여러 도구들을 웹 환경에서 하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통합하여 생물학자들이 보다 쉽게 서열과 기능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한 WGAT(Web-based Genome Analysis Tool)를 제안한다. WGAT는 리눅스 서버에 유전체 데이터 분석프로그램을 구동하고, 클라이언트 웹 (web)에서 데이터 파일과 분석에 필요한 선택사항들을 입력함으로써 한번에 여러 단계의 분석 작업을 수작업 없이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WGAT시스템의 생산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존의 방식과 WGAT를 이용한 방식의 서열분석 처리 시간을 비교한 결과 서열 단편의 개수가 1000개인 경우 기존의 방식보다 20배 이상 분석 능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FP-tree와 DHP 연관 규칙 탐사 알고리즘의 실험적 성능 비교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FP-tree and the DHP Algorithms for Association Rule Mining)

  • 이형봉;김진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5권3호
    • /
    • pp.199-207
    • /
    • 2008
  • FP-tree(Frequency Pattern Tree) 연관 규칙 탐사 알고리즘은 DB 스캔에 대한 부담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제안되었고, 따라서 다른 기법에 기반하는 알고리즘보다 성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FP-tree 알고리즘은 기본적으로 DB에 저장된 거래 내용 중 빈발 항목을 포함하는 모든 거래를 트리에 저장해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많은 메모리를 필요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범용 운영체제인 유닉스 시스템 환경에서 FP-tree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소요 메모리와 실행시간 등 두 가지 성능 관점에서 해시 트리 및 직접 해시 테이블을 사용하는 DHP(Direct Hashing and Pruning) 알고리즘과 비교한다. 그 결과로서 알려진 바와는 크게 다르게 시스템 메모리가 충분한 상황에서도 대형 편의점 수준의 규모에 적용 가능한 거래 건수 100K, 전체 항목 개수 $1K{\sim}7K$, 평균 거래 길이 $5{\sim}10$, 평균 빈발 항목 집합 크기 $2{\sim}12$인 데이타에 대해서 FP-tree 알고리즘이 DHP 알고리즘보다 열등한 경우가 존재함을 보인다.

POSIX스레드에 의한 재귀적 알고리즘의 병렬화에서 병렬성 제어 방안 (A Device of Parallelism Control in POSIX Based Parallelization of Recursive Algorithms)

  • 이형봉;백청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9A권2호
    • /
    • pp.249-258
    • /
    • 2002
  • 처리기를 여러 개 장착한 다중처리기 시스템의 근본 목적은 적은 비용으로 많은 성능 향상을 얻자는 데에 있다. 그러나 다중처리기 시스템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병렬처리를 지원하는 특별한 언어를 사용하거나 병렬성을 탐색하는 도구의 도움을 얻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알고리즘에서 병렬화에 적합한 대표적인 영역으로 루프와 재귀호출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중 재귀호출은 특별한 도구나 언어의 지원 없이 개념적인 측면에서 비교적 쉽게 병렬화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재귀호출이 깊어지면 통제되지 않은 병렬성이 과도하게 높아져 오히려 수행불능 상태가 되고 만다. 본 논문은 POSIX스레드를 이용하여 재귀호출로 구성된 알고리즘을 병렬화시키는 과정에서 병렬성을 제어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유닉스 시스템에서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개념을 정립하고, 제안된 병렬성 제어 방안을 퀵 정렬에 적용한 결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그 효용성을 검증한다.

SCADA 시설에 대한 보안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a Security Safeguard Plan for SCADA Infrastructure)

  • 정윤정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53-160
    • /
    • 2006
  • 현재 제어시스템은 국가 기간시설 및 대규모 산업 플랜트 등 우리 생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제어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하여 SCADA 시스템을 운영하고, 이런 SCADA 시스템은 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운영하는 추세이다. 또한 SCADA 시스템의 운영체제는 사용자에게 편의성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잘 알려진 운영체제인 윈도즈나 유닉스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과거에 물리적으로 별도 네트워크로 안전하게 운영되던 시스템을 정보시스템에 대한 위협요소인 사이버테러에 노출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정보시스템보다 제어시스템에 대한 사이버테러 가능성은 아직까지는 미비하지만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고, 사이버테러가 발생하면 국가, 사회전반에 매우 큰 규모의 피해영향을 주게 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SCADA 시설에 대한 보안강화 방안을 제시하여 체계적인 보안전략을 마련하고 구현함으로써 보안수준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PDF

네트워크 침입자탐지기법 분석과 대응 (Analysis & defence of detection technology in network Attacker)

  • 윤동식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55-163
    • /
    • 2013
  • Connection hijacking은 TCP 스트림을 자신의 머신을 거치게 리다이렉션 할 수 있는 TCP 프로토콜의 취약성을 이용한 적극적 공격 (Active Attack)이다. 리다이렉션을 통해 침입자는 SKEY와 같은 일회용 패스워드나 Kerberos와 같은 티켓 기반 인증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보호 메커니즘을 우회할 수 있다. TCP 접속은 누군가 접속로 상에 TCP 패킷 스니퍼나 패킷 생성기를 가지고 있다면 대단히 취약하다. 스니퍼의 공격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하여 일회용 패스워드나 토큰 기반 인증과 같은 사용자 식별 스킴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들은 안전하지 않은 네트워크상에서 스니핑으로부터 패스워드를 보호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데이터 스트림을 암호화하거나 사인하지 않는 한 적극적인 공격으로부터 여전히 취약하다. 많은 사람들이 적극적 공격은 대단히 어렵고 그만큼 위협도 적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여기서는 이러한 환상을 깰 수 있도록 유닉스 호스트에 성공적으로 침입한 대단히 적극적 공격을 제시한다. 최근 이론적으로 알려진 이 취약점을 공격할 수 있는 도구가 인터넷 상에 공개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네트워크 상에서 침입자탐지 분석기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PC 운영체제의 오늘과 내일

  • 유주진
    • 전자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7
    • /
    • 1992
  • IBM이 16비트 PC를 처음 선보인 81년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10여년간의 운영체제(0S) 시장은 마이크로소프트(MS)사의 독주시대로 요약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렇다 할 변화를 보이지 않던 OS제품은 90년대에 들어서면서 커다란 변화의 조짐에 횝싸이고 있다. 그동안 8086, 80286등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한 16비트 PC시장이 80386,80486등을 탑재한 32비트 시장으로 급변하기 시작했고 종전 데스크탑 일변도의 PC시장은 랩톱,노트북형 등의 휴대형컴퓨터와 펜컴퓨터,멀티미디어 등의 차세대 제품등으로 세분화되기 시작한 것이다. 또 32비트 시대가 다가오면서 한사람이 한 대의 PC로 일을 하는 종전 PC운용환경은 넷워킹과 멀티테스킹이 강조되는 다중작업 환경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윈도즈(Windows) 3.0의 대히트로 IBM PC에서도 GUI(그래픽 사용자인터페이스) 환경을 요구, 이를 위한 새로운 05의 등장이 불가피해지고 있다. 게다가 지금까지 메인프레임을 중심으로 한 중앙집중방식의 컴퓨터환경이 다운사이징화 되면서 넷워크 환경을 기반으로 한 PC의 역할이 크게 강조, 이를 위한 운영체제 또한 새로운 영역으로 대두되고 있다. 불과 1∼2년 사이에 급진전되고 있는 이같은 변화의 물결은 필연적으로 다양한 운영체제의 개발을 가져왔고 이를 통해 차세대 PC시장을 주도하기 위한 업계의 패권다툼은 전쟁을 방불케할 만큼 치열해지고 있다. MS사의 전유물이었던 DOS 영역에서는 최근 노벨사와의 합병으로 전열을 가 다듬은 디지틀리서치사가 가세, 한판승부를 선언하고 나섰으며 고성능 PC시대의 패권을 잡기 위해 10년지기였던 IBM과 MS사는 각각 OS/2와 윈도즈를 내세우고 양보할 수 없는 힘겨루기에 들어갔다. 또 이들 양사는 펜컴퓨터,멀티미디어등 차세대제품의 운영체제 시장을 둘러싸고 일찍부터 격전에 들어갔으며 IBM과 MS사의 혼전을 틈타 썬마이크로시스템을 필두로한 워크스테이션 업체 및 유닉스진영까지 고성능 PC시장을 겨냥한 OS를 속속 개발, 90년대의 OS 전쟁은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안개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DOS에서 32비트시대,펜컴퓨터, 멀티미디어에 이르는 차세대제품을 둘러싼 업계의 OS 쟁탈전을 통해 OS의 발전동향과 미래를 전망해 본다.

  • PDF

JNI를 이용한 MMS 구현 (Implimentation of MMS using JNI)

  • 장경수;신동렬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35-145
    • /
    • 2000
  • MMS(Manufacturing Message Specification)는 PLC, NC, 로봇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제조회사의 서로 다른 단위제어기기 제품들간에 통신할 수 있는 ISO/IEC 9506으로 표준화된 공장자동호용 프로토콜이며 OSI 참조 모델의 최상위 층인 응용계층 프로토콜에 해당된다. 본 논문은 MMS를 TCP/IP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유닉스 환경에서 ASNSI-C 언어로 구현하고, 이 구현된 프로토콜을 JNI(Java Native Interface)를 이용해 JAVA 클래스화한다. JAVA 클래스화함으로써 기존에 제공되는 MMS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는데 있어 표준화되지 않은 서로 다른 API를 이용하는데 어려움과 GUI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을 극복하는 기본을 제공한다. 그리고 구현된 JAVA 클래스화된 MMS 라이브러리를 인터넷의 WWW상에서 동작시킬 수 있도록 자동화된 PCB(Printed Circuit Board) 조립라인을 대상 모델로 선정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구현된 JNI를 이용한 MMS가 인터넷상에서 동작하여 사용자에게 일괄성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RMD(Real Manufacturing Device)를 동작${\cdot}$제어${\cdot}$감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