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기 첨가제

Search Result 518,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Investigation on the Effect of Complexing Agents and Organic Additives in Trivalent Chromium Electroplating (3가크롬 도금에서 착화제 및 유기첨가제의 영향 연구)

  • Kim, Dong-Su;Lee, Ju-Yeol;Kim, Man;Gwon, Sik-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7.11a
    • /
    • pp.81-82
    • /
    • 2007
  • 3가크롬 도금액은 크롬원 (황화물계 또는 염화물계), 착화제, 완충제, 전도보조제, 산화방지제, 유기첨가제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착화제와 유기첨가제가 용액의 안정성 및 균일전착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카르복시기의 작용기를 갖는 유기산을 착화제로 사용하고, 다양한 유/무기 첨가제의 조합 및 첨가량을 조절하여 크롬의 전착특성을 고찰하였다.

  • PDF

Market and Technology Analysis for Organic Electrolyte Additive of Lithium Battery (이차전지 유기 전해질 첨가제 시장 및 기술 분석)

  • Lee, Jongtai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407-408
    • /
    • 2014
  • 유기 전해액 성능에 따라 고에너지 밀도, 장수명, 안전성의 특징에 영향을 미치므로 전해액 첨가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국내외적으로 각각 7.7%, 6.2%의 연평균 성장률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전해액을 포함한 관련 소재는 일본을 중심으로 성장해 왔으나, 최근 국내 이차전지 산업 발전에 따라 원천 기술 확보를 통한 주요 소재 국산화 대체가 시급하다. 이에 따라, 파낙스이텍, 솔브레인, 천보 등을 중심으로 국내 기업의 전해칠 첨가제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 PDF

Effect of Metal Ion on the Bentonite Modified with Cationic Surfactant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유기 벤토나이트의 합성시 금속 이온의 첨가 영향)

  • Kim, Soo-Hong;Park, Jae-W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6B
    • /
    • pp.677-682
    • /
    • 2006
  • Dodecyldimethylethylammonium (DDDEA), a cationic surfactant, and aluminum metal ions were used with bentonite to synthesize to synthesize an improved organo bentonite. Among three different synthesis procedure for organo bentonites, aluminium-pillared bentonite showed the highest DDDEA sorption, which indicated that aluminium-pillared organo bentonite would exhibit the highest sorption capacity for organic contaminants. Aluminium pillared organo bentonite also showed a high sorption capability for phosphorus, while it did not exhibit strong sorption for nitrate. In the meantime, more desorption was observed with aluminium-pillared organo bentonite than ordinary organo bentonites.

Effect of organic additives on Cu filling and surface of TSV for three dimensional packaging (3차원 실장을 위한 TSV의 Cu 충전 및 표면에 유기첨가제가 미치는 영향)

  • No, Myeong-Hun;Lee, Sun-Jae;Jeong, Jae-P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5a
    • /
    • pp.141-14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실장을 위한 TSV 충전 기술 중 Cu 전해도금에 대해 연구하였다. TSV에 Cu를 전해도금함에 있어서 도금액의 유기첨가제 유무에 따른 충전거동과 표면 도금 상태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가속제, 억제제, 평활제로 구성 된 유기첨가제가 모두 첨가된 경우 도금 속가 가장 빨랐으며, 표면도 가장 고르게 형성된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Determination of brightener concentrations in Watt-type Ni Electroplating bath using dilution titration-cyclic voltammetry stripping (DT-CVS) (희석 적정-순환전류전압법을 이용한 와트욕 내부 광택제 농도 모니터링)

  • Choe, Seung-Hoe;Gwon, Yeong-Hwan;Lee, Ju-Yeol;Kim, Man;Park, Yeong-Bae;Lee, Gyu-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30-30
    • /
    • 2018
  • 스마트 도금공장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도금액 내부의 화학 물질 농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화학 센서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와트욕은 대표적인 고속 니켈 도금액 중 하나로 기본적으로 황산니켈, 염화니켈, 보릭산의 염과 함께 케리어(type-1 광택제), 광택제(type 2-광택제), 응력 제어제 등의 유기 첨가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기 첨가제는 전차된 니켈층의 두께 균일도, 조도, 미세 구조, 내부 응력 등 다양한 특성을 제어하며, 정밀한 농도 관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나, 분석 기술의 부재로 인하여 지금까지도 대부분의 액관리는 할셀법이나 작업자의 경험에 의존하고 있다. Cyclic voltammetry stripping(CVS) 방법은 전기화학 분석 과정에서 나타나는 첨가제의 가속, 감속 특성 등과 여기에 수반되는 stripping peak의 변화를 이용하여 개별 첨가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며, 지금까지 인쇄회로기판의 비아필 공정, 전해 동박 제조, 반도체 배선 등 구리도금 산업 전반에 걸쳐 첨가제 관리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소 발생으로 인한 stripping 효율 문제로 인하여 니켈, 주석, 아연 등 표준 환원 전위가 높은 금속 도금액 내부 첨가제 농도 측정은 아직 어려운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염소를 과량 첨가한 구리 도금액을 CVS 분석의 base 용액으로 이용하여 니켈 도금액 내부 여러 광택제 (polyetylene glycol(PEG) 계열, thiourea 계열, 2-butyne-1,4-diol 등) 농도를 측정하는 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법은 CVS 분석 과정에서 구리-염소 사이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생성되는 3가지 stripping peak의 상대적인 크기 변화가 첨가제 농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에 기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기에 관한 원인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제시된 방법을 통해 광택제 계열 첨가제 농도 측정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 PDF

Improvement of Desulfurization Performance of Low-grade Limestone Slurry Using Organic Acid Additives (유기산 첨가제를 이용한 저품질 석회석 슬러리의 탈황 성능 개선)

  • Jeong, Ji Eun;Cho, In Ah;Lee, Chang-Yong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32 no.2
    • /
    • pp.190-196
    • /
    • 2021
  • Desulfurization reaction in a bubble type reactor was carried out by adding three organic acids such as acetic acid, lactic acid, and antic acid to investigate the enhancement of the desulfurization performance of low-grade limestone. Desulfurization of limestone slurry without organic acids initiated to degrade at pH 5.2 or less, whereas organic acid-added limestone slurry exhibited a stable efficiency in the initial desulfurization with slurry pH ranging 4.2~4.5. At slurry pH below 4, the desulfurization performance of limestone slurry with addition of organic acids may be related to the amount of anions produced by dissociation of the organic acids. When limestone slurry had a large amount of anions, a rapid decrease in buffer capacity of slurry pH did not occur. These results were due to the acidity and dissociation of organic acids. The desulfurization performance of low-grade limestone slurry increased in the order of acetic acid (2.6%) < lactic acid (6.4%) < formic acid (16.7%).

A Study on Gap-Fill Characteristics in a High-Aspect-Ratio Though-Silicon Via Depending on Organic Additives (고종횡비의 실리콘 관통전극에서 유기첨가제에 따른 충전 특성에 대한 연구)

  • Jin, Sang-Hun;Lee, Dong-Yeol;Lee, Un-Yeong;Lee, Yu-Jin;Lee, Min-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5.11a
    • /
    • pp.343-343
    • /
    • 2015
  • 고종횡비의 실리콘 관통전극(TSV)은 반도체 3차원 적층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적인 기술이다. TSV의 충전은 주로 전해도금을 이용하는데 무결함 충전을 위해서 도금액에 몇 가지 첨가제(억제제, 가속제, 평탄제)가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는 첨가제 유무 따른 비아 충전 양상 및 무결함 충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비아 충전 공정을 위해서 직경 10 um, 깊이 50 um의 TSV가 패터닝된 웨이퍼를 준비하였으며 도금 후 단면을 관찰하여 도금의 양상을 비교하였다. 도금액에 첨가제가 포함되지 않는 조건, 억제제와 가속제만 포함된 조건, 세 가지 첨가제가 모두 포함된 조건으로 비아 충전을 실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무결함 충전이 되는 첨가제 조건을 찾을 수 있었다.

  • PDF

유용성 유기모리브덴 하합물의 마찰감소작용 및 분위기의 영향

  • 김영찬;익자;정문;강부평팔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88.06a
    • /
    • pp.31-38
    • /
    • 1988
  • 최근, 유체윤활영역에 있어서 될수 있는 한 점성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윤활유의 저점도화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윤활유의 저점도화로 인한 문제점으로써 금속-금속간 접식부가 증가하게 된다. 금속간 접식이 증가함에 따라 마찰저항이 커지게 되며, 이와 같은 마찰저항의 증대를 방지하기 위하여 마찰조정제(FM)가 자동차 엔진유를 비롯한 각종 윤활유에 첨가되어지고 있다. 또한 윤활유의 사용조건이 가곡(고온, 고가중) 해짐에 따라 첨가제의 다기능성이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이와 같은 요구를 만족시켜 주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 와서 유용성 유기모리브덴계 화합물이 마찰,마모 및 산화방지제로서 주목받고 있다. 마찰, 마모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MoS_2$는 고체윤활제로서 각광을 받고 있지만, 실제사용상의 문제로서 입자의 크기, 분산상의 문제 및 분산제와의 반응으로 인하여 마찰, 마모를 증대시키므로 역효과를 가져 오기도 한다. $MoS_2$와 같은 고체윤활제의 분상상의 무제점을 보완한 유용성 모리브덴계 화합물은 마찰, 마모 및 산화방지제로서 자동차 엔진유를 비롯하여 각종 윤활유에 첨가되고는 있지만 메카니즘에 대해서는 거의 해명되고 있지 않는 현실정이다. 본 연구는 유용성 유기모리브덴계 화합물중의 Molybdenum dialkyl dithiophosphate (MoDTP)의 마찰감소작용을 해명하기 위해서, MoDTP 첨가제의 마찰시험 및 마찰표면의 분석을 통하여 MoDTP의 마찰감소작용의 메카니즘을 명확하게 함을 자적으로 하고 있다.

  • PDF

Effects of organic additives in copper sulfate electroplating baths (황산동 전기도금육중 유기첨가제의 영향)

  • 강치오;이주성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 /
    • v.16 no.4
    • /
    • pp.160-172
    • /
    • 1983
  • 티오요소류, 폴리에테르류, 염료와 같은 유기화합물이 첨가된 황산동 전기도금욕에서 석출된 구리의 광택, 평활력효과를 무첨가욕과 기존 광택제가 첨가된 도금욕에서와 각각 비교하여 이들 유기첨가제가 구리의 석출상태와 음극분극에 미치는 영향을 Hull cell 실험과 현미경관찰, 전기화학적 측정방법에 의해 고찰하였다. 황산동 전기도금욕에서 thiourea, 2-mercapto-2-imidazoline, 1-acetyl-2-thiourea와 같은 유기 황화합물은 비교적 고전류 밀도 범위에서 결정성장이 억제되고 입자가 미세한 구리석출을 일으켜 양호한 광택효과와 평활력을 가져오나, 특히 저전류밀도에서는 해로운 줄무늬가 발생한다는 점에서 많은 개선의 여지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들 유기 황화합물에 1,3-dioxolane polymer와 소량의 염소 이온을 혼합 첨가할 것 같으며 넓은 전류밀도 범위에서 양호한 광택과 평활력이 있는 동석출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The Studies on synthesis of $SnO_2$ doped $In_2O_3$ (ITO: Indium Tin Oxide) powder by spray pyrolysis (분무열분해법(Spray Pyrolysis)에 의한 주석산화물이 도핑된 $In_2O_3$(ITO: Indium Tin Oxide)의 분말 제조에 대한 연구)

  • Kim, Sang Hern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1 no.4
    • /
    • pp.694-702
    • /
    • 2014
  • The micron-sized ITO(indium tin oxide) particles were prepared by spray pyrolysis from aqueous precursor solutions for indium, and tin and organic additives solution. Organic additives solution with citric acid(CA) and ethylene glycol(EG) were added to aqueous precursor solution for Indium and Tin. The obtained ITO particles prepared by spray pyrolysis from the aqueous solution without organic additives solution had spherical and filled morphologies whereas the obtained ITO particles with organic additives solution had more hollow and porous morphologies with increasing mole of organic additives. The micron-sized ITO particle with organic additives was changed fully to nano-sized ITO particle whereas the micron-sized ITO particle without organic additives was not changed fully to nano-sized ITO particle after post-treatment at $700^{\circ}C$ for 2 hours and wet-ball milling for 24 hours. The size of primary ITO particle by Debye-Scherrer formula and surface resistance of ITO pellet were measu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