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기 염소계 농약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1초

수질 및 토양 중 Endosulfan 제거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moval effect of Endosulfan in soil and aquatic system)

  • 안중혁;이석종;이완;김준범;이광춘;권영두;전충;박광하
    • 분석과학
    • /
    • 제19권2호
    • /
    • pp.155-16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잔류농약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토양 및 수용액상에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표준물질은 유기염소계 ${\alpha}$-endosulfan, ${\beta}$-endosulfan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각각 채취한 시료를 전처리하여 Ultra II[$(30m{\times}0.25mm(ID){\times}0.25{\mu}m$] 컬럼을 장착한 GC-${\mu}$-electron capture detector(${\mu}$-ECD)로 분석하였다. 토양 중 잔류농약의 회수율은 96-100%로 나타났다. 토양에 농약분해제를 살포하여 시간별 ${\alpha}$-endosulfan, ${\beta}$-endosulfan의 변화량을 분석한 결과 73, 61% 감소하였다. 토양시료에 농약분해제를 첨가하고, 수분의 양을 10 mL에서 100 mL로 증가 시키면서, 잔류농약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alpha}$-endosulfan은 45%에서 85 %로, ${\beta}$-endosulfan은 44%에서 88%로 제거되었다. 마지막으로, 수용액상에서도 시간별 endosulfan의 제거율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 30분 내에서 ${\alpha}$-endosulfan은 99%, ${\beta}$-endosulfan은 98%가 분해 제거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농약분해제에 많은 유기산염과 강알칼리 성분들이 알칼리 가수분해를 일으킨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충청지역 농업용수 중 농약 유래 POPs의 모니터링 연구 (Pesticide-Originated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in Agricultural Waterways in Chungcheong Province, Korea)

  • 이화성;전황주;이회선;이성은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4호
    • /
    • pp.291-294
    • /
    • 2015
  •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은 현재 사용이 금지된 유기염소계 농약을 포함하고 이들은 국내 농업환경 중 발견이 되며 이들의 작물로의 이동 또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충청도 지역 15곳의 농업용수를 채취하여 이들 시료 중 POPs를 모니터링 하고자 하였으며 이들 시료는 액액분배를 통한 추출 및 정제컬럼을 이용한 정제과정을 거쳐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분석되었다. 농약유래 POPs 중 ${\alpha}$-endosulfan이 0.01-1.13 ng/mL 수준에서 검출되었으며, ${\beta}$-endosulfan과 endosulfan sulfate는 각각 0.01-0.55 ng/mL 및 0.13-1.13 ng/mL 수준에서 검출되었다. 총 endosulfan 검출량은 0.38-1.18 ng/mL이었다. 현재 사용중인 농약 중 triadimefon 은 2.03-2.05 ng/mL 수준에서, tolyfluanid은 0.26-0.33 ng/mL 수준에서, chlorpyrifos는 1.34-3.85 ng/mL 수준에서 검출되었다. 농약계 POPs 중 endosulfan류의 물질들의 잔류가 확인되었고 이들의 환경 중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부산 연근해의 해양오염퇴적물과 식용 어류 체내의 PCBs와 유기염소계 농약의 분포 및 잠재적인 인체 위해성평가 (Potential Human Risk Assessment of PCBs and OCPs in Edible Fish Collected from the Offshore of Busan)

  • 최진영;양동범;홍기훈;김석현;정창수;김경련;조경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12호
    • /
    • pp.810-820
    • /
    • 2012
  • 용호부두 인근의 해저퇴적물과 4종의 식용어류인 넙치, 우럭, 쥐치, 밑달갱이체내의 폴리염화비페닐(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및 유기염소계 농약(organochlorine pesticides or OCPs)의 오염수준과 공간적 분포현황을 규명하였고, 이를 토대로 지역주민의 어류섭취에 따른 PCBs 및 OCPs의 인체 노출을 파악하여 이로 인한 인체 건강에 미치는 위해성평가를 수행하였다. 용호부두 인근해역의 퇴적물에 존재하는 42종의 ${\Sigma}PCBs$의 농도는 3.22~197.65 ng/g dw였다. ${\Sigma}DDTs$의 농도는1.77~20.27 ng/g dw이었다. 그리고 HCHs, endosulfan sulfate 등이 각각 1.42~6.08, 0.56~13.89 ng/g dw수준이었다. 용호부두 인근해역의 퇴적물의 유기염소계 화합물함량의 미국 해양대기청(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의 기준 중 악영향 기대수준인 PEL과 비교결과 0.1 ${\leq}$ mPELQ ${\leq}$ 0.5로 중간 정도의 오염도에 해당한다. 용호부두 인근해역에서 채취된 넙치, 우럭, 쥐치, 밑달갱이 근육 조직내의 PCBs의 평균함량은 67.37, 10.20, 48.26, 22.81 ng/g lw이었다. 모든 어류시료에서 ${\Sigma}DDTs$${\Sigma}HCHs$의 농도범위는 각각 4.53~82.10, 2.94~22.98 ng/g이었으며, 다른 OCPs들도 모든 시료에서 미량으로 검출되었다. 용호부두 해역에서 채취된 넙치, 우럭, 쥐치, 밑달갱이의 섭취로 인한 PCBs 및 OCPs 오염도에 대한 정량적인 발암 및 비발암 위해 도는 US EPA 기준으로 보면 단기 및 장기적 인체 위해도 모두 무시할 만한 것으로 판단된다.

서울시 유통 건조농산물 중의 농약잔류 실태 연구 (A Study of Current Status on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 Dried Agricultural Products)

  • 김복순;박성규;김미선;조태희;한창호;조한빈;최병현;김성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4-121
    • /
    • 2007
  • 서울지역에 유통되고 있는 국내산 및 수입산 건조농산물 58건을 대상으로 다성분 동시분석방법에 따라 GC-NPD, $GC-{\mu}ECD$, HPLC-UV와 HPLC-FLD로 분석가능한 총 253종의 농약잔류량을 분석한 후 GC-MSD로 확인한 결과 총 14건의 건조농산물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어 24.1%의 검출률을 나타내었고, 이 중 건조 채소류의 검출률은 25.5%였다. 품목별 잔류농약의 검출률은 건조과채류, 건조엽채류, 건조엽경채류 순으로 높았으며, 특히 건조 과채류 중 건조고추의 잔류농약 분포가 다양하고 검출빈도가 상당히 높았다. 건조 농산물의 기준에 없는 12종의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며,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유기염소계, 유기인계 순으로 검출빈도가 높았고, 특히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중 cypermethrin의 검출 횟수가 가장 많았다. 또한 대상목적에 따라 분류하면,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 살선충제 순서로 검출건수가 많았다. 산지별로 보면, 국내산, 중국산 ,북한산, 미국산, 베트남산의 순서로 잔류농약의 검출건수가 많았으며, 국내산은 과채류에서 수입산은 엽경채류에서 잔류농약의 검출빈도가 높았다.

대기 중에서 가스상 유기염소계 농약의 농도변화 패턴 (Variation Pattern of Gaseous Organochlorine Pesticides Concentration in Atmosphere)

  • 최민규;천만영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2권2호통권57호
    • /
    • pp.111-118
    • /
    • 200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gaseous Organochlorine Pesticides (OCPs : heptachlor epoxide, ${\alpha}/{\gamma}-chlordane$, trans-nonachlor, endosulfan, ${\gamma}-HCH$ and p, p'-DDE) concentration using PUF high volume sampler from June, 2000 to June, 2002 in the semi-rural atmosphere. Using monitoring data for two years, we tried to investigate the annual cycles of gaseous OCPs. We considered three functions to describe the annual cycle: Gaussian, Lorentzian and sinusoidal functions. These functions accounted for $54{\sim}91%$ of the variability in concentration for each gaseous OCPs, and the sinusoidal function gave the best fits. It was seen that the gaseous OCPs concentration increased during the warmer weather while decreased during colder weather. The variation of the gaseous OCPs concentration was closely similar to the variations of ambient temperature. The annual cycle of endosulfan was strongly higher than in comparison with other gaseous OCPs, while for ${\gamma}-HCH$, the cycle was weakly high and did not show apparent seasonal variation. The position of the annual maximum exists generally late July to early August. The period that showed levels more than a half maximum was from late June to early September.

경북 상주의 인삼 재배환경 중 유기염소계 농약 및 중금속의 잔류 (Residues of the Organochlorine Pesticides and Heavy Metal in Culture Environment of Ginseng on Sangju)

  • 김정호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9권2호
    • /
    • pp.183-189
    • /
    • 2004
  • To obtain the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the culture environment of ginseng on Sangju, Gyeongbuk, the analytical methods for BHC isomers, Aldrin, DDE, Dieldrin, DDD, Endrin and DDT by GCECD are surveyed. The relative retention times for $\alpha$-BHC, $\beta$-BHC, ${\gamma}$-BHC, $\delta$-BHC, Aldrin, DDE, Dieldrin, DDD, Endrin and DDT were 1.000, 1.042, 1.049, 1.086, 1.202, 1.335, 1.341, 1.371, 1.391 and 1.439, respectively The BHC isomers, Aldrin, DDE, Dieldrin, DDD, Endrin and DDT were separated on the base line. The qualified detection concentration for $\alpha$-BHC, $\beta$-BHC, ${\gamma}$-BHC and $\delta$-BHC is 0.43, 1.33, 0.54 and 1.63 ng/g and it's of Aldrin, DDE, Dieldrin, DDD, Endrin and DDT were 0.63, 0.50, 0.66, 0.74, 0.96 and 0.88ng/g, respectively. BHC isomers, Aldrin, DDE, Dieldrin, DDD, Endrin and DDT were not detected in culture environment of ginseng on Sanaju, Gyeongbuk. The detection concentration for Hg, Cd, Pb, Cr, and As in ginseng were 0.0086ppm, 0.0020ppm, 0.0200ppm, 0.0271ppm and 0.0220ppm, respectively, which were also lower than the 30ppm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advisory level for heavy metal in herbal medicines.

미세조류를 이용한 유기염소계 농약 Endosulfan 및 Endosulfan 분해산물의 독성평가 (Toxicity Evaluation of Organochloride Pesticide, Endosulfan and its Metabolites Using Microalgae)

  • 손호용;금은주;김종식;이중복;권기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57-362
    • /
    • 2006
  • A growth inhibition assay using Chlorella sp. AG 10002 based on the OECD 201 standard test procedure was applied to the toxicity testing of endosulfan and its reported metabolites. Comparison of dry cell weight, optical density (OD) at 680 nm, and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dicated that optical density at 680 nm of culture broth is convenient, rapid, and accurate method for cell growth. In this microalgae system, the $IC_{50}$ values of endosulfan, endosulfan sulfate, endosulfan lactone, and endosulfan ether were determined as 9.45, 18.8, 18.2 and 37.5 mg/L, respectively. In a while, endosulfan diol did not show a significant toxicity up to 50 mg/L. Since endosulfan is liable at acidic or alkaline conditions, treatment of endosulfan in pH 3, 4, and 11 for 3 days resulted in reduced toxicity, as expect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microalgae system is useful to evaluate various toxic chemicals and provide a new notion for bioremediation of endosulfan in aqueous systems.

경북지역 인삼 중 유기염소계 농약의 다성분 분석 (Multi-analysis of the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Ginseng at Gyeongbuk, Korea)

  • 박문기;김정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3-199
    • /
    • 2005
  • To obtain the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the ginseng, the methods of multi-analysis for BHC's isomer, DDT's isomer and other organochlorine pesticides by GC-ECD are surveyed. The relative retention time for $\alpha-BHC,\;\beta-BHC,\;\delta-BHC\;and\;\gamma-BHC$ is 1.000, 1.025, 1.034 and 1.056, respectively. The relative retention time for o,p-DDE, p,p-DDE, o,o-DDD, o,p-DDT, o,p-DDD, and p,p-DDT is 1.199, 1.230, 1.242, 1.286, 1.329 and 1.333, respectively. The BHC isomers, DDT's isomer and other organochlorine pesticides are separated with multianalysis condition. The qualified defection concentration for $\alpha-BHC$, Quintozene, Aldrin, Captan, $\alpha-Endosulfan$, and Dieldrin is 0.95ng/g, 0.27ng/g, 1.04ng/g, 0.63ng/g, 0.55ng/g and 0.62ng/g, respectively. The qualified defection concentration for Fenhexamid, Endrin, $\beta-Endosulfan$, o,p-DDT, Endosulfan-sulfate is 5.71ng/g, 0.61ng/g, 0.48ng/g, 0.44ng/g and 0.51ng/g, respectively. BHC, Aldrin, Dieldrin, Endrin and DDT, which wer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advisory pesticides, are not detected in soil environment. Also it's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are not polluted in the ginseng on Sangju Korea.

유기염소계 농약 endosulfan을 분해하는 미생물의 분리 및 분해 특성 (Isolation of endosulfan degrading bacteria and their degradation characteristics)

  • 신재호;곽윤영;김원찬;소재현;신현수;박종우;김태화;김장억;이인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2-297
    • /
    • 2008
  •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사용되고 있는 유기염소계 살충제 endosulfan을 미생물학적 방법으로 분해하기 위하여 총 182점의 토양, 퇴비 및 액상의 미생물 시료를 접종원으로 실시한 endosulfan 집식(enrichment) 실험으로부터 endosulfan을 endosulfan diol 형태로 경유하여 분해하는 균주를 선발하고 그 이름을 Bacillus sp. E64-2로 명명하였다. 분리균주는 7일만에 배지에 함유된 10 mg/L 농도의 endosulfan을 99% 이상 분해하였다. 또한 분리균주 Bacillus sp. E64-2의 조효소액은 endosulfan을 endosulfan diol로 전환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균주 자체는 생육 중에 배지의 pH를 배양 7일 만에 pH 7.0에서 pH 8.4로 올릴 수 있었다. 이러한 효소활성과 pH 증가 능력은 분리균주 E64-2에 의한 endosulfan 분해의 주된 작용 인자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 균주는 효소에 의한 분해작용과 pH 상승작용을 통하여 토양에 잔류는 난분해성 물질인 endosulfan을 bioremediation하기 위한 연구의 기초 균주로서의 가치가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농약(農藥)이 토양미생물상(土壤微生物相)에 미치는 영향(影響)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살균제(殺菌劑) 및 살충제살포(殺蟲劑撒布)에 따른 전토양미생물상(田土壤微生物相)의 변동(變動)- (Effects of Pesticides on Soil Microflora - Changes in Soil Microflora by Application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

  • 양창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99-306
    • /
    • 1984
  • 난분해성(難分解性)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살균제(殺菌劑) 및 살충제(殺蟲劑)의 다량(多量) 연용(連用)이 밭토양(土壤)의 미생물상(微生物相)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TPN(Tetrachloroisophthalonitrile), HCH(Hexachlorocyclohexane) 및 퇴비(堆肥)를 단독(單獨) 그리고 혼합투여(混合投與)한 시험포장(試驗圃場)에서 2년간(年間)에 걸쳐 미생물상(微生物相)의 경시적(經時的)인 변동(變勳)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HCH의 투여(投與)는 방선균수(放線菌數)의 변화(變化)에는 영향(影響)하지 않았고 포자형성세균수(胞子形成細菌數)를 약간(若干) 저하(低下)시켰으나 전세균(全細菌), 그람음성세균(陰性細菌) 및 사상균수(絲狀菌數)를 어느 정도(程度) 증가(增加)시켰다. 2. TPN의 투여(投與)는 전세균(全細菌), 그람음성세균(陰性細菌), TPN내성세균(耐性細菌) 및 TPN내성(耐性)그람음성세균(陰性細菌)의 수(數)를 현저(顯著)하게 증가(增加)시킨 반면(反面), 사상균(絲狀菌), 방선균(放線菌) 및 포자형성세균(胞子形成細菌)의 수(數)를 격감(激減) 시켰다. 3. TPN HCH의 혼합투여(混合投與)는 각 농약(農藥)의 단독투여시(單獨投與時) 결과(結果)의 합(合)으로 나타나 전세균(全細菌), 그람음성세균(陰性細菌), TPN내성세균(耐性細菌) 및 TPN내성(耐性)그람음성세균(陰性細菌)의 수(數)를 증가(增加)시켰고 사상균(絲狀菌), 방선균(放線菌) 및 포자형성세균(胞子形咸細菌)의 수량(數量)을 감소(減少)시켰다. 4. 퇴비(堆肥)와 이들 농약(農藥)과의 혼합시용(混合施用)은 이들 농약(農藥)의 투여(投與)에 의한 토양미생물수(土壤微生物數)의 증가(增加)를 촉진(促進)시켰고 감소(減少)를 완화(緩和)시켜 전세균(全細菌) 및 그람음성세균수(陰性細菌數)의 증가(增加) 정도(程度)를 강화(强化)시켰고 사상균(絲狀菌), 방선균(放線菌) 및 포자형성세균수(胞子形成細菌數)의 감소정도(減少程度)를 약화(弱化)시켰다. 5. TPN의 연용(連用)에 의하여 TPN내성세균(耐性細菌) 특(特)히 TPN내성(耐性)그람음성세균(陰性細菌)의 집적(集積)이 현저(顯著)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