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기인산

Search Result 43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olvent Extraction of Tb(III) from Chloride Solution using Organophosphorous Extractant, its Mixture and Ionic Liquids with Amines (염산용액에서 유기인산과 아민추출제의 혼합용매와 이온성액체에 의한 Tb(III)의 용매추출)

  • Oh, Chang Geun;Son, Seong Ho;Lee, Man Seung
    • Resources Recycling
    • /
    • v.28 no.1
    • /
    • pp.40-46
    • /
    • 2019
  • The solvent extraction of Tb(III) from hydrochloric acid solution was investigated by employing single organophosphorus (D2EHPA, PC88A and Cyanex 272), its mixture with Alamine 336 and ionic liquids with Aliquat 336. The equilibrium pH after the extraction with extractant mixtures and ionic liquids was higher than that by single extractants. Among the mixtures and ionic liquids, only the ionic liquid with Cyanex 272 and Aliquat 336 showed synergism to the extraction of Tb(III). The extraction percentage of Tb(III) by the extractant mixtures was lower than that by single extractant and the extraction order was in the following order : D2EHPA + Alamine 336 > PC88A + Alamine 336 > Cyanex 272 + Alamine 336. The extraction order of Tb(III) by the ionic liquids was Cyanex 272 + Aliqaut 336 > PC88A + Aliquat 336 > D2EHPA + Aliquat 336.

Distribution of phosphorus in particle-size separates and specific gravity separates of soils (입경 및 비중별(比重別) 토양분화과 인산분포(燐酸分布))

  • Hong, Jung-Kook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12 no.4
    • /
    • pp.179-187
    • /
    • 1980
  • 1) Soils (volcanic ash and muck) were fractionated into particle-size separates (200 - 20, 20 - 2, 2 - 0.5 and finer than $0.5{\mu}$ in diamter), and of which the silt fraction was further fractionated into specific gravity separates (more than 2.0, 2.0 - 1.7, 1.7 - 1.4 and less than 1.4 in $g/cc^3$). And total organic and inorganic phosphorus in the separates were determined. 2) The amounts of total, organic and inorganic phosphorus distributed in the particle-size separates were as follows fine clay > coarse clay > silt > fine sand fraction. The increase rate in the amounts of phosphorus was great in the separates finer than $20{\mu}$, and greatest in the fine clay fraction. 3) The amounts of total, oganic and inorganic phosphorus distributed in the specific gravity separates were as follows: 2.0 - 1.7 > 1.7 - 1.4 > heavier than 2.0 fraction. The increase rate in the amounts of phosphorus was in the following order 2.0 - 1.7 > 1.7 - 1.4 > heavier than 2.0 fraction. 4) Distribution of carbon, amorphous aluminum and free iron oxides in the particle-size separates and the specific gravity separates were examined, and the distribution and the formes of organo-minera1 complexes in the separates were discussed to shed light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phosphorous into the separates. And it was estimated that there was close relation among the distribution of organic and inorganic phosphorus, and the distribution and the formes of organo-minera1 complexes.

  • PDF

Mineralization of organic materials and plant uptake in upland condition (밭 토양 조건에서 시비용 유기물질의 무기화와 식물체 흡수)

  • Lee, Youn;Lee, Sang-Min;Shin, Jae-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300-300
    • /
    • 2009
  • 화학비료를 이용할 수 없는 유기농업에서의 양분관리를 위해서 녹비, 퇴비, 유박 등을 주 원료로 하는 유기질비료 등 다양한 유기물이 농경지에 투입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성분 및 탄소/질소비로 이루어진 유기물은 토양 중에서 분해되는 속도가 다르고, 토양수분함량, 통기성, 온도 등과 같은 토양조건에 따라서도 분해속도가 크게 차이가 난다. 본 실험에서는 유기농업에서 시비원으로 자주 이용하는 퇴비, 유박비료, 녹비조건의 알팔파 등을 이용하여 무기화율 및 양분이용률을 화학비료와 비교하였다. 농경지 투입시 유기물은 질소양분양(21kg N/10a)을 동일하게 투입하였으며 화학비료는 기비(전체량의 1/3)만을 투입하였는데 알팔파, 유박비료의 경우 노지조건에서 토양처리 후 1달 내에 가장 높은 무기화율을 보였으며 수분조건이 제한된 무기화통내에서의 무기화도 2개월 내에 대부분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딘그라스를 2개월 재배한 결과 화학비료 질소 양분이용율은 70%, 탄질비가 낮은 유박 및 알팔파는 40%내외, 탄질비가 높고 분해가 어려운 가축분 왕겨퇴비는 10%에 불과했다. 즉 화학비료 대비 유기물 양분(질소)의 비효화 율은 알팔파는 60%, 유박비료는 54%, 퇴비는 14% 였다. 또한 화학비료(100%) 대비 인산 이용률(유박: 296%, 알팔파: 660%, 퇴비: 36%로, 인산의 이용율이 높은 것은 유기물로 투입된 인산의 량이 화학비료보다 낮아 상대적으로 유기물질에 의한 작물의 인산이용율이 높고, 화학비료는 토양중 고정화가 작물생육 초기에 일어나는데 비하여 유기물질은 서서히 분해되면서 작물에 흡수되어 인산이용율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수단그라스 1차수확 후 포장침수로 인한 생육불량으로 전 생육 과정을 통한 양분흡수율은 측정할 수 없었다.

  • PDF

The Recycling of Nutrient Balance from Small Oranic farming System in Korea (소규모 유기농가단위 경축연계 자원순환 모델연구(I))

  • Yoon, Sung-Hee;Park, Dong-Ha;Choi, Si-Young;Kim, Jeo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307-307
    • /
    • 2009
  • 우리나라에서 농가단위 경축순환농업 모델에 대한 조사와 농장내 순환구조에서 양분수지를 조사한 사례도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경축연계 자원순환 유기농업농가의 실천사례 발굴하고, 실천모델별 축산형태 및 경종형태를 조사하여 경종부분의 양분순환과 양분수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발굴된 농가단위 경축순환농업 사례는 3가지 형태로 모두 한우를 11~21두 범위에서 사육하는 동시에 $15,510m^2$의 밭농사를 수행하는 농가, $8,019m^2$의 밭농사와 $8,250m^2$ 논농사를 동시에 수행하는 농가, $26,400m^2$의 논농사만 수행하는 농가들이었다. 각 모델에서 배합사료는 모두 외부에서 구입하고 있었으며 조사료의 자급율은 25 ~ 100%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한우 20두와 논농사 $26,400m^2$를 경영하는 농가에서 조사료(볏짚)의 100%를 자급하였고 동시에 한우사육과정에서 발생한 자급퇴비를 전량 논농사에 사용하여 유기농 벼농사를 유지하고 있었다. 밭농사를 함께 수행하는 농가에서는 자급퇴비 외에 외부로부터 유박비료 및 발효유기질비료를 구입하여 양분을 충당하고 있었다. 각 농가의 토양이화학성을 분석한 결과 pH는 5.49~7.61, 유기물 함량은 1.37~1.40%, 유효인산 함량 253.32~329.63 mg/kg, 칼륨 0.24~0.3, 칼슘 3.97~10.1, 마그네슘 0.89~1.77 $Cmol^+$/kg, CEC는 7.92~11 $Cmol^+$/kg 이었므며 토양내 잔류농약은 검출되지 않았다. 농가별로 발생한 우분퇴비의 성분 분석결과는 전질소 0.68 ~ 0.73%, 전인산 0.68 ~ 0.86%, 칼륨 0.70~0.78% 수준이었다. 각 사례농가별 투입한 실제시비량, 토양분석결과와 사용된 자재의 성분 분석결과를 이용한 시비처방법에 따른 시비량 및 표준시비법에 따른 시비량을 산출하여 3요소의 양분수지를 계산하였다. 이와 함께 유기질비료의 무기화율을 감안한 시비량도 산출하였다. 양분수지를 분석한 결과 3농가 모두 실제시비량은 3요소 모두 초과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인산과 칼륨이 2배정도 초과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투입된 자급퇴비 및 유기질비료의 무기화율을 감안한 시비량으로 환산할 경우에는 질소성분이 3농가 모두 부족한 것으로 산출되었으며, 인산과 가리 성분은 충분하거나 초과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농장내 축산경영을 통해 발생하는 자급퇴비만을 이용할 경우에 경종부문의 양분수지를 산출한 결과를 보면 실제시비량 기준으로 질소는 56~186%, 인산은 90~346%, 칼륨은41~221%로 양분수지가 달라졌으며, 무기화를 감안한 기준으로는 질소는 16~53%, 인산은 52~197%, 칼륨은 41~221%로 양분수지가 달라졌다. 소규모 유기농가단위 경축연계 자원순환 모델 연구를 통해 유기경종농업이 유지될 수 있으나, 3요소별 양분수지의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유기질비료의 특성상 무기화율을 감안한 시비량을 적용할 경우에는 질소 성분의 부족과 동시에 인산, 칼륨 성분의 과다가 예측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성분의 불균형을 조정할 시비체계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의 "유기가축사양 및 유기 순환체계모델" 연구사업의 세부과제로 수행한 1년차 결과입니다.

  • PDF

Relevance of soil testing on mineral nitrogen in organic farming with regard to water protection (상수도보호구역내에서의 유기농업을 위한 토양진단 시비처방법)

  • Kuecke, Martin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9 no.1
    • /
    • pp.91-108
    • /
    • 2001
  • 농업영농활동으로 인한 지하수와 지표수오염이 증가함에 따라 유럽연합(EU)과 각국 정부는 상수원보호를 위한 규제를 마련해 나가고 있다. 농민들의 영농활동을 제한하는 이러한 각종 규제에도 불구하고, 농지로부터 유입되는 상수원의 질산염 함량과 농약농도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하수 용탈(질산염)과 지표수 유거(인산염, 농약)는 상수원오염은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어느 지역 상수원의 질산염 오염 위험성은 1) 년간 양분균형 계산, 2) 규칙적 토양질산염 분석 등에 의해 파악이 가능하다. 질산염 용탈 이전에 토양질산염 분석을 통한 토양진단은 질산염 용탈 위험성과 작부체계의 지속성에 대한 필수적인 정보들을 제공하게 된다. 유기질비료를 다량 투입하는 유기농업의 지속성은 1) 양분균형의 과다 계산(질소, 인산, 칼리), 2) 토양질산염진단법, 3) 경운층의 토양인산진단법 등에 평가될 수 있다. 상수원을 가장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토양진단 최적시비전략과 작부체계가 함에 개발되어져야 한다.

  • PDF

Effects of Organic Addition agents on Manganese-Phosphate Coating (인산-망간 화성피막에서 유기첨가제에 따른 피막 특성 연구)

  • Seo, Seon-Gy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5.11a
    • /
    • pp.195-19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인산-망간 피막처리 공정 중에 생성되는 슬러지를 방지하기 위하여 인산-망간 화성처리액에 유기첨가제인 Tartaric acid를 첨가하여 내마모성 및 방청성 향상을 목적으로 슬러지를 방지하기 위한 인산-망간 화성피막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Tartaric acid의 농도에 따른 표면 Morphology를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과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EDS 분석을 통해 Mn, P, Fe, O, C의 성분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인산-망간 화성피막의 상(phase)을 확인하기 위하여 X-ray diffraction (XRD)을 분석을 통하여 $(Mn,Fe)_5H_2(PO_4)_44H_2O$으로 구성된 인산-망간 화성피막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artaric acid의 농도에 따른 인산-망간 피막의 내마모 시험(Ball on disc) 및 경도시험을 실시하여 기계적인 특성 및 슬러지의 양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PDF

Influence of Fertilization Treatment using Organic Amendment based on Soil Testing on Plant Growth and Nutrient use Efficiency in Cabbage (토양검정에 의한 유기자원 시비처방이 양배추의 생육 및 양분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

  • Lim, Jin-Soo;Lee, Bang-Hyun;Kang, Seung-Hee;Lee, Tae-Gue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39 no.2
    • /
    • pp.95-105
    • /
    • 2020
  • BACKGROUND: In this stud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supplemented organic amendment fertilizers recommended by the soil testing on cabbages, we used various amounts of organic amendment fertilizers. The amount of organic amendment fertilizers was decided by calculating each ratio of inorganic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based on the recommended fertilizer composition. METHODS AND RESULTS: The cabbages subjected to treatments 1 and 2 showed similar or greater leaf colors (SPAD values), head heights, head widths, head weight, soil organic matter content, nitrate-nitrogen level, and conductivity after harvest, when compared with cabbages treated with chemical fertilizers. The phosphorus and potassium fixation in the soil were higher in the plot where cabbages were treated with chemical fertilizers, and the nutrient use efficiency was greater in the plots with organic amendments and mineral addition. CONCLUSION: The treatments 1 and 2 that were supplemented with 180-200% of nitrogen, 100-130% of phosphorus, and 185-250% of potassium in comparison to chemical fertilizers, applied by the inorganic ratios of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can be used as organic amendment fertilizers for cabbages.

Pantoea agglomerans를 이용한 합성배지내의 인산 가용화 조사

  • Jeong, Il;Hwang, Eun-Sang;Kim, Yong-Ung;Lee, Jong-Il;Park, Don-Hui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0.11a
    • /
    • pp.368-371
    • /
    • 2000
  • Pantoea agglomerans의 인산 가용화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합성배지인 HY와 G broth에서 실험을 수행한 결과 pH와 glucose의 감소 정도에 따른 인산의 가용화 정도는 역상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aeration조건에서 240시간대에 pH 3.48, glucose양 61245ppm일 때 인산의 가용화 정도가 1675ppm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이때 균은 모두 사멸하였다. 따라서 균이 glucose인 탄소원을 기질로 이용하면서 생성되는 유기산에 의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pH와 glucose양은 감소하게 되고, 유기산에 의해 불용성 인산인 Hydroxyapatite가 가용성 인산으로 바뀌게된다.

  • PDF

Anion Adsorption Properties of Organobentonites Modified by Cationic Polymers (양이온 폴리머를 이용한 유기벤토나이트의 음이온 흡착특성)

  • 윤지해;황진연;이효민;고상모;유장한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2
    • /
    • pp.147-155
    • /
    • 2004
  • Anion adsorption properties of organobentonites modified by two cationic polymers, hexadecyltrimmethylammonium (HDTMA) and cetylpyridinum (CP), were investigated. The organobentonites showed the significant expansion of basal spacing to 42.0 $\AA$ at room temperature. The adsorp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the 0.2 g of organobentonites with 40 mL solutions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anions such as nitrate, sulfate and phosphate. As a result, the organobentonites showed excellent adsorption capacities for those anions whereas untreated bentonite showed very low adsorption capacity. Adsorption rate of HDTMA-bentonite was about 90% for 100 mg/L solutions of nitrate and phosphate, and that of CP-bentonite was 97% for 100 mg/L solution of nitrate. Adsorption behaviors were slightly different for the different organobentonites and anions. Both organobentonites showed relatively higher adsorption rate for nitrate and phosphate than sulfate. Therefore, these organobentonites showing high anion adsorption capacities can be used far the removal of deleterious anions in the treatment of environmental pollution.

소양호에서의 유기인산염 분해율

  • 최승익;안태석;김범철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30 no.2
    • /
    • pp.113-118
    • /
    • 1992
  • To elucidate a part of phosphorus cycle an'd the nutritional status of phosphorus. the degradation rates of organic phosphate by phosphatase activity (PA). were studied at the water column of Lake Soyang. from March 1900 to April 1991. Phosphatase activity showed the range of 1-2220 nMillhr. Its maximum value was recortled on August and minimum during October and November. The PA and chlorophyll u v~luess howed high correlation coefficent (0.69). and the values of specific astivity was highest during Winter, 45-12\ulcorner nMihripg chl. a, and lowest on October. 2 nMl hripg chl. 11. The values of PA and bioavailable dissolved inorganic phosphate (DIP)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n surface water. During destratification period (Oct. and Nov. 1990). the values of PA were about 11240 times lower than those during August albeit high concentration of chlorophyll a (1.7- 7.2 mglm'). Such results seem to be cause'd by DIP supply from the metalimnion. hypolimnion ant1 sediment. With these results. phosphate was sufficient to sustain the biomass in Autumn. and internal loading of phosphate shoultl accelerate the eutrophication in Lake Soya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