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기응집제

Search Result 8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무기 및 유기 응집제를 이용한 수중 휴믹산의 플럭특성

  • Heo, Mi-Ran;Lee, Min-Gyu;Gam, Sa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37-140
    • /
    • 2005
  • Alum과 PDDA에 대하여 각각 휴믹산의 플럭 형성-파괴-재형성을 관찰 한 결과 sweep flocculation에 의해 휴믹 플럭을 형성하는 alum은 플럭의 파괴 및 재형성은 비가역적이이나 유기응집제인 PDDA 플럭의 파괴는 가역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플럭 강도지수 측정으로부터 PDDA는 alum보다 높은 강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플럭강도에 미치는 이온강도의 영향을 살펴 보면 alum은 플록강도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었지만 유기응집제인 PDDA는 플럭 강도가 크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Precipitaion of Acid Mine Drainage Using Coagulants and Flocculants (유기 및 무기응집제를 이용한 산성광산배수 침전 연구)

  • Oh, Taek-Geun;Hwang, Won-Jeong;Lee, Jong-Un;Cha, Jongmun
    • Resources Recycling
    • /
    • v.25 no.3
    • /
    • pp.3-10
    • /
    • 2016
  • The passive treatment was required a large area for the treatment of acid mine drainage (AMD), and pollutants were discharged with mine drainage by the increased flow rate in summ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mprove the turbidity and to precipitate the pollutants quickly using coagulants and flocculants in AMD of abandoned mine sites that were difficult to build the passive treatment system. The coagulant PAC (Poly aluminium chloride) and flocculant PAM (Polyacrylamide) were selected to improve turbidity in W mine waters. We also tested the particle size analysis, ICP-OES and/or SEM-EDS for water and sludge samples.

Removal of Dissolved Organic Nitrogen from Surface Water and Reclaimed Water by Coagulation (지표수 및 재이용수내 용존 유기질소의 응집처리)

  • Lee, Wontae;Choi, June-Seok;Oh, Hyun J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4 no.11
    • /
    • pp.729-734
    • /
    • 2012
  • During chlorination processes dissolved organic nitrogen (DON) can form toxic nitrogenous disinfection byproducts and organic chloramines which have little or no bactericidal activity. DON needs to be removed before chlorination processes to reduce the formation of those produc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moval of DON from surface water and reclaimed water by coagulation with aluminum sulfate (alum) and a cationic polymer (polyDADMAC). Removal characteristics of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and ultraviolet absorbance at 254 nm ($UVA_{254}$) were compared with that of DON. Coagulation with alum removed DON, DOC, and $UVA_{254}$ with similar trends, but the removal of $UVA_{254}$ was highest. A dual coagulation strategy of alum and cationic polymer improved the removal of DON. Coagulation with cationic polymer alone was not effective due to its narrow range of charge neutralization. DON in reclaimed water was easier to remove than that in surface water, and higher molecular weight fraction (>10,000 Da) of DON was preferentially removed.

The Characterization of Floc Formation Under Various Pre-coagulation Conditions (응집-막분리 공정 적용시 전처리 응집조건에 따른 용존성 유기물 상(相)변화 특성)

  • Jung, Chul-Woo;Son, Hee-J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0 no.11
    • /
    • pp.1139-1145
    • /
    • 2008
  •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coagulation affecting UF and find out the optimum conditions of the combined of coagulation with UF membrane filtration for NOM removal. During the mixing period, substantial changes in particle size distribution occurred under rapid and slow mixing condition due to the simultaneous formation of microflocs and NOM precipitates. Therefore, combined pretreatment using coagulation (both rapid mixing and slow mixing) improved dissolved removal efficiency. Also, for combined coagulation to membrane process, flux reduction rate showed lower than only UF process. The rate of flux decline for the hydrophobic membrane was considerably greater than for the hydrophilic membrane. Applying coagulation process before membrane filtration showed not only reducing membrane fouling, but also improving the removal of dissolved organic materials that might otherwise not be removed by the membrane.

A Study on the Coagulation Efficiencies of Some Organics by Aluminum Based Coagulants (알루미늄 응집제들에 의한 몇가지 유기화합물의 응집효과에 관한 연구)

  • Kim, Mi-Hyang;Kim, Young-Man;Choi, Beom-Suk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12 no.6
    • /
    • pp.478-483
    • /
    • 1999
  • Coagulation efficiencies of some organic compounds by aluminum based coagulants including alum, PAC, PACS were studied. The coagulation efficiency was highest at the neutral pH. It was decreased with an order of PACS, PAC, and alum at the neutral pH. The organic compounds of high molecular weights showed good coagulation efficiencies with all coagulants, while the small molecules were not coagulated. Organic compounds having more than two adjacent functional groups of OH and COOH showed coagulation efficiencies of 10~80%.

  • PDF

CST를 적용한 하수슬러지 탈수특성에 관한 연구

  • Gu, Bong-Heon;Lee, Chang-Su;Jeon, Bong-Jun;Park, Seu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356-359
    • /
    • 2005
  • 하수를 처리하는 공정에서 해마다 슬러지의 발생량은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제적이면서도 측정이 간편한CST(Cap-illary Suction Time)을 통해 슬러지 의 탈수성 과 적 정 주입량을 산출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실험의 대상인 도시 하수슬러지에 대하여 함수율 및 pH변화, 무기 및 유기 응집제의 주입량 변화, 그리고 응집제 투입 후 침전된 응집제량을 조사하여 탈수성을 조사하였다. 슬러지의 함수율을 97%, 98%, 99%로 했을 때, CST는 99%일 때가 가장 적은 값으로 나타났다 응집제 주입 후 침전된 슬러지의 생성량은 응집제가 증가됨에 따라 증가하다가, 최적 주입량보다 더 많은 응집제를 주입할 경우에는 그 양이 감소했다. 이는 형성된 응집물의 구조적 특성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실험 결과를 통해 CST는 수분이내(< Smin)에 슬러지의 탈수성을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며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응집제의 최적 주입량 및 응집물의 구조적 특성을 평가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 PDF

Removal of Color and non-biodegradable organic matter from biologically treated effluent by coagulation. (응집에 의한 생물학적 처리수의 색도 및 난분해성 유기물 제거)

  • Seo, Tae-Gyeong;Park, Sang-Min;Park, No-Baek;Jeon, Ha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859-863
    • /
    • 2008
  • 축산폐수, 침출수 등의 고농도 폐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할 경우 최종 방류수는 강한 색도를 띠며 고분자량의 유기물질을 다량 함유한다. 이는 생물학적으로 분해하기 어려운 유기성 복합체와 생화학적 반응에 의한 중간생성물로 색도를 띠는 천연유기물질(NOM)을 포함한다. 생물학적 처리수의 색도는 심미적인 불안감, 방류수역의 수질오염 및 공중보건상의 잠재적 위해성을 갖는다. 또한, 수자원 이용측면에서 정수처리공정에서의 약품투입량 증가와 특히, 소독부산물 생성이라는 잠재적 문제점이 뒤따른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생물학적 2차 처리수의 후속처리가 요구되며, 실제로 난분해성 유기물과 색도를 제거하기 위한 흡착, 막 분리, 고급산화(AOP) 및 화학적 응집 등의 물리-화학적 공정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왔다. 특히, 화학적 응집은 무기응집제 또는 고분자중합체(Polymer)를 이용하여 콜로이드성 입자와 색도를 띠는 난분해성 유기물을 전기적 불안정화를 유도함으로서 흡착 및 응집과정을 통해 제거하는 공정으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난분해성 유기물과 색도제거는 대상원수의 성상과 화학적 특성 등에 따라 각각의 제거효율과 최적 운전조건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화학적 응집공정은 비교적 높은 제거효율을 보이지만, 운전 및 유지관리의 기술적 어려움, 경제적 비효율성 등으로 인하여 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생물학적 혐기-호기성 공정에서 방류되는 축산폐수의 2차 처리수를 대상으로 화학적 응집에 의한 색도 및 난분해성 유기물의 제거거동을 고찰하였다. 대상 처리수의 $TCOD_{Cr}$ 농도는 평균 410 mg/L인 반면, $BOD_5$는 7-15 mg/L 범위로 난분해성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황산알루미늄(Aluminium sulfate; $Al_2(SO_4){\cdot}14H_2O$)과 염화철(ferric chloride)의 무기응집제를 이용하여 자 테스트(jar test)를 수행한 결과, 동일한 응집제 주입량에서 염화철의 유기물 제거 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황산알루미늄과 염화철의 경우 각각의 응집제 주입율 5.85mM에서 89%, 7.03mM에서 97.5%의 최대 유기물 제거효율을 보여주었으며, 이 때 최종 pH는 4.0-5.6 범위이었다. 한편, 대상 원수 내의 콜로이드성 입자 또는 용존성 유기물의 작용기(functional group)는 일반적으로 음으로 하전 되어 있어 응집에 의해 잘 제거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과량의 응집제를 주입하여 다가의 양이온성 금속염을 흡착시켜 전기적으로 중화시키고, 생성된 침전성 수화물 내에 포획 또는 여과시켜 제거하게 된다. 이 때, 금속염 수화종의 전하밀도가 응집효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다가의 양이온은 전기적 이중층(Double layer) 압축에 의한 불안정화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다. 또한, 2가 금속염은 색도유발물질과 흡착하여 humate 또는 fulvate 등의 착화합물(complex)을 형성시켜 응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2차 처리수의 화학적 응집처리에 있어서 알루미늄염 등의 다가이온 첨가가 응집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후속되는 플록형성 및 침전공정에 의한 제거효율을 비교, 평가함으로써 2차 처리수로부터 난분해성 유기물과 색도를 보다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최적인자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Dewatering characteristics of sludge generating water treatment plant (정수장슬러지의 탈수특성)

  • Kim, Eun-Ho;Lee, Mi-Kyung;Kim, Hyeong-Seok;Sung, Nak-Chang;Heo, Jong-Soo;Hwang, Young-Gi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18 no.4
    • /
    • pp.316-32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stimate dewatering characteristics of generating water treatment plant by dewatering velocity, suitable polymer and mixing condition. Zeta potential of sludge in storage tank was negative and in case of adding cation, anion and nonion polymer for sludge conditioning, specific resistance coefficients of conditioned sludge were similar at zeta potential -5㎷. But above zeta potential -15㎷, canon polymer was more effective than others for reduction of specific resistance coefficients. Using of cation acrylate polymer showed better dewatering coefficients than cation methacrylate polymer.

  • PDF

전처리공정이 천연유기물질의 움집에 미치는 영향

  • 이주영;이석모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67-67
    • /
    • 1997
  • 정수공정은 "원수 -1 침사지 1 전염소 -1 전오존 -1 침전지 1 여과지 1 후오존 1 GAC 4 후염소 1 가정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처리 공정으로 염 소와 오존을 주입하게 되는데, 여기서 전염소 처리 공정으로 인해 잔류 유리염 소가 수중의 유기물질과 반웅하여 유해성 유기염소 화합물 (i.e.. Trihalomethane, Haloacetonitriles, Chlorophenol 등)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고도 정수처리 공정에서는 강한 산화력을 지닌 대체 산화 제로서 오존을 이용하고 있다. 전오존 처리공정은 OOC와 탁도 제거에 있어 응 집제 주입량을 감소시키는 것과 더불어 전오존 효과 (산화, 생분해 증대, 살균 등)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낙동강과 같이 유기물이 많은 원수에 과다한 오존이 주입되면 수중 의 유기물이 저분자화 또는 응집이 어려운 오존 산화물로 변화하여 응집제의 소비가 많아지게 된다. 실제, 오존을 응집 효과에 대해서 pilot plant로 운전한 결과 전오존에 의해 입자성 물질의 제거 효율은 향상된 반면에 유기물 제거는 뚜렷한 효과를 볼 수 없었다고 보고되었다 (류, 1997). 본 연구에서는 물금 지역의 원수와 응집-침전 공정까지 거치는 각각의 처 리수에 대해서 전처리가 응집에 미치는 영향을 천연유기물질 (NOM)의 조성 변화로 파악하였다. 그 방법으로 천연유기물질 (NOM)을 XAD-1, -4 수지를 이 용하여 소수성 물질 (hydrophobic components)과 친수성 물질 (hydrophilic components)로 분리 및 농축하여 용존 유기물이 처리 과정에서 어떻게 변화하 는지를 조사하여 개선된 상수 처리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수질 관리 분야에서도 적용하고자 하였다. 상수원수인 물금 지역의 소수성 물질(hydrophobic components)은 75~80%, 친수성 물질(hydrophilic components)은 30~33%정도의 분포를 보였고, 전염소 및 전오존 공정을 거친 처리수에서는 각각 62.2-62.8%, 43.9~49.0% 및 50~ 55%, 40~57% 정도의 분포를 보였다. 그리고 웅집-침전을 거친 처리수에서는 그 분포가 77~82%, 24-48%였다. 전주리 공정을 통하여 소수성 물질(byoghobic components)의 분포가 감 소하는 것을 볼 때 전염소 및 전오존 처리가 용존유기물의 응집에는 오히려 역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