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기용매

검색결과 1,273건 처리시간 0.036초

미생물(Aspergillus phoenicis)을 이용한 스테로이드의 변형에 관한 연구 : 유기용매와 포도당의 효과에 관한 고찰 (Steroid Modification with Aspergillus Phoenicis : Effects of Solvents and Glucose)

  • 김말남
    • 한국균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15-119
    • /
    • 1983
  • Aspergillus phoenicis에 의한 progesterone의 전환반응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 실험조건에서의 물질대사 결과 $11{\alpha}-hydroxyprogesterone$이 주생성물로 생성 되었다. $11{\alpha}-hydroxyprogesterone$의 농도는 반응시간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였으나 40시간 이후부터는 점근값에 도달하였다. 반응액에의 glucose 첨가는 progesterone의 전환반응 속도를 증가시켜 점근값의 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괄목할 만큼 앞당겨졌다. Progesterone의 초기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전환율이나 반응완결에 소요되는 시간에 큰 변화를 주지 않았으나 전환반응은 progesterone 농도에 대하여 1차반응 형태로 요약될 수는 없었다. 유기용매에 의한 효소 활성의 저하정도는 유기용매의 종류 및 그 농도에 의존하였으며, 낮은 유기용매의 농도에서는 acetone이 가장 높은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Pseudomonas sp. BCNU 106. 154 and 171 tolerant to organic solvents

  • Choi, Seung-Tae;Kim, Soon-Jeong;Lee, Kyung;Moon, Ja-Young;Kim, Dong-Wan;Lee, Ho-Won;Seo, Jeoung-Yoon;Hwang, Choi-Won;Jeong, Young-Kee;Joo, Woo-Hong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57-260
    • /
    • 2001
  • 유기용매 내성 균주를 분리하기 위해서 석유화학 공업단지 부근의 폐수 및 토양을 채취하여 각종 유기용매에 적응시킨 후 순수 분리를 통하여 내성을 가진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그 중에 서 가장 내성이 강한 균주 BCND 106, 154 and 171 을 분리하였다. 이 균주를 이용하여 유기용매 내성 및 분해능 검사를 하였다. 그 결과 이 세 균주는 본 실험에 사용한 유기용매 대부분에 대해서 내성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이를 탄소원으로도 이용하였다. 특히 BCNU 106 과 171 은 xylene isomer 인 meta-, para-xylene을 탄소원으로 이용할 뿐아니라 특히 독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ortho-xylene도 동시에 분해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또한 항생제와 중금속에 대해서도 강한 내성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유기용매 내성 기작과 밀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 PDF

유기용매내성 세균 Bacillus sp. BCNU 5005의 유용성에 대한 검증 (Evaluation of the Potential of Organic Solvent Tolerant Bacillus sp. BCNU 5005)

  • 최혜정;황민정;정영기;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00-705
    • /
    • 2011
  • 농화배양법을 이용하여 울산공단 일대의 폐수 및 토양에서 유기용매 내성 Bacillus sp. BCNU 5005를 분리하였다. 16S 리보좀DNA 염기서열 분석결과 BCNU 5005 균주는 B. subtilis와 98% 상동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통학적으로도 B. subtilis임이 확인되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세균과 그들의 효소는 고농도 유기용매하에서 불활성화되거나 파괴된다. 그러나. Bacillus sp. BCNU 5005의 lipase 활성은 chloroform, ethylbenzene 그리고 decane을 제외한 다양한 종류의 유기용매(25%, v/v)에서 매우 안정함을 보였다. 게다가 BCNU 5005는 유기용매를 분해하는 능력을 가진 것으로 확인하였다. 유기용매 내성 Bacillus sp. BCNU 5005는 생물전환과 생물복구산업을 위한 새로운 잠재적인 자원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Hsp90을 이용한 유기용매에서의 과산화효소 안정화 연구 (Stabilization of HRP Using Hsp90 in Water-miscible Organic Solvent)

  • 정자희;최유성;송승훈;유영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1호
    • /
    • pp.92-96
    • /
    • 2006
  • 유기용매에서 효소를 이용하면 다양한 선택적 반응을 쉽게 수행할 수 있어 산업적 적용 가능성이 매우 높지만, 효소의 안정성 저하는 아직까지 큰 문제 중의 하나로 남아있다. 유기용매에서 효소 반응시 효소의 실활 원인과 효소의 안정화 방법 연구를 위하여 단백질의 folding에 관여하는 molecular chaperone의 일종인 heat-shock protein Hsp90을 이용하여, 대표적인 유기용매 반응시스템에서의 과산화효소 HRP 안정성 향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Hsp90은 30% DMSO, 30% 및 50% dioxane 완충용액에서 HRP의 실활 방지 효과를 보였고, 실활된 효소의 재생에도 탁월한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형광분석과 CD(circular dichroism)에 의한 구조분석을 수행하여 Hsp90이 유기용매에 의해 unfolding되어 있는 효소를 다시 refolding하는 데 기여함을 알았다.

염산용액에서 유기인산과 아민추출제의 혼합용매와 이온성액체에 의한 Tb(III)의 용매추출 (Solvent Extraction of Tb(III) from Chloride Solution using Organophosphorous Extractant, its Mixture and Ionic Liquids with Amines)

  • 오창근;손성호;이만승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8권1호
    • /
    • pp.40-46
    • /
    • 2019
  • 염산용액에서 유기인산 추출제(D2EHPA, PC88A, Cyanex 272) 단독, Alamine 336과의 혼합용매, Aliquat 336으로 제조한 이온성액체에 의한 터븀(III)의 용매추출을 조사하였다. 유기인산의 혼합용매와 이온성액체를 사용하면 단독 유기인산에 비해 수용액상의 평형 pH는 상승하였다. 세 종류의 유기인산 추출제중에서 Cyanex 272와 Aliquat 336과의 이온성액체에서만 터븀(III) 추출에 대해 상승효과가 있었다. 혼합용매에 의한 터븀(III)의 추출률은 단독조건보다 낮았으며 D2EHPA + Alamine 336 > PC88A + Alamine 336 > Cyanex 272 + Alamine 336의 순서로 추출률이 높았다. 이온성액체로 추출시 Cyanex 272 + Aliqaut 336 > PC88A + Aliquat 336 > D2EHPA + Aliquat 336 순서로 터븀(III)의 추출률이 높았다.

초기 흡착량, 온도, pH가 활성탄 피흡착물인 페놀의 유기용매 탈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Effect of Initial Adsorbed Amount, Temperature, and pH on the Desorption of Phenol from Activated Carbon by Organic Solvents)

  • 김승도;오영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11호
    • /
    • pp.1985-1994
    • /
    • 2000
  • 본 연구는 페놀의 초기 홉착량, 온도, pH가 유기용매에 의한 페놀 탈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methanol, acetone, N,N-dimethylformamide(DMF)를 유기용매로 사용하였다. 초기 흡착량은 166.1mg/g, 180.7mg/g, 197.9mg/g의 세 경우, 온도는 $15{\sim}55^{\circ}C$까지 $10^{\circ}C$ 간격으로 다섯 온도 조건, pH는 산성, 중성, 염기성에서의 페놀 탈착율 변화를 살펴보았다. 페놀의 탈착은 용매의 극성 모멘트와 비례하여 methanol < acetone < DMF 순으로 나타났으며, acetone과 DMF의 경우에는 탈착율이 약 90% 정도로 유사하였다. 초기 흡착량이 증가할수록 용매에 의한 페놀 탈착율은 직선적으로 감소하였으며, DMF에 의한 탈착율 감소 정도가 가장 완만한 것으로 미루어 초기 흡착량이 DMF 탈착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가 높아질수록 페놀 탈착도 증가하였으며, methanol의 증가폭이 가장 큰 것으로 미루어 methanol에 의한 페놀 탈착반응이 온도에 가장 민감함을 알 수 있다. 용매 pH가 높아질수록 페놀 탈착율도 증가하였으며, 특히 methanol의 경우는 pH 12에서 페놀의 탈착율이 10% 이상 급격히 증가되었으며, 이는 methanol의 탈착 능력이 pH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세 용매 중에서 methanol의 페놀 탈착율이 가장 떨어졌으나, 온도와 pH를 조절하게 된다면 acetone, DMF와 유사한 탈착율을 보였으며, methanol이 가장 저렴하기 때문에 적정한 탈착 조건을 선정 적용한다면 경쟁력있는 재생 용매로서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된다.

  • PDF

유기용매에서 활성 빵효모를 이용한 ${\beta}-keto$ ester의 생물학적 환원 (Bioreduction of ${\beta}-keto$ esters with Active Dried Baker's Yeast in Organic Solvent System; Such as n-Hexane, Pentane or Petroleum ether.)

  • 고병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5호
    • /
    • pp.397-401
    • /
    • 1994
  • 활성 빵효모를 이용한 생물학적 환원은 n-hexane, pentane과 석유에테르와 같은 유기용매에서 순조롭게 진행되어, ethyl(1)과 octyl 3-oxohexanoate(2)는 높은 %ee로 환원되었다. 활성 빵효모에 의한 생물학적 환원은 물보다 유기용매에서 생성물의 정제가 간편하고 경제적 효과가 크다는 이점이 있었다. 이러한 생물학적 환원방법은 광학활성 천연물의 합성에 이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되어 진다.

  • PDF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보조용매를 이용한 주목잎에서의 Taxol과 Baccatin III의 추출 (Extraction of Taxol and Baccatin III from Needles of Taxus Cuspidata by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with Cosolvents)

  • 신혜원;전문균이훈
    • KSBB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100-106
    • /
    • 1996
  • 300bar와 313K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에틸아세테이트와 메탄올을 보조용매로 사용하여 주목나무로부터 taxol과 baccatin III를 추출하는 실험을 한 결과 추출되어지는 taxol의 추출량은 보조용매로 사용된 에틸아세테이트의 농도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3wt%의 메탄올을 사용했을 때 가장 많은 양이 추출되었고 taxol의 선택성은 보조용매로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했을 때 0.117mass%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Baccatin III는 보조용매로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면 유기용매 추출량과 거의 같은 양이 추출되어지며 이 때의 선택성은 0.7wt% 에틸아세테이트에서 1.245wt%, 3.0wt% 에틸아세테이트에서 1.115wt%로 유기용매 추출에 비해 19배까지 크게 증가하였으며 3wt%의 메탄올을 사용했을 때에는 약 6.4배 증가하였다. 여기서 에틸아세테이트는 baccatin III를 추출하는데 있어 수율과 선택성면에서 가장 효과적인 보조용매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시료를 n-hexane으로 처리하면 비극성 물질은 상당히 제거되나 그 과정에서 많은 양의 taxol 과 baccatin III가 손실될 뿐만 아니라 선택성도 증가하지 않으므로 공정상 불필요하며 보조용매를 사용한 초임계유체 추출이 주목나무로부터 특정성분을 추출하는데 아주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있다.

  • PDF

규산 나트륨으로부터 유기 용매 추출에 의한 고순도 규산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High Purity Silicic Acid by Solvent Extraction from Sodium Silicate)

  • 노재성;홍성수;정흥호
    • 공업화학
    • /
    • 제7권4호
    • /
    • pp.802-808
    • /
    • 1996
  • 규산 나트륨으로부터 묽은 황산으로 산성화시킨 규산 나트륨용액으로부터 유기 용매에 의한 추출로 규산[Silicic Acid(SA)]을 제조하였다. 유기 용매로 tetrahydrofuran(THF), isopropyl alcohol과 acetone을 사용하여 Si 추출율과 Na 제거율에 미치는 영향과 유기 용매의 부피비, 염화 나트륨 첨가량 및 $H_2O$ 첨가량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였다. 고순도 규산을 제조하기위한 최적 조건은 유기 용매 THF, 유기 용매/규산의 부피비 1(organic solvent 10ml/10ml SA) 그리고 염화 나트륨 첨가량 2.5g/10ml SA이었고, 이 조건에서 Si 추출율 86.2%, Na 제거율 99.95%인 99.96%의 고순도 규산을 제조하였다.

  • PDF

국내 침엽수재 추출성분의 혈액지질 저하 효과 연구 (Hypolipidemic Effects of Korean Softwood Components)

  • 김영균;김우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204-1209
    • /
    • 2001
  • 본 연구는 한국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대표적인 침엽수중에 혈액지질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이 있는지를 검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1차적으로 미국측백과 뚝향나무의 유기 용매와 수용성 추출물을 흰쥐에게 경구 투여하여 체중 증가, 장기 무게, 혈액지질성분 및 혈당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추출물의 섭취는 체중증가와 간, 신장, 비장과 같은 장기무게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일반적인 성장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체내 저장지방은 뚝향나무의 유기용매층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그리고 혈청내 총 지방량은 고지방 대조군이 저지방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뚝향나무의 유기용매층이 유의적으로 낮아 뚝 향나무의 유기용매층이 혈액 지질저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선정되었다. 2차적으로 뚝향나무의 유기용매층을 3분획하여 횐쥐를 대상으로 혈액지질성분과 혈당, 빈혈지표등을 관찰하였다. 결과를 보면 JCDM2가 체내 지방축적량을 유의적으로 낮추었으며, 혈청내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량이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낮은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JCDM2의 5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물질로 communic acid가 순수 분리되었다. 본 연구는 아직 시도되지 않았던 수목의 혈액내 지질 저하효과를 관찰하는 기초연구로 실험 결과, 뚝향나무의 유기용매층에서 효과가 있었으며 그 주요 물질은 communic acid로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