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기염료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2초

색소기능재료의 개발 및 동향 (Research and Development of Functional Colorants Materials)

  • 전근;손영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1호
    • /
    • pp.1-7
    • /
    • 2014
  • 전통적 관점에서의 유기염료 혹은 색소재료는 섬유, 종이, 플라스틱, 가죽 등의 재료를 착색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에 이르러서는 이들 유기염료, 즉 색소재료를 이용하여 전자재료와 기록, 영상재료를 이용하는 하이테크산업 및 고성능산업에 대한 적용으로 중요한 관심 및 주목을 끌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런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색소재료의 이용 및 색소재료화학에 대한 다양한 예와 설명을 제안하고자 한다. 고기능재료로서의 색소재료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필요한 요구조건에 충족하기 위한 색소재료분자의 설계 및 합성이 필요하며, 이를 이용한 흥미로운 적용의 도전이 새로운 주목과 관심을 이끌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다음의 내용들은 학문적 그리고 산업적 관점에서 색소재료의 중요한 적용에 대한 필요한 연구내용 및 접근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기공형 polyethersulfone/TiO2 복합체 멤브레인의 유기염료분해 반응에 대한 광촉매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hotocatalytic Decomposition of Organic Dyes by Porous Polyethersulfone/TiO2 Composite Membrane)

  • 송창현;진영읍;이원기;유성일
    • 공업화학
    • /
    • 제34권1호
    • /
    • pp.51-56
    • /
    • 2023
  • 광촉매 기반의 수처리 공정에서 TiO2 나노입자와 기공형 고분자로 구성된 복합체 멤브레인은 광촉매 반응후 나노입자를 회수하기 용이하다는 장점과 멤브레인 파울링(fouling) 억제가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TiO2 나노입자가 복합체 멤브레인에 고착된 이후 나노입자의 광촉매 특성이 어떻게 변할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polyethersulfone (PES)/TiO2 복합체 멤브레인을 제조하고 유기염료분해 반응에 대한 광촉매 특성을 연구하였다. 복합체 멤브레인에 고착된 TiO2 나노입자의 염료분해반응 속도를 콜로이드 상에서 분산된 TiO2 나노입자와 비교함으로써 멤브레인에 고착화되기 전후의 TiO2 나노입자의 촉매 효율을 비교하였다.

다공성 고분자 박막을 사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광학적 특성

  • 고요섭;전영표;추동철;김태환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0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20-120
    • /
    • 2010
  • 유기 발광 소자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와 조명 광원으로서 많은 응용성 때문에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백색광을 구현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밴드갭이 큰 고분자 물질에 염료를 넣는 방법, 적 녹 청을 순차적으로 증착하는 방법을 사용하지만 인가 전압의 증가 및 효율 저하, 유기물질의 수명감소, 색 안정성 감소, 제조공정의 복잡화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광효율 및 안정성이 향상된 유기발광 재료 개발, 다층 이종구조 및 형광/인광성 물질의 도핑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기존의 수직 적층 구조에서 벗어난 평행하게 적 녹 청을 배열한 백색 유기 발광 소자 및 색변환 물질을 사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가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물질의 용해도가 다른 선택적 식각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 공정이 간단하며 동일평면에서 적색 및 청색을 발광하여 백색을 발생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두 가지 유기물을 일정 성분비로 용매에 용해하여 적색 발광 고분자 발광층을 제작하였다. 이렇게 형성한 박막층을 한 가지 유기물만을 선택적으로 용해시켜 다공성 고분자 박막층을 형성 한 후 열 진공 증착법에 의해 청색 빛을 내는 저분자 유기물을 증착하여 적색과 청색이 동시에 발광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작하였다. 다공성고분자/저분자 층이, 수직 적층된 구조와 비교하였을 때 수직 적층된 구조는 높은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준위를 가진 저분자층으로 인해 적색에서 청색 발광층으로 정공의 주입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적색과 청색이 평행한 적층 구조를 가진 발광소자인 경우 정공이 적색층과 청색층에 동시에 주입되기 때문에 문턱전압의 감소하고 백색의 빛을 발광하였다.

  • PDF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위한 KI 및 $I_2$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복합 전해질막의 이온전도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onic Conducting Characteristics of Electrolyte Membranes Containing KI and $I_2$ for Dye Sensitized Solar Cell)

  • 강태윤;신춘화;최미정;구자경;조남준
    • 멤브레인
    • /
    • 제20권1호
    • /
    • pp.21-28
    • /
    • 2010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사용되기 위한 유기/무기 복합소재를 합성하였다. 다양한 분자량(600, 1,500, 2,000, 3,400)의 polyethylene glycol 양 끝단을 ethoxysilane기로 치환하여 전구체를 제조하였으며, 전구체간의 졸-겔 반응을 통하여 복합소재를 합성하였다. 전해질막은 유기/무기 복합소재를 KI 및 $I_2$로 도핑하여 제조하였으며, 제조한 전해질의 이온전도도 특성을 측정하였다.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는 원료로 사용한 PEG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가장 높은 이온전도도는 분자량 2,000의 PEG를 사용한 전해질막에서 볼 수 있었다. 복합전해질막은 이온전도도에 있어서 큰 향상을 보였다. PEO 전해질막에 비하여 분자량 2,000의 PEG를 사용하여 제조한 복합전해질막은 월등하게 높은 이온전도도를 보였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위한 유기/무기 복합 전해질막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s for Dye Sensitized Solar Cell)

  • 구자경;최미정;신춘화;강태윤;조남준
    • 멤브레인
    • /
    • 제18권4호
    • /
    • pp.345-353
    • /
    • 2008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사용되기 위한 유기/무기 복합소재를 합성하였다. 다양한 분자량(400, 600, 1,500, 3,400)의 polyethylene glycol의 양 끝단을 ethoxysilane기로 치환하여 전구체를 제조하였으며, 전구체의 졸-겔 반응을 통하여 복합소재를 합성하였다. 전해질막은 유기/무기 복합소재를 NaI 및 $I_2$로 도핑하여 제조하였으며, 제조한 전해질막의 이온전도 특성을 측정하였다.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는 원료로 사용한 PEG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가장 높은 이온전도도는 분자량 1,500의 PEG를 원료로 사용한 전해질 막에서 볼 수 있었다. 복합전해질막은 전도도에 있어서 큰 향상을 보였다. PEO 전해질막에 비하여 분자량 1,500의 PEC로 제조한 복합전해질막은 월등하게 높은 이온전도도를 보였다.

유기 용매를 사용한 반응성 이색성 염료의 염착에 의한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필름의 제조 및 광학특성 (Preparation and Optical Properties of Polarizing Film Based on Poly(vinyl Alcohol) Dyed by Reactive Dichroic Dyes Using Organic Solvents)

  • 최이준;최승석;김은철;김시민;백상현
    • 접착 및 계면
    • /
    • 제13권3호
    • /
    • pp.131-13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LCD 편광필름 제조용으로 시판되고 있는 poly(vinyl alcohol) (PVA) 필름을 반응성 이색성 염료로 염착시키고 500%로 일축 연신시킨 후 그 편광효율 및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3,5-dichloro-2,4,6-triazine 잔기를 갖는 반응성 이색성 염료를 합성한 후 강염기성 수용액이 아닌 중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염착을 수행하였다. 먼저, 시판되고 있는 편광필름용 PVA 필름의 검화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시약급 PVA 분말시료의 검화도를 NMR 분광분석법을 사용하여 검정한 후, 필름을 제막하여 FT-IR 분광분석법으로 C-H기와 C=O기의 신축진동에 대한 흡광도 비를 측정하여 NMR 분광분석법으로 결정된 검화도와 상관시켜 봄으로써 상용화된 PVA 필름의 검화도를 in situ로 가늠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NMR 분광분석법으로 검화도가 약 100%로 결정된 시판 PVA 필름을 두 가지 반응성 이색성 염료를 사용하여 염착하였다. 결과로서, 반응성 콩고레드를 염착시켜 제조한 PVA 편광필름과 반응성 다이렉트블랙 22를 염착시켜 제조한 PVA 편광필름의 광학특성을 비교할 때, 전자의 경우 편광효율이 우수하며, 후자의 경우 투과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