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기발광소재

Search Result 3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특집: 유기광.전자 소재 및 소자 기술 - 유기발광전자 소재 및 소자 기술

  • Kim, Ju-Hyeon;Gang, Jae-Uk
    • 기계와재료
    • /
    • v.23 no.2
    • /
    • pp.18-35
    • /
    • 2011
  • 공액 이중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 유기 화합물을 형광체로 이용하는 유기발광 소자는 최근 모바일용 디스플레이의 사용화를 시작으로 TV, PC용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로의 사용화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본 글에서는 지금까지 개발된 다양한 기능성 소재 및 발광 소재에 대하여 소개 하고자 한다.

  • PDF

The recent trend of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최근의 개발동향)

  • 구할본;김주승;조재철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9 no.2
    • /
    • pp.208-215
    • /
    • 1996
  • 본 고에서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적층형 유기 전계발광소자의 일반적 형태와 발광특성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현재 완전한 유기 전계발광소자의 개발을 위해 캐리어 수송재 즉, 정공수송재와 전자수송계의 캐리어 수송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여러가지 새로운 물질들이 연구되고 있으며, 고효율의 발광특성을 얻어내기 위한 발광재료의 개발과 동작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소자구조의 개선에 대해서도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조만간 일본에서 30cd/m$^{2}$의 휘도를 갖는 적층형 유기 전계발광 소자가 상용화 될것으로 알려져있어 이를 계기로 고휘도, 고효율의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개발이 가까운 시일내에 이루워지리라 전망된다.

  • PDF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개요, 재료 및 연구 동향

  • 박준영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15 no.12
    • /
    • pp.3-10
    • /
    • 2002
  • 유기 전계발광 소자는 발광성 유기화합물을 양극과 음극사이에 형성한 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 그 발광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로 1960년도에 처음 전기 적 발광현상이 안트라센 물질에서 처음 보고되었다[1]. 그 후 1987년에 코닥(Kodak)사의 Tang에 의해 적층형 유기 전계발광 소자가 처음 연구되어 소개된 후 실용화를 목표로 활발히 연구되기 시작하였으며[2], 1990년도 들어서는 유기물 재료 중에 전도성 고분자형 재료의 전기적 발광현상이 영국의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보고되어 고분자형 유기 전계발광 소자연구가 진행되기 시작하였다[3].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는 평판 디스플레이의 한 종류로서 저전압 구동, 박형, 자체발광에 인한 고인식성 및 넓은 시야각, 빠른 응답속도 등의 많은 장점을 갖고 있어 현재 널리 사용되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결점을 해결해줄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최근 들어 매우 높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연구개발 또한 가장n 활발한 분야로 알려져 있다 현재는 저분자형 유기물을 사용하는 저분자 유기 전계발광 소자와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하는 고분자 유기 전계발광 소자가 전자발광 디스플레이 연구의 두 분야로 경쟁하면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1990년도 후반부터 디스플레이로의 연구가 일본에서부터 활발히 진행되면서 수동형 (Passive Matrix) 구동의 유기 EID가 일본의 Pioneer,한국의 삼성 SDI등에 의해서 상업화되었다. 현재는 카오디오나 핸드폰 등에 이미 채용이 되고 있으며 일반인들이 쉽게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로 바뀌어가고 있다. 또한 향후 중대형 디스플레이로 상업화하기 위하여 일본의 Sony, Sanyo, Toshiba, 한국의 삼성 SDI 등에서 능동구동 유기 EL (Active Matrix OLED (AM OLED))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그림 1 참조)유기 ELD는 이와 같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향후 몇 년 내에 우리 주변의 일상적 인 디스플레이로 등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보고서에서는 현재 실용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는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의 소자구조, 발광기구. 소자특성, 각종 재료, 풀컬러화 기술, 구동방법등에 대한 기술개요와 국내외 기술동향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

Organic Thin Film Transistor의 기술 현황

  • 최종선;박재훈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17 no.7
    • /
    • pp.5-11
    • /
    • 2004
  •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 OTFT)에 관한 연구는 1980년 이후부터 시작되었으나 근래에 들어 전 세계적으로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는 OTFT가 넓은 면적 위에 소자를 제작할 경우, 낮은 공정 온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 또한 구부림이 가능해야 하는 경우, 특히 저가 공정이 필요한 경우 등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OTFT는 미래의 정보표시 장치의 필수적인 요소들과 집적화가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소재의 특성상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쓰이는 발광 유기물과 같은 유기 반도체가 OTFT의 제작에 사용 가능하므로 증착 공정,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매우 유사하다.(중략)

  • PDF

Fabrications of Flexible Micro/nano Metal Wire Embedded Substrate and Its Applications (마이크로/나노 배선함몰형 유연 전극 기판의 제작과 이를 활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

  • Jeong, Seong-Hun;An, Won-Min;Kim, Do-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5.11a
    • /
    • pp.271-271
    • /
    • 2015
  • 유기 전자 소자는 높은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전자소자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유기 전자소자에 있어서 투명전극은 핵심소재 중의 하나인데, 유연성을 위하여 유연한 투명전극의 개발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나노 금속 배선을 활용한 저저항/고투과의 투명전극을 제작하였고, 이러한 금속 배선은 기판에 함몰되어 있음에 따라 높은 평탄도 및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본 전극은 기존의 ITO 대비 높은 투명전극으로서의 성능을 보이고, 이를 활용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제작한 결과 높은 발광 특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mission Characteristics of Multilayer Structure OLED (다층구조 OLED소자의 발광특성)

  • Chol, Young-Il;Cho, Su-Young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v.48 no.4
    • /
    • pp.25-29
    • /
    • 2011
  • Organic electroluminesencent device have been studied because of its easy fabrication and high brightness for plate panel display instead of CRT and LED. There are some device structure for full color filter system can be applicable to the full color application if the blue light organic electroluminesencent device(OELD) is developed.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electro-luminescent (EL) characteristics of organic EL device using Alq3, PBD as emitting material. Current and luminance can be seen that express a similar relativity in voltage and could know that luminance is expressing current relativity.

Theoretical Study for 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 (TADF) Property i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Candidates (유기발광소재(OLED) 후보물질의 지연형광(TADF) 성질에 대한 이론적 연구)

  • Seo, Hyun-il;Jeong, Hyeon Jin;Yoon, Byung Jin;Kim, Seu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63 no.3
    • /
    • pp.151-159
    • /
    • 2019
  • The TADF properties for carbazol-dicyanobenzene, carbazol-diphenyl sulfone, carbazol-benzonitrile derivatives as OLED candidate materials are theoretically investigated using density functional theory (DFT) with $6-31G^{**}$, cc-pVDZ, and cc-pVTZ basis sets. The optimized geometries, harmonic vibrational frequencies, and HOMO-LUMO energy separations are predicted at the B3LYP/$6-31G^{**}$ level of theory. The harmonic vibrational frequencies of the molecules considered in this study show all real numbers implying true minima. The time dependent density functional theory (TD-DFT) calculations have been also applied to investigate the absorption and emission wavelength (${\lambda}_{max}$), energy differences (${\Delta}E_{ST}$) between excited singlet ($S_1$) and triplet ($T_1$) states of candidate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