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기물생산력

Search Result 6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Measurement of total primary production of Han River and contribution to eutrophication of inflowing streams (한강의 총일차생산량 측정과 유입지천의 부영양화 기여도 산정)

  • Kim, Ui Seok;Hong, Eun 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73-473
    • /
    • 2022
  • 일차생산은 화학합성 또는 광합성에 의하여 무기탄소가 유기물질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수중의 일차생산자는 광합성을 통하여 유기물을 해당 수역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는 수역의 상위 먹이 단계의 총생산력을 결정하는 주요 구성원이다. 한강은 하류로 갈수록 유속이 느리지만 수심이 깊어져 부착조류가 서식하기 쉽지 않은 환경이기에 대부분의 일차생산자는 식물플랑크톤이다. 과거 1994년 이후로 2017년까지 5년 간격으로 총 6회 연구된 결과, 해당 하천의 부영양화가 여름철에 발생하였다. 팔당댐 방류량과 지류의 유입에 의한 유기물 증가로 하천 내 1차 생산의 기여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유기물 근원을 판정하여 수질오염에 대한 처리대책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강본류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력을 조사하고, 유기물의 분해속도를 측정하여 당해 유역의 유기물 수지를 추정하여 한강 고유의 특성을 파악하여 부영양화에 의한 유기물 증가로 발생할 수 있는 수질오염을 예측하고자 한다. 조사유역은 한강의 팔당댐 방류구로부터 신곡수중보까지 전 구역 중 총 12개의 지점을 선정하였다. 기간은 2021년 5월부터 2022년 3월까지 계절별 2회로 총 8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한강본류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의 산소소비법을 통해 일차생산력과 유기물 분해속도를 조사하여 내부기원 유기물을 측정하였고, 한강본류로 유입되는 4개의 유입하천에서는 COD를 조사하여 외부기원 유기물을 측정하여 한강에서 발생하는 총유기물량을 산정하였다.

  • PDF

Estimation of change in primary production of rivers and contribution of organic matter by discharge volume of Paldang Dam (팔당댐 방류량에 의한 한강의 일차생산량 변화와 유기물 기여도 산정)

  • Ui Seok Kim;Eun Mi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18-218
    • /
    • 2023
  • 일차생산은 화학합성 또는 광합성에 의하여 무기탄소가 유기물질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강은 하류로 갈수록 유속이 느리지만 수심이 깊어져 부착조류가 서식하기 쉽지 않은 환경이기에 대부분의 일차생산자는 식물플랑크톤이다. 선행연구와 비교 결과, 한강 본류의 부영양화가 여름철에 발생하고 있으며 팔당댐 방류량과 지류의 유입에 의한 유기물 증가로 하천 내 1차 생산의 기여도가 증가하고 있고, 이는 유기물 근원을 판정하여 수질오염에 대한 처리대책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강본류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력을 조사하고, 유기물의 분해속도를 측정하여 당해 유역의 유기물 수지를 추정하여 한강 고유의 특성과 지류에서 기인할 수 있는 부영양화 기여도를 파악하여 부영양화에 의한 유기물 증가로 발생할 수 있는 수질오염을 예측하고자 한다. 조사유역은 한강의 팔당댐 방류구로부터 신곡수중보까지 전 구역 중 총 12개의 지점을 선정하였다. 기간은 2021년 5월부터 2022년 3월까지 계절별 2회로 총 8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한강본류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의 산소소비법을 통해 일차생산력과 유기물 분해속도를 조사하여 내부기원 유기물을 측정하였고, 한강본류로 유입되는 4개의 유입하천에서는 COD를 조사하여 외부기원 유기물을 측정하여 한강에서 발생하는 총유기물량을 산정하였다. 연구 결과, 하류 지점으로 갈수록 일차생산량이 점차 중가하였으며 지천이 유입되는 안양천, 탄천지점에서 유기물분해 속도가 빠르게 나타났다. 이는 수온 상승으로 인한 미생물 활성도가 높아져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량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여름 조사 전 강우에 의한 팔당댐 방류량 증가로 인해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다른계절에 비해 비교적 낮았지만, 호수의 부영양호 기준보다 높게 나타나 부영양한 수체로 판단하였다.

  • PDF

통영 북만의 굴양식장 적정관리에 관한 연구 II. 기초생산력

  • 정우건;김용술;조창환;조상만
    • Proceedings of the Malaco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1.11a
    • /
    • pp.35-36
    • /
    • 2001
  • 해양의 유기물 합성의 95%를 담당하는 식물프랑크톤은 해양 먹이연쇄의 1차 생산자로서 이들을 여과 섭식하는 이매패류는 식물프랑크톤의 분포나 양에 따라 그 생산이 좌우된다. 그러나 이 식물프랑크톤의 분포는 동일한 해역이라도 영양염류, 수온, 태양광선의 세기와 해수면에 입사된 광선이 해수 중에서 소멸되는 정도 등에 따라 생선속도가 달라지므로 동일해역에서도 분포의 변이가 매우 심하다. 기초생산력의 차이는 굴 성육에 관계되므로 여과섭식성 이매패류 양식장의 생산성 평가의 기초자료로 이용되고 있다(배 등, 1978; 이 등, 1991). 이 연구는 북만의 기초생산력을 조사하여, 다른 해역과 비교하고 먹이생물의 생산능력에 의한 굴양식장 수용력을 검토하는 자료로 제공하였다.

  • PDF

Organic Carbon Budget during Rainy and Dry Period in Paldang Reservoir (강우기 및 평수기의 팔당호 유기물 수지산정)

  • Lee, U-Hee;Jung, Dong-Il;Park, Hae-Kyung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7 no.3 s.108
    • /
    • pp.272-281
    • /
    • 2004
  • The Primary production and budget of organic carbon at rainy and dry period was surveyed to evaluate the contribution of primary production in Paldang Reservoir. Primary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showed remarkable differences depending on sampling dates and sites, ranged from 110 to 2,701 mgC $m^{-2}day^{-1}$. In the rainy period of April and August when there had been frequent rainfall resulting short hydraulic retention time and low algal biomass in Paldang Reservoir, autochthonous organic carbon occupied very low ratio, farming approximately 7 percent of total inflow of organic carbon. However in June when it almost never rained and dominant algal species changed from diatoms to green algae and small flagellates, autochthonous organic carbon from primary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formed 29 percent of total inflow of organic carbon.

Primary Production by Epiphytic Algae Attached on the Reed in Constructed Wetlands for Water Treatment (수처리용 인공습지에서 갈대부착조류의 유기물생산력)

  • Choi, Don-Hyeok;Choi, Kwang-Soon;Hwang, Gil-Son;Kim, Dong-Sup;Kim, Sea-Won;Kang, 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1 no.10
    • /
    • pp.893-900
    • /
    • 2009
  • To estimate the contribution of epiphytic algae attached on reed to organic matter production in constructed wetland, primary productivity by epiphytic algae was investigated in two sub-wetlands (Banweol and Donhwa wetlands) of the Sihwa Constructed Wetland (CW) with different chemistry of inflows. Chlorophyll a concentration of epiphytic algae was higher in the Banweol wetland (range:37~3,581 mgChl.a/$m^2$surface stem, average:655 mgChl.a/$m^2$surface stem) than the Donhwa wetland (range:87~2,093 mgChl.a/$m^2$surface stem, average:527 mgChl.a/$m^2$surface stem). In contrast, assimilation number (AN) representing photosynthetic activity was higher in the Donhwa wetland with low TN/TP ratio than the Banweol wetland. A negative correlation (r=0.46) was observed between TN/TP ratios of inflows and AN in two wetlands, implying that high photosynthetic activity of epiphytic algae may be related with low TN/TP ratio. The areal primary productivity ranged from 307 to 2,473 mgC/$m^2$/day in the Banweol wetland and from 756 to 2,096 mgC/$m^2$/day in the Donghwa wetland, showing high productivity in summer. Average primary production was lower in the Banweol wetland (1,166 mgC/$m^2$/day) than the Donghwa wetland (1,467 mgC/$m^2$/day), although the standing crop (as chlorophyll a concentration) was high in the Banweol wetland. This result may be due to the low photosynthetic activity of epiphytic algae in the Banweol wetland with high TN/TP ratio. The annual primary production (300 tonC/year) of epiphytic algae contributed 33% of the total production in the Sihwa CW. An excessive organic matter production in constructed wetland can negatively affect the efficiency of water treatment. Therefore, the role of epiphytic algae should be considered in management of constructed wetland for water treatment.

Organic Matter Sources in a Reservoir (Lake Soyang); Primary Production of Phytoplankton and DOC, and External Loading (식물플랑크톤의 세포외배출유기물을 고려한 소양호의 1차생산과 유기물 부하)

  • Nam, Kung-Hyun;Hwang, Gil-Son;Choi, Kwang-Soon;Kim, Chul-Goo;Kim, Bom-Chul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4 no.3 s.95
    • /
    • pp.166-174
    • /
    • 2001
  • The autochthonous and allochthonous organic carbon loading were measured in Lake Soyang, to estimate the amount of carbon loading into the lake and the contribution of their sources to tile lake's carbon loading. Autochthonous carbon loading was estimated from phytoplankton primary production with the extracellular organic carbon (EOC). Allochthonous loading was determined by measuring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and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concentration in the main inflowing Soyang River. Both autochthonous and allochthonous organic carbon loading were high during the svmmer, from July to September, and accounted for 43.2% and 71.7% of the annual loading, respectively. Primary productivity was elevated up to $1,000\;mgC\;m^{-2}\;d^{-1}$ during summer and lowest in winter. EOC production from phytoplankton was also large in summer, resulting in a high DOC concentration in the lake water. Primary production of phytoplankton and allochthonous organic matter loading from the watershed contributed to 53.6% and 46.4% of total loading, respectively. The EOC production accounted far $4.4{\sim}21.2%$ of POC primary production, implying that EOC production of phytolankton must be considered in estimation of primary production.

  • PDF

Bacterial Biomass and Production in the Water Column Over two Central North Pacific Seamounts (중북부(中北部) 태평양 해산상(海山上) 수층의 박테리아 생체량과 생산력)

  • CHO, BYUNG CHEOL
    • 한국해양학회지
    • /
    • v.26 no.3
    • /
    • pp.255-261
    • /
    • 1991
  • Bacterial abundance and production in the water column over two seamounts (Horizon Guyot and magellan rise) in the central North Pacific were studied in March 1987. Bacterial abundance (0.9-2.3${\times}$10/SUP 8/ l/SUP -1/) in surface waters during the study period were in the lower limit of the values reported for oligotrophic areas. further, bacterial abundance in mesopelagic zone (mostly<5${\times}$ 10/SUP 7/ l/SUP -1/) was much lower than that reported from other tropical areas. Bacterial production 920-466 ng C l/SUP -1/ d/SUP -1/) in surface waters was also low compared to other oligotrophic oceanic environments. However, comparison of bacterial production with the earlier reported values of primary production from these regions suggested a significant role of bacteria in the utilization of organic matter in further studies on spatial distribution of bacterial production on both small and large scales in very oligotrophic aquatic environments are suggested to be necessary.

  • PDF

A comparison between organic matters and sedimentary facies in the Ulleung Basin, East Se (동해 울릉분지의 퇴적상과 유기물 특성 대비)

  • Chun, Jong-Hwa;Kwon, Young-Ihn;Kim, Ji-Hoon;Kim, Hag-Ju;Ryu, Byoung-Jae;Son, Byeong-Kook;Lee, Young-Joo;Lee, Ho-You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504-506
    • /
    • 2007
  • 동해 울릉분지에서 채취된 피스톤 코어 시료의 퇴적상과 유기물 특성을 대비하였다. 코어 시료의 퇴적상은 크게 홀로세 생물교란된 뻘 퇴적상과 빙하기의 다양한(생물교란된, 엽리가 발달된) 뻘 퇴적상으로 구분되었다. 코어 시료의 유기물 특성은 총유기탄소함량과 퇴적물 밝기($L^{\ast}$), 석영 함량, 오팔A 함량을 대비하여 밝혔다. 총유기탄소함량은 퇴적물 밝기와 높은 상관계수를 가진다. 코어 시료의 석영 함량은 총유기탄소함량과 퇴적시기에 따른 상관관계의 차이를 보이는데, 이것은 퇴적기작 차이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오팔 A와 총유기탄소함량의 상관관계는 퇴적장소에 따라 차이를 갖는다. 동해 울릉분지 코어 시료는 총유기탄소함량과 퇴적물 밝기가 높은 상관계수를 갖는데, 이것은 초기속성작용의 영향이 크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것이다. 후기 홀로세에서는 총유기탄소함량이 거의 일정한 구간에서도 오팔A 함량이 큰 차이가 나타나는데, 이것은 퇴적장소에 따라 고해양 생산력의 차이가 있었음을 지시하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