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근

Search Result 131, Processing Time 0.05 seconds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of Yackwa added with Ethanol Extract from Ulmus davidiana (저장기간 동안 유근피 에탄올 추출물 첨가 약과의 품질특성)

  • Sim, Ki Hyeon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28 no.3
    • /
    • pp.446-457
    • /
    • 2015
  • 최근 식품에 첨가하는 합성 항산화제가 생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암을 유발시키는 등의 안정성에 문제가 되는 것으로 보고되면서 천연 식물자원으로부터의 항산화 물질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느릅나무의 껍질인 유근피는 항산화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서, 천연 항산화제로 유근피 에탄올 추출물을 0, 0.05, 0.1, 0.2%로 약과에 첨가하여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천연 항산화제인 L-ascorbic acid를 0.02%로 첨가한 약과와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과 지질산패 정도를 비교하였다. 유근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산패취와 경도는 감소하였고, 반면에 수분활성도, 팽화도, 관능평가 등은 증가하였다. 특히 유근피를 첨가함에 따라 약과의 명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약과의 메일라드 반응에 의한 갈색물질인 멜라노이딘류의 생성 때문으로 추정된다. 또한 약과의 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경도, 색도, 산패취 등이 증가하였고, 반면에 수분활성도와 팽화도, 색, 맛,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 등의 관능적 특성은 감소하였다. 유근피가 약과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산가와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여 실험한 결과, 유근피를 첨가한 약과는 첨가하지 않은 약과에 비해서 지질산화가 적게 일어나, 약과의 저장성을 증가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인 특성을 비롯한 품질특성과 지질산패 정도를 평가한 결과, 유근피 추출물을 0.1% 첨가한 약과가 가장 좋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Effects of Aqueous Extracts from Naturalized and Korean Wild Plants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Zoysiagrass (자생식물과 귀화식물의 수용 추출액이 Zoysiagrass의 발아와 유근생장에 미치는 영향)

  • 김용옥;장남기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12 no.3
    • /
    • pp.237-248
    • /
    • 1998
  • The soil pH favored by Korean wild plants is 5.33~7.20, while naturalized invader species prefer soils of pH 3.95~6.48. The germination rate of Zoysia japonica was inhibited sharply, up to 60%, in extracts of naturalized plants of concentrations over 50%. Erigeron canadensis extract most strongly inhibited germination, while the Korean wild species, Cassia mimosoides var. nomame increased germination rates in concentrations of 30% and 50%. The seedling growth of Zoysia japonica in extracts of Korean wild species and naturalized species did not show differences, but was inhibited strongly, up to 60%, in the extract of Cassia mimosoides var. nomame concentration of over 15%. Analysis of the extract from Cassia mimosoides var. nomame identified procatechuic acid, $\rho$-hydroquinone, $\rho$-coumaric acid and ferulic acid at 254nm; and vanillic acid, hydroquinone, benzoic acid and cinnamic acid were discovered at 284nm. The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Zoysia japonica were investigated under different concentrations of phenolic compounds. Ferulic acid and vanillic acid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germination rate, while $\rho$-coumaric acid appeared to inhibit seedling growth.

  • PDF

Carbohydrate Metabolism During Germination of Ginkgo (Ginkgo biloba L.) Seed (은행나무 종자의 발아에서 탄수화물 대사)

  • 김명란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v.35 no.4
    • /
    • pp.333-338
    • /
    • 1992
  • Ginkgo (Ginkgo biloba L.) seed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level of soluble sugars and insoluble starch during germination. Also the activities of the hydrolytic enzymes such as amylase, invertase and phosphatase were compared. As amylase activity was sharply increased, significant decline of starch was observed in the female gametophyte and increase of soluble sugars occurred concurrently. Invertase activity was gradually increased in cotyledon and radicle, while it was very low in dry seeds. In addition, phosphatase activity was variable only in radicle, and acid phosphatase showed higher activity than alkaline phosphatase.hatase.

  • PDF

Effect of Cinnamly Derivatives on Crop Growth Inhibition of Brassica campestris. (신나밀계 화합물이 배추의 종자발아와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

  • Kim, Jin Hyo;Choi, Geun-Hyoung;Park, Byung-Jun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18 no.4
    • /
    • pp.439-442
    • /
    • 2014
  • Cinnamyl derivatives are abundant secondary metabolite in biomass, and they have been studied on their biological activities. However, little information was available for plant growth regulation of the cinnamyl derivatives. In here, the acid, amide, alcohol, aldehyde and ester of cinnamyl derivatives were screened for their root growth inhibition properties including germination. The aldehyde, amide and ester derivatives showed better the root growth inhibition than the carboxylic acid, and the meta-positioned electron withdrawing group on cinnamyl derivatives enhanced the inhibition activity. 3-Chlorocinnamic acid, cinnamaimde and 4-methoxycinnamaldehyde were highlighted with the early stage root development inhibition ($GR_{50}$ < 100 mg/L) on Brassica campestris.

Effects of Ulmus davidiana Planch(Ulmaceae) herbal acupuncture solution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bone cells (유근피 약침액이 인체의 골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 Lee, Eon-do;Kim, Kap-sung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1 no.4
    • /
    • pp.237-249
    • /
    • 2004
  • 유근피는 혈액청정작용과 혈액순환에 영향을 주는 성분으로서 골 손상의 처방전으로 자주 사용된다. 현재까지 유근피가 골재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약리학적으로 불확실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유근피를 약침액으로 제조하여 유근피 약침액이 골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에서 연구하였다. 방법으로 인체의 골아전구세포osteoprecursor cells (OPC-1)를 각각의 다른 유근피 농도를 함유한 매체내에서 부화시키고 그에 따른 세포증식을 연구하였으며, 유근피 약침액의 농도가 $100{\mu}g/ml$ 미만이었을 때 OPC-1의 증식량은 증가되었다. 그러나 농도가 $180{\mu}g/ml$을 초과하였을 때는 약물의 독성에 의해서 OPC-1의 증식량이 확연히 억제되었다. 대부분의 처치에서 세포들이 cyclooxygenase-2 (Cox 2) 단백질에 대해서 매우 명백한 발현을 보여줬다. 배양과정 중에 유근피 약침액 농도 최소치인 $1.0{\mu}g/ml$에서 최대치인 $500{\mu}g/ml$까지 경미하게 강화된 띠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실험의 결과로 볼 때 유근피 약침액은 골세포의 증식활동, alkaline phosphatse(ALP) 활동 및 total protein 분비의 증가와 골세포내에서의 농도의존적 약침액 투여량에 따른 OPC-1의 독특한 type I collagen 합성에 직접적인 억제작용을 주는 것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추후 이와 유사한 실험을 통한 보다 발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되었다.

  • PDF

Effects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on Seed Germination and Rhizome Development of Campanula takesimana Nakai (중금속 농도가 섬초롱꽃 종자 발아 및 유근 발달에 미치는 영향)

  • Kim, Tae Hyun;Kim, Do Hyun;Im, Hyeon Jeong;Choi, Kyu Seung;Kim, Sang Geun;Song, Chi Hyeon;Oh, Beom Seok;Kim, Yang Su;Song, Ki Seon;Won, Chang 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39-39
    • /
    • 2019
  • 섬초롱꽃은 울릉군에 한정적으로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산림청에서는 약관심종(LC) 등급의 희귀식물이자 특산식물로 분류하고 있으며, 꽃의 관상가치가 특히 높아 화단용 소재, 절화용, 화분재배 등으로 흔히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섬초롱꽃의 대량증식 시, 중금속이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중금속은 카드뮴(Cd), 철(Fe) 두 종류이며, 두 종류 모두 1% 한천(agar)배지에 10, 25, 50, 100, 200 mg/L 농도로 녹여 사용하였다. 발아율 및 유근 생장을 위해 종자 및 유묘를 치상 후, $25^{\circ}C$ 항온 생장상에서 발아율 및 유근 발달을 관찰하였다. 발아율 측정결과, 아무처리도하지 않은 1% 한천(agar) 배지에서 $62.7{\pm}7.4%$로 가장 높았고 중금속 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였다. 카드뮴(Cd) 처리구에서는 10, 25, 50, 100, 200 mg/L 농도에서 각각 $17.3{\pm}1.3$, $2.7{\pm}1.3$, $1.3{\pm}1.3$, 0, 0%로 나타났다. 한편, 철(Fe) 처리구에서는 10, 25, 50, 100, 200 mg/L 농도에서 각각 $46.7{\pm}4.8$, $24.0{\pm}2.3$, $36.0{\pm}6.9$, $20.0{\pm}2.3$, 0%로 나타났다. 유근의 평균 생장 길이(mm)는 아무처리도 하지 않은 1% 한천(agar) 배지에서 19.6 mm로 가장 높았고, 중금속 농도가 높아질수록 낮게 나타났다. 카드뮴(Cd) 처리구에서는 10, 25, 50, 100, 200 mg/L 농도에서 각각 4.6 mm, 1.9 mm, 0.7 mm, 0.9 mm, 0 mm 생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철(Fe) 처리구에서는 10, 25, 50, 100, 200 mg/L 농도에서 각각 15.9 mm, 8.6 mm, 8.1 mm, 0.9 mm, 0 mm 생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섬초롱꽃 종자 발아 및 유근 생장의 억제는 카드뮴(Cd)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고, 철(Fe) 처리구에서는 비교적 영향을 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카드뮴은 10 mg/L 농도만 처리하더라도 약 3.6~4.2배의 발아율 생장율 감소가 나타나, 섬초롱꽃 대량증식 시, 치명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험의 결과는 섬초롱꽃 종자를 이용한 대량증식 및 유묘재배에 있어, 토양을 선택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ffects of Ulmus davidiana Planch(Ulmaceae) on mineralization, bone morphogenetic protein-2, alkaline phosphatase, type I collagen and collagennase-1 in bone cells (유근피가 골세포의 mineralization, bone morphogenetic protein-2, alkaline phosphatase, type I collagen 및 collagennase-1에 미치는 영향)

  • Byun, You-seok;Yoon, Jong-hwa;Hwang, Min-seob;Kim, Kap-sung;Jo, Hyun-seog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2 no.3
    • /
    • pp.13-22
    • /
    • 2005
  • By extracting the sample of Ulmus davidiana Planch(Ulmaceae), which was known to have the protection of damaged organ and the anti-inflammation action, it was experimented whether it is available for the application of treatment of osteoporosis. In the previous experiment, the extracts from Ulmus davidiana Planch(Ulmaceae) were confirmed to inhibit Cathepsin K through treating the cell of long bone, which contains osteoclast. Through this, it is suggested that Ulmus davidiana Planch(Ulmaceae) can play a role of prodrug as an inhibitor of absorbing bone ash in the treatment of osteoporosis. In the present experiment, a research in vitro Ulmus davidiana Planch(Ulmaceae) on the growth and sensibilization of osteoblast in a state that induced osteosis by using the cell tissue of MC3T3-El pre-osteoblastic was conducted. As a result, it could be confirmed that Ulmus davidiana Planch(Ulmaceae) has the strengthening function by enhancing the dosage and the activity of ALP depending on the time. The dosage was observed at the minimum of $50{\mu}g/m{\ell}$ and the maximum of $150{\mu}g/m{\ell}$. The enhancement in bone morphogenetic protein-2 at $100{\mu}g/m{\ell}$ UD could be observed, and it also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ALP mRNA within the cell of MC3T3-El. At $60{\mu}g/m{\ell}$ UD which indicated a little increase in Type I collagen mRNA for a long time of culture. However, it was shown to sharply inhibit the expression of gene in the culture between 15-20 days. These results suggest that Ulmus davidiana Planch(Ulmaceae) has an influence upon bone metabolism through thje sensibilization of osteoblast. Therefore, it could be known that utilized Ulmus davidiana Planch(Ulmaceae) can be positively applied for the general disease of bone metabolism through future stud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