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윈남성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중국 윈남성 소수민족 복식의 장신구 특성 - 바이족(白族), 좡족(壮族), 다이족(傣族), 장족(藏族), 하니족(哈尼族)을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fashion accessories of minorities in Yunnan, China - focused on Bai, Zhuang, Hani, Dai, and the Zang nationality -)

  • 조선맹;윤정아;이연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9-124
    • /
    • 2018
  • This study focused on the accessory of clothes of minority groups in Yunnan province to further the research about specific accessories' development in the future. Among the minorities in Yunnan, this study centralized characteristics of ornaments, hats and belts among five minority groups such as the Bai, Zhuang, Hani, Dai, and the Zang as representatives to study in detail because these five ethnicities have a relatively long history and plentiful inform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xaggeration means large gorgeous patterns that attract attention. Generally, there are many natural resources that can be used in places where these minority groups live such as gems, gold, silver shells and animals' horns, bone, teeth and the like. Headdress includes combs, loops, hairpins and other similar articles. Second, nature is a very fundamental part that people rely on for existence and development. The production and living that people need in life all depend on nature. The design of accessories is made from animal forms and patterns of clothes are presented through embroidery and wax printing. Designers always tried to add natural elements to their works. Third, symbolism consists of two aspects: One is the people's imagination, which related to actual materials, and the other is the product of imagination that provides better conditions to inspire people when they design. In China, most minority groups believe in Buddhism. The symbols in the clothing show their devout faith. Even the method of wear has many special implications like the use of accessories and length of clothing. The pattern of dragons and use of golden, red and other colors all have a proper symbolic significance in modern designs.

비훈련 성인남여의 무산소성 운동능력 차이 (Gender differences of anaerobic capabilities in untrained adults)

  • 정진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463-46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윈게이트 검사로부터 측정된 무산소성 운동능력(Anaerobic Capacity, AC)과 임계파워검사로부터 측정된 무산소성 작업능력(Anaerobic Work Capacity, AWC)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두 가지의 무산소성 능력에서 나타나는 남녀간의 성별 차이를 조사하는데 있었다. 성인 남여 23명을 대상으로 모나크 자전거 에르고미터를 이용하여 두가지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각각의 무산소성 검사에서 AC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AWC에서는 남녀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AC와 AWC(J/kg)사이의 상관관계는 여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r=0.61, p<0.05), 남성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r=-0.32, p>0.05). 최대 유산소 능력과 체중을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분석 결과에 의하면 두 변인이 AC의 남녀간의 차이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AWC의 남녀간의 차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무산소 운동검사로 평가되는 남녀간의 성별 차이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비골이식을 받은 하악골절제술 환자에서 스캔중첩법을 이용한 기능적 고정성 보철물 제작: 증례 보고 (Fabrication of functionally customized fixed prosthesis in a hemimandibulectomy patient with fibular graft using double scan technique: A case report)

  • 타우 타우 윈;이두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95-201
    • /
    • 2022
  • 편평세포암으로 하악골 절제술과 비골 피판 이식을 받은 경우 하악의 기능적 움직임이 저해될 수 있다. 하악골이 절제된 측은 근육부착의 소실로 인해 근기능이 약화되어 중심교합 및 편심교합에서 불안정한 교합접촉을 초래한다. 본 증례는 하악골절제술과 비골이식 재건술을 받은 63세 남성에서 전치부의 상실된 치아를 수복하기 위해 고정성 보철물이 필요했던 경우이다. 중심 및 편심교합에서 교합력의 크기에 따라 교합접촉 양상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Functionally generated path 기법과 디지털 영상기술을 적용하여 환자의 하악운동과 조화되고 적절한 수직고경이 있는 기능적으로 최적화된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