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 평가 및 관리

Search Result 96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eismic Fragility Analysis of Rahmen-type Continuous Bridge Supported by High Piers (고교각으로 지지된 라멘형 연속교의 지진취약도 분석)

  • Kang, Pan-Seung;Hong, Ki-Nam;Yeon, Yeong-M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3 no.5
    • /
    • pp.84-95
    • /
    • 2019
  • This paper reports the process of seismic fragility analysis for the rahman-type continuous bridge system. The target structure was the five span highway bridge with maximum pier hight of 72m. OpenSees software was used for the nonlinear time history analysis. In this study, 50 ground motions are considered for nonlinear time history analysis. For each ground motion, PGA was scaled from 0.1g to 2.0g with intervals of 0.1g in order to consider a wide range of the seismic intensity measure. In addition, yield displacement and ultimate displacement of each pier were calculated through section analysis. Based on the result of non linear time history analysis and section analysis, damage condition of target bridg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damage condition proposed by Barbat et al. As a result, it was predicted that Extensive Damage occurred at P1 when 0.731 g earthquake occur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ased on the seismic fragility analysis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Extensive Damage in the 4,800 - year period earthquake was about 4.2%. Therefore the target bridge has enough safety for earthquake.

Evaluation and Experimental Production of Single-Phase Full-wave Rectification Type for X-ray Equipment of High Precision (고정밀도의 단상전파정류형 X선 장치의 제작 및 평가)

  • Han, Dong-Kyoon;Jung, Jae-Eun;Choi, Jun-Gu;Seoun, Youl-Hun;Ko, Shin-G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1
    • /
    • pp.413-419
    • /
    • 2011
  • Diagnosis X-ray equipment localized at 1950's but it is developed suddenly at 1960's with demand together. Manufacture of Diagnostic X-ray equipment is controled by the KS regulation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because of hazardous element etc. exposure by radiation. Most of diagnostic X-ray equipment ware single phase and three phase full-wave rectification but from 1980's it transforms it was exchanged in inverter type X-ray equipment. Inverter type X-ray equipment produces approximately 50~80% more average photon intensity then single phase full-wave rectification and the accuracy is high. But from a clinic it dose not use because expensive therefor the efficiency improvement of single phase full-wave rectification is necessary. We produced single phase full-wave rectification X-ray equipment control unit, high tension transformer, filament heating transformer, rectification circuit, high tension cable and others and evaluated efficiency, in result which is excellent compare with Rule of Safety Management and KS regulation.

Evaluation of Waterway Dredging Work using Spud Control System (스퍼드제어시스템을 이용한 항로준설작업의 평가)

  • Lee, Joong-Woo;Jeong, Dae-Deuk;Cho, Jueng-Eon;Oh, Dong-Hoon;Keum, D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v.29 no.1
    • /
    • pp.263-271
    • /
    • 2005
  • The most important point when we engage on waterway dredging work is supplying safe navigational passage to the vessels underway by narrowing dredge work area and removing submerged dangers. In order to meet this end it is neccessary to use auxiliary equipment for shifting actively and mooring and adopt automation of dredging work by integrating information on real time position, dredging depth, and work information. The danger with a spud control system in this study, by the way, is able to employed on continuous dredging work with the narrowest working area allowing wide and safe passages to vessels underway, by moving the dredger to the working zone with the spud controlled automatically. Furthermore, it has been improved definitely compared with the existing dredging proccess management system such that it shows the track of spud and working depth on the electronic navigation chart of window, together with the final outcome of dredging work. The test dredging work at the entrance of Busan North Port for system evaluation showed that actual working time available was twice of the one by the existing anchor system, and that it reduced 38% of time for preparation work and one man power.

  • PDF

Automatic Parameter Estimation of Hydrogeologic Field Test around Underground Storage Caverns by using Nonlinear Regression Model (비선형 회귀모형을 이용한 지하저장공동 주변 현장수리지질시험 매개변수의 자동 추정)

  • Chung, Il-Moon;Cho, Won-Cheol;Kim, Nam-Wo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8 no.4
    • /
    • pp.359-369
    • /
    • 2008
  • For the design and effective management of underground storage caverns, preliminary investigation on the hydrogeologic parameters around caverns and analysis on the groundwater flow must be carried out. The data collection is very imporatnat task for the hydrogeologic design so various hydraulic tests have been performed. When analyzing the injection/fall off test data, existing graphical method to estimate the parameters in Theis' equation is widely used. However this method has some sources of error when estimating parameters by means of human faults. Therefore the method of estimating parameters by means of statistical methods such as regression type is evaluated as a useful tool. In this study,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for the Theis' equation is suggested and applied to the estimation of parameters for the real field interference data around underground storage caverns. Damping parameter which reduce the iteration numbers and inhance the convergence is also introduced.

Comparison of Drought Index of Agricultural Reservoir by Period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량 자료 기간별 가뭄지수 비교)

  • KIM, Sun Joo;BARK, Min Woo;KANG, Seung mook;KWON, Hyung J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91-391
    • /
    • 2018
  • 가뭄은 일반적으로 강수량의 부족에 기인하며, 수자원의 이용 및 관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자연재해이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우리나라의 연 평균 강수량은 각각 1,162mm, 1,173mm, 948mm로 평년대비 89.0%, 89.8%, 72.1%의 적은 강수를 보였다. 이는 마른장마, 평년보다 적게 발생한 태풍 등의 영향 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강수의 부족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에 가뭄의 대처방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고, 가뭄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가뭄은 크게 수문학적, 기상학적, 농업적 가뭄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기준에 따라 다양한 변수들을 이용한 지표들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가뭄 지표는 가뭄을 평가하고 대비하기 위한 의사결정에 유용한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농업적 가뭄은 강우부족, 실제와 잠재증발산량의 차이, 토양수분 부족, 저수지 또는 지하수위의 저하 등 농작물의 생육과 수확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특성들을 고려하여 평가해야 하며, 이러한 특성들을 고려한 가뭄 지수로는 저수지 가뭄지수(RDI), 토양수분지수(SMI), 통합농업가뭄지수(IADI) 등이 개발되었다. 저수지 가뭄지수는 가뭄발생의 위험과 크기를 순별 가용저수량의 빈도를 이용하여 나타낸 가뭄 지표이다. 따라서 가뭄 지표를 산정하는데 사용된 자료의 기간에 따라 그 값의 차이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 10개년, 20개년, 30개년 기간의 백산저수지 농업지구 저수량 자료를 사용하여 2011년부터 2015년까지의 저수지 가뭄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각각 비교하였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개년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산정한 가뭄지수는 2012년 ~ 2015년에 가뭄을 나타내고 있었고 특히, 2015년 6월 상순과 중순의 가뭄지수가 -4.1으로 가장 심한 가뭄을 나타내었다. 1996년부터 2015년까지 20개년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산정한 가뭄지수는 2012 ~ 2015년에 가뭄을 나타내며 2015년 6월 상순과 중순의 가뭄지수는 각각 -0.9, -1.0으로 10개년의 기간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완화된 모습을 보였다. 1986년부터 2015년까지 30개년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산정한 가뭄지수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가뭄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2015년 6월 상순과 중순의 경우 각각 -1.7, -1.0으로 20개년 자료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심한 가뭄을 나타내지만, 10개년 자료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완화된 가뭄을 나타내었다. 백산저수지의 경우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가뭄이 발생하였으나, 용수공급이 불가능 할 정도의 가뭄이 발생하지는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30개년 자료를 사용한 가뭄지수가 이와 가장 근사한 가뭄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 PDF

Comparison of Reservoir Drought Index According to the Period of Reservoir Storage Data on Agricultural Reservoir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량 자료 기간별 가뭄지수 비교)

  • Kim, Sun Joo;Kwon, Hyung Joong;Bark, Min Woo;Kang, Seung M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37-337
    • /
    • 2017
  • 가뭄은 일반적으로 강수량의 부족에 기인하며, 수자원의 이용 및 관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자연재해이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우리나라의 연 평균 강수량은 각각 1,162mm, 1,173mm, 948mm로 평년대비 89.0%, 89.8%, 72.1%의 적은 강수를 보였다. 이는 마른장마, 평년보다 적게 발생한 태풍 등의 영향 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강수의 부족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에 가뭄의 대처방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고, 가뭄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가뭄은 크게 수문학적, 기상학적, 농업적 가뭄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기준에 따라 다양한 변수들을 이용한 지표들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가뭄 지표는 가뭄을 평가하고 대비하기 위한 의사결정에 유용한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농업적 가뭄은 강우부족, 실제와 잠재증발산량의 차이, 토양수분 부족, 저수지 또는 지하수위의 저하 등 농작물의 생육과 수확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특성들을 고려하여 평가해야 하며, 이러한 특성들을 고려한 가뭄 지수로는 저수지 가뭄지수(RDI), 토양수분지수(SMI), 통합농업가뭄지수(IADI) 등이 개발되었다. 저수지 가뭄지수는 가뭄발생의 위험과 크기를 순별 가용저수량의 빈도를 이용하여 나타낸 가뭄 지표이다. 따라서 가뭄 지표를 산정하는데 사용된 자료의 기간에 따라 그 값의 차이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 10개년, 20개년, 30개년 기간의 백산저수지 농업지구 저수량 자료를 사용하여 2011년부터 2015년까지의 저수지 가뭄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각각 비교하였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개년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산정한 가뭄지수는 2012년 ~ 2015년에 가뭄을 나타내고 있었고 특히, 2015년 6월 상순과 중순의 가뭄지수가 -4.1으로 가장 심한 가뭄을 나타내었다. 1996년부터 2015년까지 20개년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산정한 가뭄지수는 2012 ~ 2015년에 가뭄을 나타내며 2015년 6월 상순과 중순의 가뭄지수는 각각 -0.9, -1.0으로 10개년의 기간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완화된 모습을 보였다. 1986년부터 2015년까지 30개년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산정한 가뭄지수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가뭄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2015년 6월 상순과 중순의 경우 각각 -1.7, -1.0으로 20개년 자료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심한 가뭄을 나타내지만, 10개년 자료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완화된 가뭄을 나타내었다. 백산저수지의 경우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가뭄이 발생하였으나, 용수공급이 불가능 할 정도의 가뭄이 발생하지는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30개년 자료를 사용한 가뭄지수가 이와 가장 근사한 가뭄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저수량자료의 기간이 크면 빈도값의 신뢰성이 높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저수지 가뭄지수의 경우 저수량 자료가 누적될수록 좀 더 정확한 가뭄상황을 표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Development of Facility Web Program for Small and Medium-Sized PSM Workplaces (중·소규모 공정안전관리 사업장의 웹 전산시스템 개발)

  • Kim, Young Suk;Park, Dal Jae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60 no.3
    • /
    • pp.334-346
    • /
    • 2022
  • There is a lack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Process Safety Management (PSM) system, recognized as a major cause of industrial accidents in small-and medium-sized workplaces. Henc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rotocol to secure the practical and continuous levels of implementation for PSM and eliminate human errors through tracking management. However, insufficien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i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various violations in the administrative measures, based on the regulation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 approximately 200 small-and medium-sized PSM workplaces with fewer than 300 employees across in korea. This study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major industrial accidents by developing a facility maintenance web program that removed human errors in small-and medium-sized workplaces. The major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accessed the web via a QR code on a smart device to check the equipment's specification search function, cause of failure, and photos for the convenience of accessing the program, which made it possible to make requests for the it inspection and maintenance in real time. Second, it linked the identification of the targets to be changed, risk assessment, worker training, and pre-operation inspection with the program, which allowed the administrator to track all the procedures from start to finish. Third, it made it possible to predict the life of the equipment and verify its reliability based on the data accumulated through the registration of the pictures for improvements, repairs, time required, cost, etc. after the work was completed. It is suggested that these research results will be helpful in the practical and systematic operation of small-and medium-sized PSM workplaces. In addition, it can be utilized in a useful manner for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a facility maintenance web program when establishing future smart factories in small-and medium-sized PSM workplaces under the direction of the government.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for Community Living Elderly in a Rural Area (일부 농촌지역 거주 노인들에 대한 포괄적 노인평가)

  • Rhee, Jung-Ae;Shin, Hee-Young;Chung, Eun-Kyung;Shin, Jun-Ho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7 no.1
    • /
    • pp.21-31
    • /
    • 200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and conduct the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 The subjects were 388 older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living in the community. Data for comprehensive assessment such as physical, mental, functional, soci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February, 2001 through a person-to-person interview. Of the total 388 olders, 169(43.6%) were men and 219(56.4%) were women. Mean ages of men and women were $73.5{\pm}6.4$ and $74.0{\pm}6.2$ years respectively. Three common diseases of the elderly were arthralgia(51.6%), chronic back pain(33.2%) and hypertension(18.6%), and higher in women than in men. Impairment rate of vision, hearing and bowel or bladder control was 59.0%, 20.1%, and 28.4% respectively. But that of lover extremities 3.4%. In terms of cognitive function, short term memory loss was found in 33.7% of males and 44.7% of females. The percentage of fully independent in the six ADL items was 72.2% in men and 58.9% in women. In the social supportive system, 49.5% of the elderly were living with spouse, and 22.9% living alone, 26.3% having care giver. These results will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health program, which gives appropriate health service for the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 PDF

신선농산물 생산에서의 농약오염과 농약폭로-흡수 -일본을 중심으로-

  • 최진옥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0.04a
    • /
    • pp.14-15
    • /
    • 2000
  • 현재의 농업에서 농약의 사용은 불가결한 것이다. DDT의 등장으로 농약만능시대의 막이 열린 이래 세계에서 10만종 이사의 농약이 탄생했다. 현재 전세계의 생산량은 매년 1천만 톤을 넘어섰고 일본의 경우 등록되어 있는 농약수는 원체(화합물종류)로서 367종, 상품명으로서는 약 5800 종류가 판매되고 있다. 년간 일본의 농약생산량은 약 60만 톤으로 농약의 수출량과 수입량이 거의 같기 때문에 생산량이 사용량에 상당하는 것으로 본다. 농약의 식품오염의 측면에서 보면, 단위 면적당 세계 제 1위의 농약 사용국인 일본은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농작물에도 상당한 양의 농약이 잔류하는 것으로 본다. 물론 식품위생법에 26종의 농약에 대해 53작물을 대상으로 하는 잔류농약기준이 있지만, 농약성분이 400종 이상이며 산포 대상이 되는 작물은 53작물보다 훨씬 많다. 또한 한 두 종류의 작물밖에 대상이 되지 않는 농약도 많아서 잔류농약기준은 식품의 안전성 확보면에서는 부족한 것이 많아. 따라서 농산물 생산자 스스로가 농약사용기준을 정확하게 지켜주기를 바랄 뿐이다. 한편으로는, 이러한 현실에 비추어서 농약사용이 일상화된 농업자에게 있어 농약으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 또한 적지 않다. 농업자의 건강관리 대책의 일환으로 실시하는 건강진단 및 조사에 따르면, 만성적인 질환뿐만 아니라 농약산포작업후에 나타나는 증세(기침, 피부이상, 불쾌감, 두통, 인후염, 구토)를 경험한 작업자는 예방의학적인 견지에서 농업자의 농약폭로실태파악 및 교육을 해오고 있으나 그다지 설득력을 얻지 못하여 보다 확실한 인체내 흡수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생각하게 되었다. 즉 뇨중 농약 대사물을 폭로지표로 하는 생물학적 모니터링(biological monitoring)을 시도, 농업현장에 있어서의 그 실증과 유용성에 대한 검토를 하고자 하였다. 농작업 가운데서 가장 위험하다고 보는 농약산포작업 (수동식 분무기를 이용한 하우스작물 및 동력분무기를 사용한 노지작물)을 대상으로 생물학적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업자의 뇨로부터 농약의 체내흡수를 반영하는 농략의 뇨 분비성 대사물을 측정할 수 있었다. 즉 뇨나 혈액등의 생체시료를 이용한 생물학적모니터링의 농약에의 응용은 서구와는 달리 대부분이 규제가 없는 소규모 자가영농으로 정해진 농약사용지침보다 많은 농약을 사용한다거나, 또는 개인의 습관이나 작업환경에 따라 폭로조건이 달라서 실질적인 폭로-흡수의 정도가 불분명한 경우등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어 농약사용자 개개인의 농약 폭로-흡수의 정도를 분명하게 밝힐 수 있다. 게다가 평가의 결과를 농약사용의 일선에 있는 농업자에게 피드백 하여 주므로서 농약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농약취급시의 건강장해예방행동을 촉구하는 등의 효과도 높은 것으로 예방의학적인 유용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 PDF

Stage Structure and Population Persistence of Cypripedium japonicum Thunb., a Rare and Endangered Plants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인 광릉요강꽃의 개체군 구조 및 지속성)

  • Lee, Dong-hyoung;Kim, So-dam;Kim, Hwi-min;Moon, Ae-Ra;Kim, Sang-Yong;Park, Byung-Bae;Son, Sung-w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5 no.5
    • /
    • pp.548-557
    • /
    • 2021
  • Cypripedium japonicum Thunb. is an endemic plant in East Asia, distributed only in Korea, China, and Japan. At the global level, the IUCN Red List evaluates it as "Endangered Species (EN)," and at the national level in Korea, it is evaluated as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C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e structure and the sustainability of the population based on the data obtained by demographic monitoring conducted for seven years in the natural habitat. C. japonicum habitats were observed in 7 regions of Korea (Pochoen, Gapyeong, Hwacheon, Chuncheon, Yeongdong, Muju, Gwangyang), and 4,356 individuals in 15 subpopulations were identified. The population size and structure differed from region to region, and artificial management had a very important effect on the size and structural change of the population. Population viability analysis (PVA) based on changes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C. japonicum showed a very diverse tendency by region. And the probability of population extinction in the next 100 years was 0.00% for Pocheon, 10.90% for Gwangyang, 24.05% for Chuncheon, and 79.50% for Hwacheon. Since the above monitored study sites were located within the conservation shelters, which restricted access by humans, unauthorized collection of C. japonicum, the biggest threat to the species, was not reflected in the individual viability. So, the risk of extinction in Korea is expect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estimated in this stud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flect population information in several regions that may represent various threats to determine the extinction risk of the C. japonicum population objectively. In the future, we should expand the demographic monitoring of the C. japonicum population known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