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 평가

Search Result 5,251,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Development of Drought Risk Map : Case Study For Gyengsang-do (가뭄위험지도 개발 :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 Park, Jong Yong;Yoo, Ji Young;Choi, Minha;Kim, Tae-Woo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46-46
    • /
    • 2011
  • 가뭄은 인간이 극복하기 힘든 자연재해로 사회, 경제, 환경등에 막대한 피해를 가져온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속적인 가뭄 모니터링이 필요한데, 현재 가뭄의 모니터링은 대부분 기상학적 인자를 고려한 가뭄지수의 심도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뭄모니터링 방법을 좀 더 현실적으로 개선시키고자 가뭄심도를 근거로 가뭄발생 빈도와 가뭄발생 시 취약인자의 선정을 통해 가뭄위험평가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가뭄의 위험정도를 정량화하고 가뭄발생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피해 요소들을 정량화하여 가뭄재해지수(Drought Hazard Index)와 가뭄취약성지수(Drought vulnerability Index)를 산정하고, 두 지수의 결합으로 가뭄위험지수(Drought Risk Index)를 산정하였다. 가뭄재해지수는 가뭄지수 EDI를 바탕으로 가뭄심도에 따른 발생확률을 근거로 산정하였으며, 가뭄취약성지수는 가뭄 발생 시 취약한 인자를 선정하여 이를 지수화 하였다. 가뭄위험평가의 적용을 위해 2001년의 경상도 지역의 가뭄을 평가하였다. 가뭄위험지수를 바탕으로 경상도 지역의 가뭄의 위험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가뭄위험지도를 작성한 결과 경상북도 지역이 경상남도 지역보다 가뭄발생빈도와 취약정도가 컸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경상도 내륙지방을 중심으로 가뭄의 위험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Risk Evaluation for Chemical Transportation Tank Lorry of Chemical Plant (석유화학 사업장에서 운송 화학물질 위험관리)

  • Kim, Jeong-gon;Byun, Hun-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cietal Security
    • /
    • v.1 no.1
    • /
    • pp.53-62
    • /
    • 2008
  • Recently, the potential risks of tank lorry transportation from the petrochemical plant have been increasing, so the research was performed to build up the evaluation criterion of the transportation safety, as well as aggressive risk+assessment of a variety of chemical materials. This research was applied to the Maximum Credible Accident Analysis technique and modeled on the risk management of chemical transportation using the following four steps for risk evaluation, firstly the comparison of representative fype and standard of hand ling chemical materials transported by tank vehicles secondly, specific classification of potential hazards thirdly, grasp and recognition of virtual accident scenario at last, the risk evaluation of virtual accident scenario(qualitative/quantitative - chemical release modeling).

  • PDF

Flood Risk and Vulnerability Analysis by Climate Change in an Urban Stream : A Case Study of the Woo-yi Stream Basin (도시하천의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위험 및 취약성 분석: 우이천유역을 중심으로)

  • Yoon, Sun-Kwon;Moon, Young-Il;Kim, Gui-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81-981
    • /
    • 2012
  • 최근 지구환경 변화에 따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자연재해의 형태는 점차 대형화, 다양화되고 있으며 극치사상의 발생 빈도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도시하천의 경우 인구와 재산이 밀집해 있어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위험 및 취약성이 클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 변화에 따른 홍수위험 및 취약성 분석을 위하여 위험도 기반 불확실성을 다루는 수단으로 UQR-MCS (Upper Quartile Range-Monte Carlo Simulation)을 적용하였으며, 다양한 형태의 확률 분포로부터 특정변량(variable)의 확률분포 Quartile을 모의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하천의 홍수위험 및 취약성 평가를 위하여 도시하천에 적합한 홍수위험 및 취약성평가 지수(FVI: flood vulnerability index)를 산정하였으며, 홍수취약성지수는 기후변화(Climate change)와 도시화(Urbanization), 제방월류위험(Overtopping risk) 및 홍수범람 면적(Flood area) 등의 지표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지표는 엔트로피(Entropy) 기법을 적용하여 가중치를 부여하였으며, 표준화과정을 통한 일반화된 지표 값을 산정하였다. 우이천 유역의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위험 및 취약성 지표값은 KMA RCM A1B 시나리오자료를 바탕으로 추정한 미래 확률강수량과 각 인자별 재현기간에 따른 수문변량의 변화를 통하여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도시하천의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위험도분석 및 취약성 평가, 극치 수문사상에 대한 신뢰성 있는 분석과 더불어 예상치 못할 이상홍수에 대비한 하천방재 연구에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Risk Assessment by Delivery Robot Driving Section (배달로봇 주행 구간별 위험성평가 연구)

  • Lee, Jong-Kuk;Jeon, Jin-Woo;Kim, Hae-Do;Park, Kyo-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71-272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대학 캠퍼스 내 배달로봇 사용 시 환경적 특성에 의한 유해위험요인을 사전에 발굴하고 로봇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단계별로 추정·판단하여 위험을 감소에 대한 필요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캠퍼스 내 주행 구간별 유해위험요인을 파악 및 단계별 위험성 추정을 위하여 배달로봇을 사용하기 전 위험성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는 위험성평가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배달로봇 시장의 확대로 인한 사람과의 접촉 증가에 비하여 안전대책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며, 로봇의 기술적 진보와 사용자들의 정서적 수준에 뒤처지지 않는 적절한 안전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 PDF

선박의 Risk Assessment (위험성 평가) 시행에 대한 실무지침 연구 개발

  • O, Hui-Seok;Park, J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441-442
    • /
    • 2013
  • ISM Code 1.2.2.2항 개정안 발효됨에 따라 선박에서 실질적으로 위험성평가 (Risk Assessment) 시행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해운업계 및 선원들은 관련 지식 및 경험 부족으로 시행에 여러움을 겪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선상에서 효과적인 이행을 위해 표준 위험성평가 지침을 개발하였다.

  • PDF

Risk Assessment for Disaster Reduction in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소규모 건축현장 재해감소를 위한 위험성평가 방안)

  • Choi, Hyun-Ju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8 no.2
    • /
    • pp.395-404
    • /
    • 2022
  • Purpose: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have insufficient systematic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site, the production structure is complex due to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risk of construction equipment is very high. We would like to propose a checklist method among practical risk assessment techniques that can derive risk factors for disaster prevention at small construction sites and reduce disasters. Method: Risk factors were derived by analyzing literature research and disaster cases, and detailed work for a checklist of risk assessment suitable for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was classified based on risk factor items. Result: Hazard factors were divided into 6 major categories, and 29 detailed types of work were classified based on actual work types, and 80 detailed works were classified accordingly. Conclusion: By arranging risk factors suitable for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the lack of expertise in the construction site can be supplemented, and risk factors can be derived more easily and disaster reduction can be expected through establishment of safety measures.

A Development for Enterprise Risk Evaluator (기업의 위험도 평가기 개발)

  • Cho, Soohyung;Kim, Dae-Hwan;Yang, Ji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447-449
    • /
    • 2017
  • 기업의 위험평가는 대부분 컨설팅을 통해 진행되고 있는데 소기업일수도록 비용문제로 위기진단 컨설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규모 기업들도 스스로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 개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용자로부터 기업유형과 위험요인을 입력받고 이를 바탕으로 관리지표들을 산출하며 최종적으로 평가 대상업체와 협력업체를 구분하여 위험도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관리 지표들을 세밀하게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으므로 기업들은 취약한 부분이 어떠한 항목인지 쉽게 파악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AIS data 분석을 통한 해상교통환경평가에 관한 연구

  • Hwang, Su-Jin;Kim, Eun-Gyeong;Im, Nam-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67-68
    • /
    • 2016
  • 해상교통환경평가는 선박 간 항행상황의 위험도를 정량화하여 나타냄으로써 선박의 안전운항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해상교통환경평가모델로는 ES(Environmental Stress model)와 CR(Collision Risk)모델이 있다. 이러한 모델을 살펴보면, 각각의 평가지수를 이용하여 항행상황의 위험도를 정량화하며, 선박 간 조우관계를 기반으로 평가요소를 구성함을 알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선박 간 조우관계를 포함한 항행상황의 위험도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평가지수의 타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AIS data를 이용하여 해상교통환경을 재현하고 분석하였으며, 동일한 항행상황을 ES, CR과 제안한 모델을 이용하여 위험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비교하여 제시함으로써 본 모델이 해상교통환경모델로서 항만 내 통항 안전성 평가에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PDF

요통재해의 위험요인분석모형의 개발

  • 이남식;신찬수;김호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209-214
    • /
    • 1997
  • 본 논문은 인력운반작업(Manual Materials Handling)과 관련된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안전한 작업을 설계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운수유통업을 중심으로 현장에서의 인력운반 작업에 대한 실증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기존에 알려진 인력운반의 위험요인 이외에 작업자들의 행동적인 위험요인이나 그밖에 그간 고려되지 못하였던 실질적인 위험인자들을 밝혀내고자 하였으며 최근에 들어 인력운반에 있어 새로운 위험평가 기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LMM(Lumbar Motion Monitor)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electrogoniometric system을 구성하여 새로운 방범으로 인력운반의 위험성을 평가 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odel by BIM-based Risk Factor Extraction - Focusing on Falling Accidents - (BIM 기반 위험요소 도출을 통한 정량적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 - 떨어짐 사고를 중심으로 -)

  • Go, Huijea;Hyun, Jihun;Lee, Juhee;Ahn, Joseph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3 no.4
    • /
    • pp.15-25
    • /
    • 2022
  • As the incidence and mortality of serious disast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re the highest, various efforts are being made in Korea to reduce them. Among them, risk assessment is used as data for disaster reduction measures and evaluation of risk factors at the construction stage. However, the existing risk assessment involves the subjectivity of the performer and is vulnerable to the domestic construction site. This study established a DB classification system for risk assessment with the aim of early identification and pre-removal of risks by quantitatively deriving risk factors using BIM in the risk assessment field and presents a methodology for risk assessment using BIM. Through this, prior removal of risks increases the safety of construction workers and reduces additional costs in the field of safety management. In addition, since it can be applied to new construction methods, it improves the understanding of project participants and becomes a tool for communication. This study proposes a framework for deriving quantitative risks based on BIM, and will be used as a base technology in the field of risk assessment using BIM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