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 식별

Search Result 36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for Encrypted Video (암호화된 동영상 비식별화율의 정량적 분석 방법)

  • Deok-Han Kim;Young-Gab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193-195
    • /
    • 2023
  • 최근 다양한 동영상 미디어 콘텐츠가 늘어나면서 민감한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성 또한 높아졌다. 이에 따라 다양한 동영상 비식별화 기법이 연구되었고, 그중에서 동영상 암호화 기술은 별도로 원본 동영상을 보관하지 않아도 복호화를 통해 원본 동영상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계속해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많은 동영상 암호화 연구에서는 암호화된 동영상의 비식별성을 입증하기 위해 기존의 이미지 암호화 연구에서 사용되던 평가 지표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표들은 암호화된 동영상의 비식별성을 입증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암호화된 동영상이 전체 구간에서 비식별화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지표들을 가중 합산하여 동영상의 모든 프레임에 대해 측정하고 이를 그래프로 표현하여 분석한다. 이 방법을 통해 암호화된 동영상에서 비식별화가 정상적으로 적용되지 않은 부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자율운항선박의 화재 사고 시나리오 위험도 모델 개발

  • 이동준;나성;김선진;정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222-224
    • /
    • 2023
  • 자율운항선박의 해상 운용은 인간의 개입 최소화 등 새로운 운용 방식의 적용과 첨단 디지털기술의 적용으로 기존 선박의 운용과 다른 형태의 다양한 새로운 위험요소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위험을 분석하기 위한 적절한 위험도평가 방법론의 적용이 요구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선박과 달리 인간의 개입이 최소화된 상태로 운용되는 자율운항선박의 화재 사고 위험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한 실시간 위험도 모델의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자율운항선박 화재 위험도 모델 개발을 위하여, 먼저 자율운항선박의 화재 감지 및 제어, 비상대응 기능들을 분석하고, 기능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화재 감지 및 제어 시스템들에 대한 Fault Tree Analysis를 수행하였다. 자율운항선박의 화재 시나리오 표현을 위하여 기관구역 화재와 화물구역 화재로 분류하여 Event Tree Analysis를 수행하였다. 또한, 자율운항선박 운용 외부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변수들을 식별하여 각 변수들의 변화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자율운항선박 화재 위험도 변화량을 검토하였다.

  • PDF

Danger Situations Alert System based U-Healthcare (유헬스케어 기반의 위험상황 알림 시스템)

  • Park, Byungdon;Yu, Donggyun;Jung, Hoeky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1
    • /
    • pp.193-198
    • /
    • 2017
  • Recently, as interest in health increases, various wearable devices such as smart watch and smart band which can measur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re being studied. Conventional wearable devices service the measured biometric information in a form that provides simple monitoring, disease prevention, and exercise amount. However, the user is Lack to deal with the dangerous situ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hazard notification system to address these problems.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heart rate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through the Arduino in real time. It identifies the risk situation through sensor priority measurement and risk situation identification algorithm. If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a notification message is sent to the guardian indica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herefore, it can be expected that if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to a user who needs protection, he can respond promptly.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ollision Prevention System for Aids to Navigation by Early Identification of the Tug Boat (예인선 조기 식별을 통한 항로표지시설 추돌 방지 시스템 개발 연구)

  • Han, Ju-Seop;Yu, Yong-Su;Park, Tae-Keun;Kim, Hwa-You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3 no.6
    • /
    • pp.437-443
    • /
    • 2019
  • Aid to navigation is a navigational aid facility that informs a sailing vessel of its location and direction as well as a location of a specific obstacle by means of a light, shape, color, sound, radio wave, etc. It can be valuable in improving the safety of day and night vessel navigation at sea. For the safety of the tug boat, the minimum equipment requirements for each type of tug boat are arranged. Despite these preparations, the collision accidents between tug boats, barges, and light buoys can occur when the tug boat turns due to the length of the tow-line, tidal current, and the barge's momentum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basic system that analyzes the physical relationship between two vessels regarding the tug boat-barge-light buoy dynamics and propagate the corresponding data through the aid to navigation management & operation systems in use at each regional oceans and fisheries.

De-identifying Unstructured Medical Text and Attribute-based Utility Measurement (의료 비정형 텍스트 비식별화 및 속성기반 유용도 측정 기법)

  • Ro, Gun;Chun, Jonghoo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4 no.1
    • /
    • pp.121-137
    • /
    • 2019
  • De-identification is a method by which the remaining information can not be referred to a specific individual by removing the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data set. As a result, de-identification can lower the exposure risk of personal information tha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processing, storing and distributing information.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in de-identification algorithms, protection models, and etc., most of them are limited to structured data, and there are relatively few considerations on de-identification of unstructured data. Especially, in the medical field where the unstructured text is frequently used, many people simply remove all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in order to lower the exposure risk of personal information, while admitting the fact that the data utility is lowered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a new method to perform de-identification by applying the k-anonymity protection model targeting unstructured text in the medical field in which de-identification is mandatory because privacy protection issues are more critical in comparison to other fields. Also,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utility metric so that people can comprehend de-identified data set utility intuitively. Therefore, if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pplied to various industrial fields where unstructured text is used, we expect that we can increase the utility of the unstructured text which contains personal information.

A Case Study for Process Improvement of a Small-Scale Project Risk Management (프로젝트 리스크관리의 프로세스 개선사례)

  • Park, Jong-Mo;Si, Jung-Hee;Lee, Sa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b
    • /
    • pp.94-97
    • /
    • 2011
  •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서는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위험을 관리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관리 프로세스 개선을 위해 위험관리 국제모델과 SP모델의 위험관리 프로세스를 참고하여 프로세스 관점에서의 프로젝트 위험관리 대응방안을 제시한다. 실제 프로젝트에서의 위험관리 사례를 살펴보고 주요 위험으로 제시된 범위 및 이해관계자 측면에서의 위험식별, 분석, 대응전략 및 대응방안 실행을 통해 위험도가 줄어들 수 있음을 보인다.

Conditional Foreign Exchange Risk Premium in Korean Stock Market (한국주식시장에서 조건부 환위험프리미엄)

  • Yu, Il-Seo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9 no.1
    • /
    • pp.107-131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본시장의 개방이 광범위하게 진전된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기간을 대상표본으로 하여 한국주식시장에서 달러환위험에 대한 노출과 그 가격화 여부를 실증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투자자들이 국내 주식시장 및 채권시장의 동향에 추가하여 미국신장의 움직임을 중요한 조건부 정보에 포함시켜 투자의사결정을 한다고 전제하고, 이에 상응하는 조건부 다중 베타위험 가격결정모형을 검정하였다. GMM추정의 초과식별조건을 이용하여 국내시장위험과 달러환위험 두 위험 요인을 포함한 가격결정모형의 모형설정오류를 검정한 결과 가격결정모형이 실제 주식수익률 자료와 배치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건부 달러환을 베타위험과 조건부 달러환위험 프리미엄은 모형에서 사전적으로 설정한 정보대용변수인 상수항과 한 시점 앞의 다우존스 주가지수 수익률, 국내시장 주가수익률 및 회사채 유통수익률에 의하여 설명이 이루어질 수 있고, 둘 다 시간가변적임이 결정되었다. 주식가격결정에 참여하고 있는 두 요인, 국내시장위험요인과 달러환위험요인의 상대적 중요성을 개략적으로 검정한 결과, 모든 포트폴리오에 걸쳐 국내시장위험요인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달러환위험요인도 무시할 수 없는 중요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identification Techniques for Big Data and Issues (빅데이타 비식별화 기술과 이슈)

  • Woo, S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05a
    • /
    • pp.750-753
    • /
    • 2017
  • Recently, the processing and utilization of big data, which is generated by the spread of smartphone, SNS, and the internet of things, is emerging as a new growth engine of ICT field. However, in order to utilize such big data, De-identific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done. De-identification removes identifying information from a data set so that individual data cannot be linked with specific individuals. De-identification can reduce the privacy risk associated with collecting, processing, archiving, distributing or publishing information, thus it attempts to balance the contradictory goals of using and sharing personal information while protecting privacy. De-identified information has also been re-identified and has been controversial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but the number of instances wher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big data is de-identified and processed is increasing. In addition, many de-identification guidelines have been introduced and a method for de-identific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has been propos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scribe the big data de-identification process and follow-up management, and then compare and analyze de-identification methods. Finally we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ssues and solutions.

  • PDF

Evaluation on Risk at the Port of Mokpo and its Approaches based on Relative Importance of Risk Factors for Marine Traffic Environment (해상교통환경 위험요소의 상대적 중요도를 고려한 목포항 및 진입수로의 위험도 평가)

  • Lee, Hong-Hoon;Kim, Chol-S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9 no.4
    • /
    • pp.375-381
    • /
    • 2013
  • To assess the risk of marine traffic environments, with high confidential level, the risk factors comprising it should be identified and the risk acceptance criteria should be also provided. Furthermore,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risk factor(the weight of each risk factor on total risk) should be analyzed because the risk is expressed as the sum of risk factors comprising it. The twenty kinds of risk factors and its assessment criteria were suggested for the domestic marine traffic environments by an examination of the existing risk assessment models on the previous studi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risk factor was also analyzed through the questionnaire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by the marine traffic experts on the same studies. Based on these previous studies, the risk was evaluated at the port of Mokpo and its approaches on this study. The port of Mokpo and its approaches were divided into four sectors for the comparative evaluation,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evaluation on four sectors showed that the risk of the Jeongdeung-hae passage is the highest due to higher risk level of some risk factors(water movements, complexities, tug boats, pilotage, VTS) than the other sectors. The result of this evaluation is in accord with the analysis results of the other studies using various qualitative or quantitative risk analysis methods at the same sea areas.

Relative Advantage and Risk of Information Systems Outsourcing : An Empirical Assessment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의 상대적 이점과 위험 : 경험적 연구)

  • 이민화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1997.10a
    • /
    • pp.527-546
    • /
    • 1997
  • 정보시스템 기능의 아웃소싱이 정보시스템 효율과 효과성을 개선하기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 고려됨에 따라서 소싱설정의 결정요인을 식별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금융 산업에 있어서 자료처리 서비스에 대한 소싱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아웃 소싱이 관리적 혁신으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연구를 기초로 하여 혁신특성으로 서 상대적 이점과 위험을 소실설정의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제시한다. 미국의 1,000개의 은 행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상대적 이점과 위험이 정보시스템 아웃소싱 및 아웃소싱 선호 도와 유의적인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