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평가기준

Search Result 94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the results of Technical Risk Analysis based IDS Assessment Methodology (기술적 위험분석 결과를 활용한 IDS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 Shim, Mi-Na;Cho, Sang-Hyun;Lim, Jong-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945-948
    • /
    • 2005
  • 현재 침입탐지시스템(IDS:Intrusion Detection System)은 다양한 평가요소들 - 탐지율, 오탐율, 새로운 공격탐지능력, 안정성 등을 기준으로 평가되고 있고, 이러한 결과는 제품의 보호수준을 결정하거나 한 조직의 정보보호장치로 적합한지를 평가하는 벤치마킹테스트의 방법으로 활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의 결과는 조직의 침입탐지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환경하에서 각각의 침입탐지시스템이 갖는 특성에 따라 상대적인 평가는 가능하나 해당 조직의 네트워크 인프라와 위협요소, 취약점을 고려했을 때 보다 최적의 것이 무엇인지를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조직의 정보보호 위험분석에서 도출된 해당 네트워크 환경의 자산, 위협, 취약성의 결과인 위험과 위험수준을 IDS 평가에 반영하여 조직의 환경하에 보다 적합한 침입탐지시스템 선정이 가능한 평가방법을 제안한다.

  • PDF

Risk Assessment of Urban Patrol Robots Using CPTED (CPTED를 활용한 도시순찰로봇 위험성평가)

  • Kim, Hae-Do;Jeon, Jin-Woo;Lee, Jong-Kuk;Park, Kyo-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73-274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순찰로봇이 도시 환경을 주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CPTED 및 문헌 연구를 통해 순찰 경로를 선정하였으며, 발생 가능한 위험 요소에 대한 위험성평가를 실시하였다. 로봇과 함께 도보를 사용하는 시민은 로봇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하며, 위험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또한 도시환경의 경우 돌발적 상황 및 환경관리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현재 순찰로봇 안전평가를 하기 위하여 순찰로봇과 관련된 기업들은 ISO 13482 국제표준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개인 서비스 로봇의 안전 관련 국제 표준이며 순찰로봇의 특징과 주행환경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기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순찰로봇이 주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과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여, 순찰로봇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초기연구 목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Improvement of performance criteria for fire door (방화문의 성능기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Jeon, Jun-Pyo;Jeon, Soo-Min;Cho, Nam-Wook;In, Ki-Ho;Rie, D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3-6
    • /
    • 2010
  • 현재 국내 건축물은 화재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규모 및 용도에 따라 방화구획을 설치하여 화재시 피해를 최소화 하고자 건축법에서 성능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방화구획으로 사용되는 제품 및 구조는 평가기준이 미흡하여 일정시간 이상의 방화구획을 형성할 수 있으나 복사열로 인한 화재확산에 대한 위험성은 평가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방화문의 비차열 성능기준에 포함되지 않은 복사열에 대하여 방화문의 구조 및 재료별 복사열을 측정하고 복사열에 의한 위험성과 성능기준 추가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Ship Collision Risk Assessment and Sensitivity Analysis for Sea-crossing Bridges (해상교량에 대한 선박충돌 위험도 평가 및 민감도 분석)

  • Bae, Yong Gwi;Lee, Seong L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5
    • /
    • pp.1753-1763
    • /
    • 2013
  • In the design phase of sea-crossing bridge projects, ship collision problem is mostly participated in decision of substructure section and it would be performed by risk assessment and impact simulations. Ship collision risk is assessed by probability model which is similar to method II of Guide Specification and Commentary for Vessel Collision Design of Highway Bridge(AASHTO, 2009). However, several factors used in the applicable code are limited to inland waterways or have many local characteristics. Accordingly, it should be needed judgement of engineer or referred to related criteria, research finding. In this study risk assessment for In-cheon bridge and review of existing substructure's impact risk and resistance capacity are performed using the 2010's ship passage data. And then consideration regarding to presumption and applied instance of factors needed for risk assessment and related research findings are performed on the basis of AASHTO Guide's Method. As a result of study, adequate variable region of factors needed for risk assessment is defined and sensitivity analysis for appropriate region is performed. Consequently, factors that should be applied carefully or needed for direct analysis of local data are confirmed. This research could be fundamental material to risk assessment related to design for sea-crossing bridge taken into account ship collision.

Flame Spread Calculation in BRANZFIRE Model (화염확산알고리즘을 기반한 화재위험성 평가상수 도출)

  • Park, Kye-Won;Jeong, Jae-Gun;Kim, Woon-Hyung;Kim, J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11a
    • /
    • pp.79-80
    • /
    • 2013
  • 내장재의 화재위험성은 착화성, 난연성, 표면의 화염확산 및 방출열량, 방출 연기량 둥 다양한 기준으로 기술될 수 있으며 나라마다 시험방법과 기준이 상이함, 본 연구에서는 화염확산성의 관점에서 내장재의 화재위험성을 가름할 지표도출을 고찰하였음.

  • PDF

Study on Establishment Criteria of Dam Emergency Action Plan (댐 비상대처계획(EAP) 수립기준 연구)

  • Park, Ki-Chan;Choi, Kyu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57-257
    • /
    • 2017
  • 본 연구는 기상이변의 영향으로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댐 저수지 붕괴에 대한 원인 분석과 기존의 관련 연구 및 지침 등을 비교 분석하여 현재 실무에서 적용되고 있는 댐 저수지 비상대처계획(EAP) 수립 대상 기준에서 제외되는 시설물의 붕괴 가능성 평가를 통해 EAP 수립 대상의 적정 범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의 붕괴 가능성에 대한 정량적 판단 기준을 각 요인별로 제시하고, EAP 수립 대상에서 제외되는 댐 저수지를 대상으로 붕괴 가능요인을 적용하여 3개 이하의 붕괴요인에 해당될 경우 저위험군, 4개 및 5개의 붕괴요인에 해당될 경우 중위험군과 고위험군으로 각각 분류하여 시설물 붕괴 위험성 정도에 따른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댐 저수지 붕괴 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된 붕괴 가능성의 주요 요인으로는 저수용량, 제체 높이, 준공 경과연수, 우심피해 및 지진피해 잠재지역이 포함되며, 각 요인별 객관적인 판단기준은 댐 저수용량의 경우 EAP 법적 수립기준 및 과거 붕괴사례 등의 분석을 토대로 붕괴사례 61개소 중에서 약 88%를 차지하는 저수용량 10만톤을 선정하였으며, 댐 높이의 경우 댐의 파괴양상(이종태, 1987)에서 제시한 댐 붕괴부 특성과 미국주댐안전협회(ASDSO: American Society of Dam Safety Official) 학술지인 Dam Safety(2006) 등에서 제안한 기준을 기존의 댐?저수지 붕괴사례에 적용하여 댐 붕괴폭과 댐 높이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댐 높이 8m 이상을 적정 범위로 고려하였다. 준공 경과연수의 경우에는 국민안전처 "재해위험저수지 댐 관리 지침" 타당성 평가기준인 '시설노후도' 기준과 한국시설안전공단 사회간접자본 노후화 기준에 해당하는 경과연수 기준을 토대로 30년 이상을 기준으로 선정하였으며, 우심피해 및 지진피해 잠재지역은 국민안전처 재해연보(2014)를 기준으로 과거 10년 동안의 우심피해 발생 지역과 기상청 국내 지진 규모 10위권 내에 포함되는 지역을 고려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시설물 붕괴 가능성에 대한 판단기준을 국민안전처에서 고시한 EAP 수립 대상에서 제외되는 지자체 재해위험저수지 354개소에 적용해 본 결과, 저위험군 16개소, 중위험군 5개소, 고위험군 2개소로 각각 조사되었다. 저위험군은 전문 시설물 관리자에 의한 주기적인 시설물 점검 및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중 고위험군에 속하는 시설물의 경우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설물 하류지역의 실질적인 인명 및 경제적 피해 가능성에 대한 보다 면밀한 조사를 통해 EAP 수립 대상 포함여부를 결정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f Optimal Operation Policy using Risk Evaluation Criteria(II) (for the Han River Reservoirs System) (위험도 평가기준을 적용한 저수지 최적운영방안 연구(II) (한강수계 저수지군을 중심으로))

  • Park, Myeong-Gi;Kim, Jae-Han;Jeong, Gwan-S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1
    • /
    • pp.51-64
    • /
    • 2002
  • In this study, the formulation of the developed mixed-integer programming model for a multi-reservoir system including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park et al., 2001) has been improved for multiple reservoir system operation using risk evaluation criteria. Sequential linear programming(SLP) was applied for the linearization of the hydro-electric energy term in the model. In order to allocate monthly reservoir release reasonably the value of weight for hydro-electric energy was assigned by level of power generation hour. The improved model was applied to the five reservoirs system in the Han river. And could be confirmed the availibility of new formulation appling risk evaluation criteria.

Risk Assessment of Marine LPG Engine Using Fuzzy Multicriteria HAZOP Technique (퍼지 다기준 HAZOP 기법을 이용한 해상용 LPG 엔진의 위험성 평가)

  • Siljung Ye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9 no.2
    • /
    • pp.238-247
    • /
    • 2023
  • Liquefied petroleum gas (LPG) is an attractive fuel for ships considering its current technology and economic viability. However, safety guidelines for LPG-fueled ships are still under development, and there have been no cases of applying LPG propulsion systems to small and medium-sized ship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n objective risk assessment for the first marine LPG engine system and propose safe operational standards. First, hazard and operability (HAZOP) analysis was used to divide the engine system into five nodes, and 58 hazards were identified. To compensate for the subjectivity of qualitative evaluation using HAZOP analysis, fuzzy set theory was used, and additional risk factors, such as detectability and sensitivity, were included to compare the relative weights of the risk factors using a fuzzy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s a result, among the five risk factors, those with a major impact on risk were determined to be the frequency and severity. Finally, the fuzzy technique for order of prefere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 (TOPSIS) was applied to select the risk rank more precisely by considering the weights of the risk factors. The risk level was divided into 47 groups, and the major hazar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ngine system was found through the analysis to be gas leakage during maintenance of the LPG supply line. The technique proposed can be applied to various facilities, such as LPG supply systems, and can be utilized as a standard procedure for risk assessment in developing safety standards for LPG-powered ships.

대학평가의 제문제

  • Gu, Byeong-Rim
    • 대학교육
    • /
    • s.84
    • /
    • pp.106-114
    • /
    • 1996
  • 대학을 평가하여 그 사회적 신뢰나 책무성을 강화시키면서도 기관의 통합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해야 할 평가제도는 그 긍정적 측면이나 성과와 함께 많은 위험이나 부작용도 수반하므로 어떤 사업보다도 신중하고 차원 높은 접근이 전제된다. 대학평가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려면 다음과 같은 전제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즉, 대학평가의 주체는 바로 대학사회 자신이며 대교협의 평가가 합법적 공신력을 갖고, 대학의 다양성을 존중하여 평가기준이나 척도를 마련해야 하며, 물량적 측면보다 질이 강조되어야 하고, 평가과정의 합리화와 피평가대학의 적극적.자발적 참여가 수반되어야 하며, 대학 서열화는 어떠한 경우에도 금기시해야 하고, 평가결과를 재정지원의 기준으로 삼는 차원낮은 활용을 삼가해야 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Detailed Risk Information based on Risk Zoning for Preventing Urban Flooding (도시침수 예방대책 마련을 위한 상세 위험도 주제도 개발)

  • Kim, Mi-Eun;Kim, Seul-Ye;Lee, Sa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23-123
    • /
    • 2017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개발밀도가 높은 도시지역은 호우로 인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극한 호우에 의해 발생되는 도시침수의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시설물 대책에만 의존하기 보다는 지자체가 수립하는 공간계획을 통해 토지이용, 건축물 등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예방전략 마련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지자체 도시계획 담당자가 기후변화를 고려해 방재대책을 마련하는데는 국가 차원의 표준화된 방법론의 부재, 침수해석을 위한 전문적 지식이 요구되는 등의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가 도시계획에 실효성 있는 방재대책을 마련하는데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시침수에 대한 상세 위험도 주제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중장기적인 측면에서 기후변화의 영향과 도시지역의 유출 특성을 고려해 방재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강우 시나리오 기준으로 지속시간 1시간에 대한 재현빈도 30년과 100년을 제시하였다.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한 강우 시나리오 기준에 따라 도시지역 내 내수 외수의 침수발생 원인을 고려해 침수심 지도를 생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침수해석 모형인 HEC-RAS와 SWMM을 선정하고, 공간적 제약이 없이 폭 넓게 적용할 수 있도록 모형의 구축 절차를 간소화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간소화된 침수해석 모형 결과를 토대로 강우 시나리오별 침수심 지도를 제작하고, 강우 시나리오와 침수심을 기준으로 위험정도에 따라 Red zone, Orange zone, Yellow zone, Green zone으로 영향권을 설정하였다. 실질적으로 각 영향권에 적합한 도시계획 차원에서의 방재대책 수립이 가능하도록 노출특성과 취약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노출특성은 영향권에 노출된 토지이용면적(m2)과 거주인구수(명)로 평가하고 취약성은 영향권 내 취약한 건축물 수(지하 또는 노후 건축물), 보호대상시설물 수로 평가하였다. 침수 발생이 예상되는 영향권별 노출특성과 취약성 분석 결과를 토대로 위험이 높은 지역(Red zone)은 공간규모를 축소해 상세 위험도 공간정보 주제도를 개발하였다. 또한 위험도가 높은 지역은 작은 공간 단위로 노출특성과 취약성을 분석해 상세 위험도 주제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상세 위험도 공간정보는 지자체가 도시계획 수립단계에서 실질적인 방재대책을 강구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