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원인

Search Result 1,40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안전관리 - 용접공사의 화재.폭발 등 안전사고 예방대책(2)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67
    • /
    • pp.65-71
    • /
    • 2012
  • 지난 8월 13일 서울 종로구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공사현장에서 화재 발생으로 4명이 숨지고 18명이 중경상을 입는 등 많은 인명피해를 냈다. 이처럼 인명피해가 컸던 것은 우레탄 공사를 하던 밀폐공간에서 불이 나면서 발생한 유독가스 때문에 사람들이 제대로 대피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사고발생 원인으로 '용접공사' 여부를 놓고 공방을 벌였으나 경찰은 '전기합선'이라는 잠정 결론을 내렸다. 지난 2008년 1월에 발생한 경기도 이천 냉동창고 화재는 40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화재 원인은 냉동배관을 설치하면서 전기 용접을 하기 위해 불을 붙였다가 공기 중에 차 있던 유증기(기름증기)와 만나면서 폭발이 일어난 것이었다. 인화성 액체(유기용제)를 취급하는 건설현장에서는 다량의 유증기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한 조건일 경우 정전기에 의한 화재 폭발 누출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다. 기계설비공사에서 화재, 폭발 위험성이 가장 큰 공사는 용접공사이기에 용접공사를 할 때 화재, 감전의 위험성을 배제한 후 공사에 들어간다. 용접으로 인한 사망사고의 유형으로는 용접 중 추락사고와 더불어 용접 불꽃이 가연성 물질에 옮겨 붙어 화재 발생으로 인한 질식사, 용접작업 중 절연체가 파손된 용접기 홀더 충전부의 접촉으로 인한 감전사 등이 있다. 본지는 용접으로 인한 화재 감전 등의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안전작업 수칙 및 안전수칙 체크리스트, 재해사례를 지난호부터 시리즈로 연재하고 있다.

  • PDF

심혈관질환의 예방 및 영양관리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26 no.12 s.289
    • /
    • pp.6-13
    • /
    • 2002
  • 뇌졸중, 심근경색 등의 심혈관질환은 암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주요 사망원인이다. 2002년 통계청이 발표한 2001년 사망원인통계를 보면 인구 10만명 당 암이 123.5명으로 1위, 뇌졸중 등 뇌혈관 질환이 73.8명으로 2위, 심장질환(허혈성 심장질환과 기타 심장질환 포함)이 34.2명으로 3위였다. 이러한 심혈관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 뇌혈관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인자들을 잘 관리할 필요가 있다. 사망률이 높은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은 성별, 연령 등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고정요인과 흡연, 비만 등 본인의 노력에 따라 생활습관을 바꿔 위험을 낮출 수 있는 변동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성별, 연령은 바꿀수 없지만 생활습관은 바꿀 수 있다. 심혈관 질환 예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본적인 건강관리 수칙인 금연, 과음하지 않기, 균형있는 올바른 식생활, 규칙적인 운동, 표준체중 유지하기, 정기검진 등이다.특히 심혈관 질환은 채소류와 식물성 단백질, 식물성 지방 등을 위주로 한 식이요법이 도움을 줄 수 있고 튼튼한 혈관을 가지기 위해서 질 좋은 단백질과 비타민ㆍ무기질을 충분히 섭취해야 하며 콜레스테롤의 배설을 돕기 위해 섬유소가 충분한 식사를 한다. 갑자기 추워진 날씨로 생명을 다투는 뇌졸중이나 협심증, 심근경색 등 심혈관 관련 질병이 발생하기 쉬운 겨울철이다. 행사가 많은 연말에 과음을 삼가며 금연하고, 평소 담백한 한식 위주의 식사, 꾸준한 운동 등으로 건강관리에 힘써서 치명적인 심혈관 질환에 미리미리 대비하도록 한다.

  • PDF

안전관리 - 용접공사 중 화재.폭발 등 안전사고 예방대책(1)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66
    • /
    • pp.49-57
    • /
    • 2012
  • 지난 8월 13일 서울 종로구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공사현장에서 화재 발생으로 4명이 숨지고 18명이 중경상을 입는 등 많은 인명피해를 냈다. 이처럼 인명피해가 컸던 것은 우레탄 공사를 하던 밀폐공간에서 불이 나면서 발생한 유독가스 때문에 사람들이 제대로 대피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사고발생 원인으로 '용접공사' 여부를 놓고 공방을 벌였으나 경찰은 '전기합선'이라는 잠정 결론을 내렸다. 지난 2008년 1월에 발생한 경기도 이천 냉동창고 화재는 40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화재 원인은 냉동배관을 설치하면서 전기 용접을 하기 위해 불을 붙였다가 이것이 공기 중에 차 있던 유증기(기름증기)와 만나면서 폭발이 일어난 것이었다. 올 여름처럼 기온이 높고 건조한 날이 지속되면서 인화성 액체(유기용제)를 취급하는 건설현장에서는 다량의 유증기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한 조건에서 정전기에 의한 화재 폭발 누출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기계설비공사에서 화재, 폭발 위험성이 가장 큰 공사는 용접공사이기에 용접공사를 할 때 화재, 감전의 위험성을 배제한 후 공사에 들어간다. 용접으로 인한 사망사고의 유형으로는 용접 중 추락사고와 더불어 용접 불꽃이 가연성 물질에 옮겨 붙어 화재 발생으로 인한 질식사, 용접작업 중 절연체가 파손된 용접기 홀더 충전부의 접촉으로 인한 감전사 등이 있다. 본지는 용접으로 인한 화재 감전 등의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안전작업 수칙 및 안전수칙 체크리스트, 재해사례를 시리즈로 연재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VDR Performance appling the Navigation Dangerousness Evaluation Technology (항해위험도 평가기술을 이용한 VDR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Kong, Gil-Young;Kim, Young-Du;Jung, Chang-Hyu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4 no.5
    • /
    • pp.319-324
    • /
    • 2010
  • For the purpose of technological analysis in the marine accidents and their prevention, IMO have made it obligatory to load VDR which is similar to the black box in aircraft. However, in case of body sinkage, capsizing, stranding and plunging which are almost 10% of marine accidents, it is difficult to take out the necessary data from the VDR in order to analyze the cause of them. Therefore, this paper apply the navigation dangerousness evaluation technology to the VDR to improve its performance. And we suggest that the vertical acceleration which is one of the factors for evaluating seakeeping performance of a ship is to be added in the existing VDR record data recommended by IMO.

Stability Analysis of Revetments in Meandering Channel using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만곡부 호안의 안정성 분석)

  • Chun, Myeong-Ho;Kim, Hyung-Jun;Yoon, Kw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06-606
    • /
    • 2012
  • 최근 지구 환경변화에 따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이상홍수 발생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상습적으로 홍수피해가 반복되고 있다. 홍수피해의 원인 중 하나인 하천제방의 붕괴는 월류, 침식, 제체불안정, 구조물에 의한 파괴 등으로 구분되고 이 중 월류 및 침식은 제방 파괴의 주된 원인으로 최근 통계자료에 보고되고 있다. 제방붕괴의 주된 원인 중 하나인 침식파괴로부터 제방을 보호하기 위해 제내지 사면에 호안공을 설치하며, 하천설계기준 해설(2009)에서는 제방 또는 하안을 유수에 의한 파괴와 침식으로부터 직접 보호하기 위해 제방 앞비탈에 설치하는 구조물로 정의하고 있다. 특히 사행하천의 만곡부에서는 제방파괴의 위험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국부적으로 집중되는 유속분포는 제방의 안정성을 위협한다. 또한 원심력, 2차류(secondary flow) 등에 의한 수위상승 등에 의해 제방이 파괴되고 월류되어 홍수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큰 취약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만곡부 흐름 특성을 분석하고 수리실험을 통해 측정된 유속 및 수위분포 결과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수리실험에서 도출된 호안 붕괴 시의 흐름을 구현하여 호안 붕괴 시 국부유속 및 전단응력을 계산하고 만곡부 호안의 안정성을 위한 설계인자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제시된 만곡부 안정성을 위한 설계인자는 국외 호안공 설계식과 비교하여 국부유속 및 전단응력의 설계인자의 적합성을 검토하고 국내 만곡부 호안의 안정성 설계기법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설계인자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Coastal Complex Disaster Risk Assessment in Busan Marine City (부산 마린시티 해안의 복합재난 위험성 평가)

  • Hwang, Soon-Mi;Oh, Hyoung-Min;Nam, Soo-yong;Kang, Tae-S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6 no.5
    • /
    • pp.506-513
    • /
    • 2020
  • Due to climate change, there is an increasing risk of complex (hybrid) disasters, comprising rising sea-levels, typhoons, and torrential rains. This study focuses on Marine City, Busan, a new residential city built on a former landfill site in Suyeong Bay, which recently suffered massive flood damage following a combination of typhoons, storm surges, and wave overtopping and run-up. Preparations for similar complex disasters in future will depend on risk impact assessment and prioritization to establish appropriate countermeasures. A framework was first developed for this study, followed by the collection of data on flood prediction and socioeconomic risk factors. Five socioeconomic risk factors were identified: (1) population density, (2) basement accommodation, (3) building density and design, (4) design of sidewalks, and (5) design of roads. For each factor, absolute criteria were determined with which to assess their level of risk, while expert surveys were consulted to weight each factor.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four levels and the risk level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ea-level rise predictions for the year 2100 and a 100-year return period for storm surge and rainfall: Attention 43 %, Caution 24 %, Alert 21 %, and Danger 11 %. Finally, each level, indicated by a different color, was depicted on a complex disaster risk map.

Risk Analysis and Selection of the Main Factors in Fishing Vessel Accidents Through a Risk Matrix (위험도 매트릭스를 이용한 어선의 사고 위험도 분석과 사고 주요 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

  • WON, Yoo-Kyung;KIM, Dong-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5 no.2
    • /
    • pp.139-150
    • /
    • 2019
  • Though, fishing vessel accidents account for 70 % of all maritime accidents in Korean waters, most research has focused on identifying causes and developing mitigation policies in an attempt to reduce this rate. However, predicting and evaluating accident risk needs to be done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such reduction measures. For this reasons, we havve performed a risk analysis to calculate the risk of accidents and propose a risk criteria matrix with 4 quadrants, within one of which forecasted risk is plotted for the relative comparison of risks. For this research, we considered 9 types of fishing vessel accidents as reported by Korea Maritime Safety Tribunal (KMST). Given that no risk evaluation criteria have been established in Korea, we established a two-dimensional frequency-consequence grid consisting of four quadrants into which paired frequency and consequence for each type of accident are presented. With the simple structure of the evaluation model, one can easily verify the effect of frequency and consequence on the resulting risk within each quadrant. Consequently, these risk evaluation results will help a decision maker employ more realistic risk mitigation measures for accident types situated in different quadrants. As an application of the risk evaluation matrix, accident types were further analyzed using accident causes including human error (factor) and appropriate risk reduction options may be established by comparing the relative frequency and consequence of each accident cause.

The study of comprehensive index development for flood risk assessment (홍수 위험도 평가를 위한 종합적 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Daeho;Kim, Young-Oh;Jee, Hee Won;Kang, T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95-395
    • /
    • 2019
  • 대한민국에서 홍수는 매해 여름 발생하는 자연재해로 인명, 재산, 사회 기반시설에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고 있으며,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 사상이 과거와는 다른 형태이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를 고려한 홍수 위험도(flood risk)를 평가를 통해 적절한 대비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전국의 홍수위험도를 중권역 별로 평가하는 홍수위험지수(Flood Risk Index, FRI)를 새로이 개발하였다. FRI는 세 가지 세부 지표인 위협도, 노출도, 대응능력(Hazard, Exposure, Capacity)의 결합으로 산정된다. 위협도는 직접적인 홍수의 원인이 되는 기상학적 요인인 강수에 대한 정보이고, 노출도는 홍수로부터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인명 및 재산에 대한 요소이다. 대응능력은 자연 환경과 인간의 중장기 전략을 고려한 적응능력(adaptive capacity)과 홍수 발생 시 조치능력(coping capacity)으로 나눠져 평가된다. 즉 위협도와 노출도가 높을수록 홍수 위험도가 커지며, 대응능력이 뛰어날수록 홍수 위험도는 줄어든다. 인자들은 특정 유형의 위험도에만 초점이 맞춰지지 않고 다양한 방면을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선정되었으며, 통계 기법을 활용해 FRI를 산정하였다. 크론바흐 알파 계수(Cronbach's ${\alpha}$)를 통해 FRI의 타당성을 진단하였으며, 홍수피해금액간의 스피어만(Spearman) 상관계수를 통해 FRI의 설명력을 검증해 신뢰도를 제고했다. 최종적으로 환경부로부터 제공받은 미래 기후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FRI를 산출해 미래의 세 시점(2030년대, 2050년대, 2080년대)의 전국 홍수위험도 평가를 진행하였다.

  • PDF

A Clinical Study of Hospitalized Infants 28 to 90 Days of Age with Fever without Source (원인 없는 열로 입원한 생후 28일에서 90일 사이 영아들에 대한 임상적 고찰)

  • Rye, Min Hyuk;Noh, Yn Il;Lee, Seong Hun;Lee, Sun Young;Hur, Nam Jin;Lee, Dong Jin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v.8 no.2
    • /
    • pp.191-198
    • /
    • 2001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linical features of hospitalized infants 28~90 days of age with fever without source and to analyze those of young febrile infants using risk criteria for serious bacterial infection. Methods : The clinical features of 131 infants 28~90 days of age admitted to the Ulsan Dong-Kang General Hospital Pediatric Department because of fever(temperature ${\geq}38^{\circ}C$ rectally) without source,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0, were investigated by retrospective chart review. The clinical features of 131 febrile infants were analyzed using Rochester criteria. Results : Among 131 cases, there were 60 cases(45.8%) of urinary tract infection, 33 cases (25.2%) of aseptic meningitis, 2 cases(1.5%) of bacteremia and 36 cases(27.5%) of no specific diagnosis. Among 131 cases, there were 57 cases(43.5%) in low risk group and 74 cases(56.5%) in not low risk one by Rochester criteria.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urinary tract infection, aseptic meningitis and no specific diagnosis was not found between both groups. Male to female ratio was 1.8 : 1. Sex ratio between both group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Most febrile infant were noted in spring(35.1%) and the summer(36.7%). The peak incidence of aseptic meningitis was noted in May and June. The fever subsided mostly within 48~72 hours after administering antimicrobial agents(61.8~83.2%).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uration of fever after administering antimicrobial agents was not found between both groups. Conclusion : A selected group of low risk infants 28~90 days of age with fever without source can be managed as outpatients provided that a thorough initial evaluation is performed, that parents can reliably monitor their infant closely at home and that careful follow up can be assured. Because bag collected specimens were more likely to yield indeterminate urine culture result, a suprapubic or catheter obtained urine specimen for culture is a necessary part of the evaluation of all febrile infants 28~90 days of age. The further prospective study on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young febrile infant should be performed in our hospital.

  • PDF

Development of Risk Assessment Index in Special Management Target Facilities According to the Fire Occurrence Factors (화재발생 요인에 따른 특정관리대상시설등의 위험도 평가 지수의 분석 및 개발)

  • Park, Mi Yun;Park, Jong Bok;Park, Jae Ha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5 no.2
    • /
    • pp.61-70
    • /
    • 2012
  • The range of special management target facilities is seperated by the building sector and the field of civil engineering. In the present study, the risk analysis was performed, related to fire occurred for the last five years, in the field of residential and non-residential facilities in buildings. Most of fire incidents occurred in residential and non-residential facilities was the cause of the electrical, and the resulting casualties were also very high.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the risk evaluation index was developed, identifying the causes of fire occur and doing the fire vulnerability analysis for each faci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safety management to these facilities for the future, especially, inducing a more specialized and intensive safety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