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성 분석

Search Result 5,866,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Study on the Efficiency Improvement of Safety Education - Focused on the Education of Risk Assessment Officer - (안전교육의 효율성 향상에 관한 연구 - 위험성평가 담당자 교육을 중심으로 -)

  • Kim, Jin-E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99-20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위험성평가의 이해를 돕기 위해 민간 기관에서는 위험성평가 담당자 교육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위험성 평가 담당자 교육의 실효성과 그에 따른 개선과 교육의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할 것이다. 윌콕슨 분석을 통해 644개 사업장에 대하여 재해 발생건수(합)을 분석하여 교육의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8년도 기준 16, 17년도와 19, 20년도 간 재해 발생건수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 PDF

A Development of Dam Risk Analysis Model Using Bayesian Network (Bayesian Network를 이용한 댐 위험도 해석 모델 개발)

  • Kwon, Hyun-Han;Lee, J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73-373
    • /
    • 2012
  • 위험도(risk)는 복잡성(complexity)과 불확실성(uncertainty)라는 2가지 주요 특징으로 인해 위험도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대표적인 수공구조물인 댐이 각종 모니터링을 통해서 안전하다고 판단된다 하더라도 하류지역에 도시가 존재한다면 여전히 잔존위험도(residual risk)는 존재한다. 댐의 파괴가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사상은 아니지만 대규모 인명피해, 재산 및 환경피해로 이어지기 때문에 작은 위험도라 할지라도 이에 대한 감시 및 관리가 필수적이다. 댐 위험도 분석을 위해서 Event Tree 또는 Fault Tree가 일반적인 해석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잠재적인 파괴모드에 대한 복잡성과 불확실성을 고려하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Bayesian Network 기반의 위험도 해석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수문학적 위험도와 관련된 분석을 위해서 Bayesian Network의 구성 방안, 매개변수 추정, 위험도 해석 등 기존 해석 방법을 개선한 댐 위험도 해석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며 개발된 방법론을 국내 실제댐에 적용하여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Optimization Methods of Security Risk Analysis and Management (경비위험 분석 및 관리의 최적화 방안에 관한 연구)

  • Lee, Doo-Suck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10
    • /
    • pp.189-213
    • /
    • 2005
  • Risk management should be controlled systematically by effectively evaluating and suggesting countermeasures against the various risks which are followed by the change of the society and environment. These days, enterprise risk management became a new trend in the field. The first step in risk analysis is to recognize the risk factors, that is to verify the vulnerabilities of loss in the security facilities. The second step is to consider the probability of loss in assessing the risk factors. And the third step is to evaluate the criticality of loss. The security manager will determine the assessment grades and then the risk levels of each risk factor,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risk analysis which includes the assessment of vulnerability, the provability of loss and the criticality. It is of great importance to put the result of risk analysis in mathematical statement for a scientific approach to risk management. Using the risk levels gained from the risk analysis, the security manager can develop a comprehensive and supplementary security plan. In planning the risk management measures to prepare against and minimize the loss, insurance is one of the best loss-prevention programs. However, insurance in and of itself is no longer able to meet the security challenges faced by major corporations. The security manager have to consider the cost-effectiveness, to suggest the productive risk management alternatives by using the security files which contains every information about the security matters. Also he/she have to reinforce the company regulations on security and safety, and to execute education repeatedly on security and risk management. Risk management makes the most efficient before-the-loss arrangement for and after-the-loss continuation of a business. So it is very much important to suggest a best cost-effective and realistic alternatives for optimizing risk management above all, and this function should by maintained and developed continuously and repeatedly.

  • PDF

확률론적 지진위험도의 불확실성 영향인자의 단계별 범위 영향 분석

  • 김준경;윤철호;이성규;임창복;김문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d
    • /
    • pp.405-409
    • /
    • 1996
  • 본 연구는 일정 지역의 확률론적 지진위험도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평가와 관련하여 전문가가 제시한 제1차 입력자료를 이용하여 제2차 입력자료를 도출할 때 입력자료의 다단계화를 통하여 각 단계별 구간의 입력자료가 확률론적 지진위험도 불확실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확률론적 지진위험도 분석을 위하여 미국지질조사연구소 (USGS) 및 미국 로렌스리버모어 연구소(LLNL)가 개발한 전산코드를 각각 이용하였고 또한 전문가가 제시한 제 1차 입력자료는 기존 연구보고서에서 주어진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지진활동도 변수 특히 지진규모의 각 단계 및 감쇠특성함수의 진앙거리 단계에 따라서 확률론적 지진위험도의 절대값 및 불확실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부지별로 이러한 분석을 함으로서 확률론적 지진 위험도 곡선에 영향을 미치는 임의 부지에 고유한 임계 지진규모 및 임계 진앙거리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전반적으로 불확실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 PDF

플로팅 건축공사에서 위험성 평가 단계별 고려사항

  • Kim, Yeong-Jung;An, Ho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270-272
    • /
    • 2013
  • 플로팅 건축공사의 새로운 공종이나 고위험 작업에 대한 위험성 평가가 미흡하다. 이에 기존 건설업에서 사용하는 위험성 평가를 사례분석하여 플로팅 건축공사의 특수성에 맞는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 PDF

Risk Assessment and Potentiality Analysis of Soil Loss at the Nakdong River Watershed Using the Land Use Map,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and Landslide Risk Map (토지이용도, RUSLE, 그리고 산사태 위험도를 이용한 낙동강유역의 토양 침식에 대한 위험성 및 잠재성 분석)

  • Ji, Un;Hwang, Man-Ha;Yeo, Woon-Kwang;Lim, Kwang-Suop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6
    • /
    • pp.617-629
    • /
    • 2012
  • The land use map of the Nakdong River watershed was classified by each land use contents and analyzed to rank the risk of soil loss and erosion. Also, the soil loss and erosion was evaluated in the Nakdong River watershed using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and the subbasin with high risk of soil loss was evaluated with the analysis results of land use contents. Finally, the analyzed results were also compared with the landslide risk map, hence the practical application methods using developed and analyzed results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land use analysis and RUSLE calculation, it was represented that the Naesung Stream watershed had the high risk for soil loss among the subbasins of the Nakdong River watershed. It was also presented that the high risk area identified by computation of RUSLE was corresponding to the landslide risk area. However, the high risk of soil erosion by land use near the river or wetland was confirmed only through the calculation results of RUSLE.

Effective Cultural Properties management and Accident Prevention Using GIS (GIS를 활용한 효율적인 문화재관리 및 사고예방)

  • Song, Sang-Hun;Jeong, Jo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307-31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문화재 유형 및 위험요인 분석을 통해 문화재사고 위험성 분석 지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역의 문화재 방재 시스템 구축현황 분석, 체크리스트 평가 모델에 의한 문화재사고위험성평가를 통해 도출된 결과로 문화재 관리에 대한 문제점과 종합적인 대책 및 사고 예방을 위한 개선방안 제시로 사고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alysis of Inherent Risks of Lifetime Improvement Technique Interference in NAND Flash Memory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수명 향상 기법의 상호 적용에 따른 내재된 위험성 분석)

  • Kim, Sungho;Kwak, Jong 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1a
    • /
    • pp.1-4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시스템에서 가비지 컬렉션과 마모도 평준화를 동시에 수행하는 환경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세 가지 내재된 문제점들을 제시한다. 제시한 문제점들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추가적인 수명 연장을 방해 할 뿐만 아니라, 페이지 이주 오버헤드를 초래하는 근본적인 원인이 된다. 이러한 내재된 문제점들의 원인 분석은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첫 번째, 세 가지 내재된 문제점들에 대한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구성한 시나리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제시한다. 두 번째, 각 시나리오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로 인해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수명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위험성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분석한 위험성을 토대로 이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이러한 해결 방안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추가적인 수명 연장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이것은 가비지 컬렉션과 마모도 평준화를 동시에 수행하는 모든 시스템 환경에 적용 가능하므로, 기존 기법들의 장점들을 그대로 활용함과 동시에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추가적인 수명 연장을 기대 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isk Assessment Method in Laboratory (연구실 위험성평가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 Kim, Soo-Tae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8 no.3
    • /
    • pp.444-456
    • /
    • 2022
  • Purpose: Laboratories require Preliminary Risk Analysis of Hazard Factors, but there are many laboratories that do not. For the purpose of securing the safety of the laboratory, it is intended to find improvements so that the Risk Assessment can be easily applied. Method: Research papers and data from the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Survey Report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were used. The study was conducted by comparing Preliminary Risk Analysis of Hazard Factors and Risk Assessment under the Occo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Result: A technique for Risk Assessment of a laboratory was proposed. When Risk Assessment of the laboratory, a method was proposed to estimate the size of the possibility(frequency) and severity(intensity). Conclusion: For easy application in the laboratory, a checklist-type Risk Assessment technique was presented and actual evaluation was conducted. It is expected that the laboratory will improve through Risk Assessment to help prevent safety accidents.

Influence Factors and the Introducing Outcomes over IT Outsourcing in the Government Offices (공공기관의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에 미치는 영향 요인과 도입 성과)

  • Jun, Je-Man;Yi, Seon-Gy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3
    • /
    • pp.339-351
    • /
    • 2013
  •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the influence factors and introducing outcomes empirically. The influencing factors over IT Outsourcing set up organizational factors(maturity of information system, the support of CEO), dealing factors(asset speciality, uncertainty, degree of using of information system), and risk factors(risk of safety/security. cost increase, loss of autonomy).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organizational factors, degree of a maturity of the information system and the support of CEO were analyzed as the variables affecting the introducing outcomes positively. In the dealing factors, however, the degree of using information system was only analyzed as the variables affecting the introducing outcomes positively, while the speciality of asset and the uncertainty factors were analyzed as the variables not affecting the introducing outcomes. In the risk factors, the risk of safety/security and the increase of cost were only analyzed as the variables affecting the introducing outcomes positively, therefore loss of autonomy, was not analyzed as the affecting vari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