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상황 식별

Search Result 7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creaming data analysis for security system with audio capability (오디오 취득 기반의 방범용 시스템을 위한 비명 분석)

  • Lee, So-Min;Byun, Sung-Woo;Li, Shi-Cong;Kim, Kwang-Yong;Chung, Il-Gu;Lee, Seok-P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11a
    • /
    • pp.85-87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환경 잡음에서 사람들의 비명소리를 검출하여, 위험상황을 식별하는 방법용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비명소리의 특징을 분석한다. 비명 소리는 놀랬을 때, 다급할 때, 아플 때, 세 가지 상황으로 나누어 녹음을 진행하였고, 이를 주파수 신호로 바꾸어 분석을 하였다. 비명소리 데이터에서 amplitude 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주파수 대역을 분석하고, 상황 별로 비명소리에 대한 주파수 분포의 차이, 남성과 여성의 주파수 대역과 분포의 차이를 분석한다.

  • PDF

교통사고 방지를 위한 차량간 통신기술

  • 유석대;조기환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3 no.2
    • /
    • pp.79-90
    • /
    • 2006
  • 이동중인 차량간에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정보를 주고받는 서비스를 교통안전 통신이라 한다. 이 서비스는 운전자의 인지 범위를 벗어나는 상황 혹은 자동화 안전장치가 감지하지 못하는 상황을 운전자가 미리 인지하고 식별할 수 있게 해주는 유용한 수단의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차량간 위험과 직접 관련된 정보들을 신뢰성이 있는 상태에서 시기 적절하게 전달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 통신과는 다른 통신 방법론이 필요하다. 본 고에서는 미래의 지능화된 교통환경 구성을 위해서 선진국을 중심으로 새로운 정보통신 응용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는 교통안전 통신의 현황과 기술을 살펴보고, 실용화를 위해서 극복해야 될 사항들을 제시한다.

AIS 데이터를 활용한 선박궤적의 분석

  • Jeong, Jung-Sik;Park, Gye-Gak;Kim, Eun-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38-40
    • /
    • 2012
  • 해상 교통량 증가로 급증하는 선박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안전 운항 관리를 위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최근 SOLAS에서 300톤 이상 급에 대해서는 AIS의 의무 장착이 제정되면서 선박 운항의 안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IS의 정적, 동적 데이터를 수집하여 항계내 통항 선박의 궤적의 곡률을 분석하여 불규칙 이동 조종선박의 움직임을 파악하였다. 기존의 과거 누적 데이터의 퍼지이론을 활용한 이상 거동의 선박식별 시스템은 전문가 시스템에 의존하여 항적의 비정상성을 판단하므로 항로의 특성에 따른 실 항해상황을 간과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는 선박 움직임에 대한 궤적의 시간 AIS 정보를 활용하여 항로이탈의 변화율에 해당하는 곡률분석, 항로선으로부터 좌우의 변동을 보다 정확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이상 거동 선박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VTS 및 VMS의 응용서비스로서 해양사고의 사전예방을 위한 연안 및 항만수로의 효율적인 관리에 기여할 것이다.

  • PDF

TRS를 이용한 선사운항관리실 운영에 따른 해상교통관제 효과에 대한 연구

  • Kim, Seok-Jae;An, Byeo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98-100
    • /
    • 2011
  • 울산항은 입출항 선박의 항행안전을 위해 1996년 9월부터 해상교통관제실(VTS)을 설치운영하고 있으나 많은 물동량으로 빈번한 선박통항과 액화가스, 케미컬 등의 위험화물운송선박의 통항 등의 여러 가지 위험요소가 상존하고 있는 개항장이다. 특히 현대 미포조선소와 인근에 산재해 있는 중소 조선소 등에서 발생되고 있는 선박 조립용 블록을 운송하는 예 부선들의 빈번한 운항은 울산항의 안전한 물류유통에 많은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울산항 해상교통관제실에서는 레이더사이트의 운항선박에 대한 데이터, PORT-MIS의 선박관련 데이터 및 최근 선박자동식별장치(AIS)의 데이터 등 많은 정보들에 의해 운항 선박들의 항행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박 조립용 블록을 주로 운송하는 울산항의 (주)보성해상개발에서 TRS를 이용한 자체 운항관리실을 운용하여 운송효율과 안전운항을 노력하고 있는 상황과 그 결과 울산항 해상교통관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분석하여 그 효율성을 나타내었다.

  • PDF

자율운항선박의 원격 상황인식을 위한 AIS 기반 항적 데이터 분석 기초연구

  • Choe, Jin-U;Park, Jeong-Hong;Kim, Hy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0.11a
    • /
    • pp.52-53
    • /
    • 2020
  • 자율운항선박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자선 주변 해상 환경의 장애물 및 자선, 타선에 대한 통합적인 상황인식 정보가 요구된다. 상황인식은 현재의 시점에서 관측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운항 해역에 대한 종합적인 인식과 함께 가까운 미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 및 비정상 상황에 대한 추론까지를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자율운항선박의 원격 상황인식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선박자동식별시스템 AIS의 항적 정보 분석에 대한 내용을 수행한다. AIS에서 얻어지는 항적 정보를 이용한 해상 상황인식을 수행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써, 손실 데이터에 대한 보간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구체적인 방법론은, 추적필터를 이용한 보간 방법과 항적 정보 학습 기반의 보간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AIS에서 얻어지는 실제 항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초기 결과를 검증하였다.

  • PDF

Hazardous Area Identification Model using Automated Data Collection(ADC) based on BIM (BIM기반 자동화 데이터 수집기술을 활용한 위험지역 식별 모델)

  • Kim, Hyun-Soo;Lee, Hyun-Soo;Park, Moon-Seo;Lee, Kwang-Pyo;Pyeon, Jae-H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1 no.6
    • /
    • pp.14-23
    • /
    • 2010
  • A considerable number of construction disasters occurs on pathway. A safety management in construction sites is usually performed to prevent accidents in activity areas. This means that safety management level of hazards on pathway is relatively minified. Many researchers have introduced that a hazard identification is fundamental of safety management. Thus, algorithms for helping safety managers' hazardous area identification is developed using automated data collection technology. These algorithms primarily search potential hazardous area by comparing workers' location logs based on real-time locating system and optimal routes based on BIM. And potential hazardous areas is filtered by identified hazardous areas and activity areas. After that, safety managers are provided with information about potential hazardous areas and can establish proper safety countermeasures. This can help improving safety in construction sites.

Computer Vision based Water-level Detection (컴퓨터 비전 기반의 수위 검출 시스템)

  • Hwang, Ung;Yoo, Jongsang;Jeong, Je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06a
    • /
    • pp.303-306
    • /
    • 2013
  • 최근 후쿠시마 원전, 쓰나미, 홍수와 눈사태와 같은 자연 재난들의 발생으로 인해 엄청난 수의 사상자와 막대한 재산피해가 초래되었다. 이런 재난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자동화된 조기 경보 시스템의 연구, 지능형 영상감지 기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지능형 영상감시기술을 적용하여 재난유형별 위험상황을 감지, 판독, 분석, 표출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고자 통합된 카메라 영상정보를 활용하여 영상변화를 감지하여 자동식별과 판독을 통해 기준 값 이상의 변화감지 시 경보알림 및 해당 영상 표출을 제공하였다. 본 논문은 기존의 수위상승 감지는 수위계나 교량에 표시된 수위표의 숫자를 읽어 자동적으로 위험을 알려주거나 사람이 수위감지를 위해 설치된 카메라를 모니터링 하여 위험을 감지하도록 되어있던 점을 개선하여 기존 수위감지 목적으로 설치된 카메라의 영상을 분석하여 수위상승 위험을 알려주는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 PDF

Risk analysis and assessment Methodology Research for network based Real-time Risk Management (네트워크 기반의 실시간 위험관리를 위한 위험분석 및 평가 방법연구)

  • Kim, Sung-Won;Kim, Hui-Young;Kwon, Young-Chan;Yun, Ho-Sang;Kim, Chul-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d
    • /
    • pp.29-34
    • /
    • 2007
  • 본 논문은 다양한 시스템이 존재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상의 위험을 분석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소개한다. 실시간으로 위험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상태가 변화하는 상황에서 자산의 강도 평가, 위협 가능성 분석, 취약성에 대한 기존 통제 분석이 필요하다. 기존 통제 구성은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이용한 네트워크 베이스, 응용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한 호스트 베이스 통제가 있으며, 이들은 컴퓨터 네트워크상의 실질적인 취약성을 효과적으로 식별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가능성 분석은 위험평가 과정에서 불필요한 위협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Assessment Models of Political Risk and the Sensitivity Analysis (정치적 위험의 평가모형과 민감도분석)

  • Moon, Chang-Kuen;Yim, Chun-Ho
    • Korean Business Review
    • /
    • v.20 no.1
    • /
    • pp.105-122
    • /
    • 2007
  • This paper identifies the dimensions of political risk on the basis of the classification between risk and uncertainties to implement the precise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of the various types of political risk and develop the sound assessment model to accomplish their practical applications. This paper shows the concrete and detailed processes of deriving the assessment models and applying them with the microsoft excel spreadsheet, confirms the result of Butler and Joaquin(1998), and presents the methods of identifying the various combination effects of the political risk impact and the covariance relationship with the market portfolio return through the sensitivity analysis.

  • PDF

Development of Disaster Situation Specific Tailored Weather Emergency Information Alert System and Outlines to Apply Artificial Intelligence (재난 상황별 맞춤형 기상긴급정보 전달 시스템 개발과 AI 적용 방안)

  • Kim, Yong-Yook;Kwon, Ki-Bong;Jeon, Seung-Kwon;Lee, Byou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57-58
    • /
    • 2022
  • 지속되는 기후변화에 의한 풍수해의 발생 빈도와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풍수해 등 극한 기상현상이 지역 및 상황에 따라 재난으로 이어지는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어 기상정보 사용자 및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기상정보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요를 맞추고자 기상 재난에 의한 피해 위험 지역 거주 주민과 재난 현장에서 재난에 대응하는 방재 관계기관 등 특정 사용자의 요구와 필요에 특화된 맞춤형 기상긴급정보를 다양한 매체의 특성에 맞게 즉각적으로 생성하여 전달하기 위한 기상긴급정보전달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며 인공지능을 활용한 긴급성의 식별과 정보 생성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