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도 등급

Search Result 43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n Mapping Forest Fire Risk Using Combustion Characteristic of Forest Fuels : Focusing on Samcheok in Gangwon-do (산불연료의 연소특성을 활용한 산불위험지도 작성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삼척 시를 중심으로)

  • Lee, Haepyeong;Park, Youngju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3 no.3
    • /
    • pp.296-304
    • /
    • 2017
  • In order to predict about forest fire behavior we constructed a database for combustion characteristic of forest fuels in Samcheok, Gangwon-do and prepared fire risk map and fire risk rating using GIS method in this study. For the mapping autoignition temperature, ignition time, flame duration time, total heat release and total smoke release are selected as the standardized parameters and the overall risk rating was made up of the ignition risk parameters(autoignition temperature, ignition time) and the spread risk parameters(flame duration time, total heat release, total smoke release). Forest fire risk was classified into 5 grades and lower grade of fire risk rating mean to correspond to more dangerous forest fire. As a result, the overall risk rating of Samcheok was classified into three grades from 1 to 3 and Nogok-myeon and Miro-myeon were turned out the most dangerous areas for forest fire. Because of the colony of pine and oak trees and the higher fire loads, the flame propagation will be carried out quickly in these areas.

Damage Prediction Using Heavy Rain Risk Assessment (호우 위험도 평가를 이용한 피해예측)

  • Kim, Jong Sung;Choi, Chang Hyun;Lee, Jong So;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54-154
    • /
    • 2017
  • 전 세계적인 기후변동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대규모 인명 및 재산피해를 유발하는 자연재난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효율적인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재해에 노출된 특성을 지역적 특성과 함께 고려하여 지역별로 재해에 위험한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 선행되어지고, 재난 피해 발생전에 피해 지역 및 범위를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연재난 피해의 65% 이상을 차지하는 호우피해를 대상으로 PSR(Pressure-State-Response) 구조를 이용하여 호우피해위험지수(Heavy rain Damage Risk Index, HDRI)를 제안하여 호우 위험도를 평가하고자하였다. 또한 도출된 지역별 위험등급에 따른 호우피해 예측함수를 개발하여 재해발생 전에 개략적인 피해의 범위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먼저 지역별 호우 위험도 평가를 위해 압력지표, 현상지표, 대책지표를 구축하고,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평가지표를 결정하였다. 결정된 평가지표를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호우피해위험지수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경기도 31개 지자체 중에서 가장 안전한 1등급인 지자체는 15개의 지자체로 나타났으며, 2등급인 지자체는 7개, 3등급인 지자체는 9개로 분류되었다. 지자체별 호우 위험도 등급에 따라서 재해기간별 총강우량, 재해일수, 선행강우량(1~5일), 지속시간별 최대강우량(1~24시간) 등의 자료를 설명변수로 구축하였고, 다중회귀모형과 주성분분석을 활용하여 예측함수를 개발하였다. 등급별 호우피해 예측함수는 N-RMSE가 12~18%로 호우피해를 적절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자체별 호우피해위험도 등급을 파악 할 수 있으며, 평가된 호우피해위험도 등급별로 호우피해 예측함수 개발을 통해 사전에 호우피해 발생 및 규모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각 지자체 및 관련 부처에서 효과적인 방재체계를 수립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Ground Risk and Mitigation in the SORA Methodology (무인항공기 SORA 위험평가를 위한 지상위험도 및 완화수단 분석)

  • Kwon, Taehwa;Chang, Sewon;Jeon, Seungmok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6 no.3
    • /
    • pp.52-62
    • /
    • 2022
  • In the SORA methodology developed for the operational risk assessment of a specific category of operation of a UAS, the ground and the air risk levels are determined, and a SAIL indicating the level of assurance and integrity for the corresponding risk is assigned, and accordingly, the operational safety level for the proposed operation. Objectives should be demonstrated at an appropriate level of robustness.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specific category of operation, people on the ground are the first risk subjects to be considered. The resulting ground risk cla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allocation of SAIL. In this paper, the impact on SAIL and OSO according to the final risk level and the reduction of the level through the determination of the ground risk level and the application of mitigation measures among risk assessments for specific categories of UAV operation was investigated.

Analysis of Korea Soil erosion yields and Soil loss hazard zone (한국토양유실량 및 토양유실위험지역 분석)

  • Kim, Joo-Hun;Kim, Kyeong-Tak;Lee, Hyo-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688-692
    • /
    • 2009
  • 본 연구는 전국 토양유실분포도와 토양유실위험 등급도를 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토양유실분포도는 RUSLE를 이용하였고, 강우-유출 침식성인자(R)는 기상청의 59개 기상관측소의 1977년부터 2006년까지(30년간)의 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빈도분석은 FARD를 이용하였고, 전국 R인자를 빈도별로 산정하였다. 토양유실량 분석결과 토지피복별로 초지, 나지 밭의 크기 순서로 토양유실이 발생하고, 우리나라 전체 평균은 약 17.2 ton/ha 정도의 토양유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년빈도 강우특성에서 전체 토양유실량은 15,000여 톤의 토양유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지피복 구분에서는 논, 산림, 밭작물 재배지역에서 많은 토양유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양침유실 위험 등급도 작성은 토양유실위험 등급을 5개 등급으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토양유실위험 2등급인 보통지역이 전체 토양유실량 위험지역의 78.2%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심각한 토양유실 위험지역은 분석지역 전체 중에서 약 1.1%인 $1,038km^2$정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지피복별로 심각한 토양유실 위험지역은 나지, 초지, 밭작물 재배지역의 순으로 각각 $93.5km^2$, $168.1km^2$, $327.4km^2$ 정도가 심각한 등급의 토양유실 위험 지역으로 분석되었다.

  • PDF

은행경영위험과 예금보험요율 설정에 관한 연구

  • Choi, Mun-Su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4 no.3
    • /
    • pp.263-287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국내은행의 위험도가 반영된 보험요율을 Merton에 의해 처음으로 제시된 예금보험요율 결정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표본은행간의 예금보험요율의 추정치에는 횡단면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표본기간 중 여러 은행들이 공격적 경영을 취함으로써 은행파산의 위험도를 높이는 도덕적 위해의 문제를 발생시켰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추정된 보험요율이 Moody's사의 국내은행에 대한 장기신용등급과 재무건전도등급, 그리고 은행규모, 수익성, 자본적정성, 자산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들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Moody's사의 국내은행에 대한 장기신용등급, 재무건전도등급과 보험요율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추정된 보험요율이 이들 지표와 마찬가지로 위험도를 적절히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험요율은 은행규모, ROA, ROE들과는 음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BIS기준 자기자본비율, 부실여신비율과는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자본비율이나 부실여신비율이 은행의 신용도나 위험도를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이들 비율에 대한 회계방식의 개선이 요구됨을 본 연구의 결과는 보여주고 있다.

  • PDF

Government Necessity of Risk Rating Methodology for Nationwide Emerging IT Infrastructure (국가단위 신규 IT인프라의 위험수준 등급화모델에 대한 정책적 필요성)

  • Kim, Sang-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285-287
    • /
    • 2010
  • 국가단위로 구축예정인 신규 IT인프라의 계획 및 설계 단계에서 신규 IT인프라에 잠재하는 위험도를 사전에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현재까지는 위험분석 이론이 사용되고 있으나 여러 가지 적용상 한계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관련하여 신규 IT인프라의 위험도를 일정 단위의 등급으로 분류하여 정부기관, 서비스 제공자, 서비스 수요자가 정확하게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신규 IT인프라에 대한 위험수준 등급화 모델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 PDF

A Study of Ground Subsidence Risk Grade Analysis Based on Correlation Between the Underground Utility Structure Density and Recorded Ground Subsidence (지중매설물 밀집도와 이력지반함몰의 상관성 분석을 통한 위험도 등급 분석 기법에 관한 연구)

  • Choi, Changho;Kim, Jin-Young;Baek, Sung-Ha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8 no.9
    • /
    • pp.69-77
    • /
    • 2022
  • Sever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risk of ground subsidence occurring in urban areas. Recent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nsity of underground utilities (i.e., the quantity of buried utilities in the analysis area) and the recorded ground subsidence has been explored to analyze such risk through. Choi et al. (2021) proposed an algorithm to optimi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round subsidence and normalized linear density of underground pipelines. In this study, the optimization algorithm was modified for analysis based on the risk grade. The analysis results using the modified optimization algorithm were compared with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between the density of underground utilities and recorded ground subsidence presented by Choi et al. (2021). Compared with Choi et al. (2021), three analysis results showed equal or higher accuracy in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recorded ground subsidence according to risk grade. In particular, for R100, it was divided into five grades and compared with the ratio of the recorded ground subsidence that occurred in grades 4 or higher. As a result, Choi et al. (2021) showed that 86% of recorded ground subsidence occurred in grades 4 or higher, whereas this study showed 93%.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racy of the modified optimization algorithm was improved. The modified optimization algorithm can be applied to develop a ground subsidence risk map for each grade in an urban area, which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cision-making for underground utility maintenance.

Evaluation of the Forest Fire Danger Rating Index Based on National Forest Eire Statistics Data (산불통계자료를 이용한 산불위험지수 고찰)

  • Kim Seon Young;Lee Byungdoo;Lee Si Young;Chung Joosa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7 no.4
    • /
    • pp.235-239
    • /
    • 2005
  • An accurate fire danger rating model can contribute to effective forest fire prevention activities. This study evaluates the national forest fire danger rating index based on forest fire statistics data from 1999 to 2002. The number of fires was related to the forest fire danger rating index $(R^2=0.67)$, and no correlation was found with burned areas. A one-way ANOVA test between forest fire danger rating levels and forest fire statistics data indicated that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fires was found among 'danger', 'precaution' and 'none' levels, but 'precaution' and 'none' levels could not be delineated. In the case of a burned area, no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three levels.

Case Studies of Ground Subsidence Risk Ratings (GSRp) Applied to the Excavation Sites (지반함몰 위험등급 분류(GSRp)의 굴착현장 사례 연구)

  • Shin, Sang-Sik;Ihm, Myeong-Hyek;Kim, Hak Joo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9 no.3
    • /
    • pp.289-302
    • /
    • 2019
  • As the occurrence of ground subsidence near the excavation site increases recentl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predict the possibility of ground subsidence prior to excavation. In this study, the ground subsidence risk rating for pre-excavation (GSRp) developed by the previous study was applied to actual excavation sites to verify its applicability. The final results for the evaluation of the ground subsidence risk level for five excavation sites revealed that GSRp scores were calculated between 40 and 79 points and classified mainly into grades II (Good Ground)~III (Fair Ground). In order to verify the evaluation method, the obtained GSRp grades were compared with the measured horizontal displacements. The horizontal displacements measured in five excavation sites were between 25% and 47% of the allowable displacement, which were well agreed with the low subsidence risk level obtained from GSRp calcul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GSRp method can be used as an evaluation tool for predicting the risk of ground subsidence before excavation if GSRp is verified and supplemented through the additional research for the poor soil with the high risk of ground subsidence.

Runoff Accumulation Mapping on Anseong Watershed (안성천 유역에서의 유출누적지도 작성)

  • Han, Kun Yeun;Park, Jun Hyung;Lee, Jae Yeong;Kim, Tae 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43-443
    • /
    • 2015
  • 자연적 및 인공적 조건들이 유출을 발생시키고, 발생시킨 유출수를 이동시키며, 특정지역에서 누적을 일으킬 수 있다. 이용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들은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사용할 수 있는 지리정보들로부터 구성된다. 이러한 자료를 이용해서 공간적 유출 위험 지도를 작성할 수 있다. 유출누적지도는 유출수에 의해 잠재적으로 침수되기 쉬운 지대들을 나타낸다. 침수지역은 원인지역의 규모, 원인지역의 형태와 경사, 천이점에 관련된 일시적인 감속과 누적들 및 토양의 침수상태와 같은 여러 요인들을 통해 발생된다. 유출에 대한 위험도 분석에서는 유출에 대한 누적위험도를 표현하기 위해 유출 과정에 유리한 요인들을 조합한다. 조합된 유출 민감도 지도는 유출민감도 값에 따라 등급화 된 형태로 표현된다. 5개의 민감도수준에 해당하는 요소들이 유출누적 지도에 사용되었는데, 여기서 민감도수준 1등급의 격자들은 누적에 유리하지 않고, 5등급은 물을 누적하는데 뛰어난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성천 유역의 유출누적지도를 작성하였으며, 이는 유역에서 유역 유출에 의한 홍수 위험도가 큰 지역을 탐지하는데 유용하며 이 자료를 기초로 하여 외수범람위험 지역과 합성하여 하천재해 위험지역을 도시하고 관리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