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치지능화

Search Result 5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velopment of remote convergence transmission platform nearby subscriber (가입자 근접형 원격 융합 전송 플랫폼 개발)

  • Jung, Joon-Young;Im, Han-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66-67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기 구축된 케이블 방송망 인프라 교체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줄이면서도 효과적으로 네트워크 개선 및 진화가 용이하도록 가입자에 근접한 지점까지 전송 장치를 위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최근 들어 케이블 방송망은 융합화, 지능화, 개인화 형태로 발전하는 미래 방송·통신 서비스의 수요 충족에 한계를 보이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송 기술의 개발 및 네트워크 진화 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케이블 방송 사업자들도 네트워크 개선 및 신규 서비스 도입 등의 노력을 시도하고 있으나 기존에 설치 및 구축된 케이블 방송·통신 인프라의 전반적인 교체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전송 장비를 셀인입점으로 이동함으로 셀 분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향후 셀인입점 이후의 종단 망만 업그레이드함으로써 네트워크의 개선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 PDF

A Study on Operation Control Technology Required for Introduction of Intelligent Sewage Treatment Plant (스마트 하수처리장 도입에 필요한 운전제어기술에 관한 연구)

  • Lee, Jiwon;Kim, Yuhyeon;Gil, Kyungi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4 no.1
    • /
    • pp.38-43
    • /
    • 2022
  • Smart sewage treatment plant means creating a safe and clean water environment by establishing an ICT-based real-time monitoring, remote control management and intelligent system for the entire sewage treatment process. The core technology of such a smart sewage treatment plant can be operation control technology using measuring instruments. This research team analyzed and suggested the operation control technologies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lligent business by referring to the intelligent research projects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in progress in Ko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six removal technologies were presented, including control by scale, reflow water control, linked treated water control, chemical quantity control, winter operation control, and total organic carbon control. By size, standards that can be classified into small and medium-sized large-scale are presented, and in the case of reflow water control, the location of water quality and flow sensors capable of managing reflow water is suggested. In the case of the linked treated water control, the influence and control points of the linked treated water on the sewage treatment plant were presented, and in the case of the chemical injection volume control, a system capable of optimizing the amount of chemical injection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an intelligent sewage treatment plant was presented. In the case of winter operation, the sensors and pumps to be controlled are suggested when considering the decrease in nitrification due to the decrease in water temperature. In the case of total organic carbon control, an interlocking system considering the total amount of pollution in the future was proposed. These operation control scenario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be used in intelligent sewage treatment algorithms and scenarios in the future.

A Study on DSRC based ITS Telecommunication Networks Architecture (DSRC 기반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통신망 구조 연구)

  • 이성룡;최경일;이희상;김윤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97-200
    • /
    • 2000
  •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은 도로, 차량, 신호시스템 등 기본 교통체계의 구성요소에 첨단 정보통신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교통시설의 기반구조에 대해 지능화와 첨단화를 꾀하고자 하는 차세대 교통체계로 우리 나라가 처한 교통 환경의 실태와 기존 교통체계의 문제점을 고려할 때 당면한 교통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유력한 방안으로 여겨진다. ITS는 운전자 혹은 도로 교통 시스템에 각종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도로변에 위치하는 기지국 등의 ITS 기반 요소들과 도로를 운행 중인 차량간의 빠르고 정확한 정보교환이 가능해야 한다. 정보교환을 위한 통신 기술 중 하나인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는 저출력의 양방향 통신 특성을 갖고 ITS가 제공하는 대부분의 서비스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ITS의 구축과 빠른 확산을 위해 필수적인 기술로 간주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DSRC를 기반으로 하는 ITS통신망의 구조 정립에 대해 논하고 있다. 효과적인 ITS 서비스를 위해서는 물리적 통신망은 물론 통신망을 구성하고 있는 각 요소들과 관련되어있는 정보시스템들이 동시에 연구되어야 하므로 ISCNA(Information Systems and Communication Networks Architecture) 준거모형에 의한 접근을 하였다. 세부적인 측면으로는 서버 시스템의 구조, 서버와 서버간, 서버와 노변 기지국, 노변 기지국과 차량 단말 간의 통신망 구조 정립에 대해 살펴보았다.

  • PDF

Design of Ubiquitous Home Automation System for 35-Pyung Apartment Based on USN Environment (USN 환경을 도입한 35평 아파트의 유비쿼터스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설계)

  • Shin Kyoung-Chul;Oh Young-Sun;Kim Woo-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11a
    • /
    • pp.345-353
    • /
    • 2005
  • Government is supporting development of home networking. But, this new system is much expensive to introduce in the home. And limit for establishment is so many in the home. Therefore, in this paper, We escape from monotonic control of Home Automation and draw a plan Intelligent Home Automation to be developed. We reflect Home Network to the foundation and propose Home Automation on Ubiquitous Sensor Network, We Design of Ubiquitous Home Automation System for 35-Pyung Apartment Based on USN Environment. This becomes the Home Automatic Behavior System which is executed to the automatic to be improved.

  • PDF

Implementation of Multi-encoder Management System based on CANopen Protocol (CANopen 표준 기반 멀티 엔코더 관리 시스템의 구현)

  • Ahn, Hyosung;Kim, Taehyou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41 no.6
    • /
    • pp.533-541
    • /
    • 2017
  • Recently, with the adoption of modern computing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manufacturing systems have become more autonomous and intelligent. Thus, as the number of field devices with smart sensors also increase, the need for an integrated management of such devices becomes essential. This paper proposes a smart encoder architecture that integrates the position sensing function with CANopen connectivity. In addition, an integrated system is proposed to simultaneously control and monitor multiple encoders over the Controller Area Network (CAN) fieldbus network.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and functionalities of the proposed system by comparative experiments with commercial CANopen smart encoders using a CANopen conformance test.

Study on Process Modeling of u-SCM using USN (USN을 이용한 u-SCM 프로세스 모델링 연구)

  • Park, Hyoun-Shil;Choi, Eun-Mi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5a
    • /
    • pp.379-384
    • /
    • 2007
  •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의 인프라 기술은 여러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처리 및 동작하는 지능화된 상호운용성 네트워크로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다양한 서비스를 창출하고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로 정착하고 있다. 설치의 간편성, 저전력, 저가격, 확장성, 내장성의 특정을 가지고 있는 USN은 많은 센서들의 이질적인 데이터와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 그리고, 장치간의 상호운용을 위한 제어 정보 등이 포함되며, 산업분야에서는 RFID의 기술과 함께 기존 기업의 ERP, CRM, SCM 등 애플리케이션과의 호환성 확보를 통해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USN 을 비즈니스 서비스 모델에 적용하여 SCM 상에서의 프로세스 모델링 연구를 하였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을 SCM 에 적용하는 u-SCM을 공급단계에서 시작하여 소비자관리 및 분석의 프로세스로 모델링 및 구축하였다. 부품공급/조달물류관리, 생산관리, 재고/유통/발주관리, 소비자 관리 및 분석 프로세스를, 소규모 센서의 서비스 환경 탑재 및 감지, 위치 측정 등의 감지 센서들을 이용한 센서 노드(node)의 정보 습득, 무선 센서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한 추출된 감지 정보 통신, USN 서버의 관리 및 정보의 저장과 분석 등으로 USN 기술을 이용한 u-SCM 의 관리 운영의 프로세스 모델로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sign of Task Planning System for Intelligent Excavating System (IES) (지능형 굴삭을 위한 토공작업계획 시스템의 구조 설계)

  • Lee, Won-Sik;Song, Soon-Ho;Lee, Seung-Soo;Seo, Jong-Won;Kim, Su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921-924
    • /
    • 2007
  • 토목, 건축과 관련된 노동현장은 여느 3D 업종들과 마찬가지로 숙련된 기능공의 부재 및 산업재해 발생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대표적인 토목공사인 토공 작업 역시 위험 혹은 유해한 작업환경으로 인해 토공장비의 안전사고 및 생산성과 품질저하가 발생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장비의 지능화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지능형 굴삭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토공작업은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작업영역을 가지기 때문에 지능형 굴삭시스템의 개발을 위해서는 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계획의 수립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계획의 대상을 굴삭로봇과 토사로 구분하였으며, 글로벌 영역에서 단위작업 영역, 로컬 영역으로의 분할을 통해 전체 작업 진행에 대해 효율적으로 작업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계획단계에서부터 토공작업 자동화 및 효율와에 기여하고자한다. 토공작업계획 시스템은 토공 작업자 및 감독자의 작업 특성 및 노하우를 컴퓨터, 즉 두뇌에 부여함으로써 숙련된 장비조종자의 작업 방법 및 특성을 반영하여 토공 작업 프로세스 모델링을 구축하고 실제 작업환경상의 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실제 작업환경과 동일하게 모델링된 컴퓨터내의 가상환경을 바탕으로 영역분할, 최적 플랫폼 위치선정 및 작업 순차생성을 통해 최적의 토공작업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An Approach for Improving Logical Identification Rate of RFID Cold Storage Management System (RFID 냉동창고관리 시스템의 논리적 인식률 향상 방안)

  • Choi, Bong-Jun;Moon, Mi-K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10a
    • /
    • pp.105-108
    • /
    • 2011
  •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은 작업환경을 개선시키고 작업처리 속도와 정확성을 증가시킨다. RFID 기술은 기존의 바코드를 대체하여 물품관리를 네트워크화하고 지능화함으로써 창고의 물품관리에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 그러나 RFID는 포장의 물질적 특성, 태그부착 위치, 노이즈 발생원이 있는 주위작업 환경 등에 따라 인식률에 상당한 차이를 낼 수 있고, 이러한 문제 때문에 실제 비즈니스 영역에서의 적용이 다소 제한받고 있다. 그러므로 RFID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이 모든 업무에 가동되어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업무 흐름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예외상황을 찾아내고 이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RFID를 이용하는 냉동창고에서 업무 자동화가 끊어짐없이(seamless) 이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유형의 RFID 오류원인을 식별해내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시한다. 이를 위해 RFID가 동작하는 작업환경을 업무 별로 분류하고, 각 작업환경에서 진행되는 업무흐름을 분석하여 각 오류를 유형별로 체계화 시킨다. 분류된 오류들에 대해 이를 감지하고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음으로써 냉동창고 내의 전체적인 업무흐름을 원활히 하여 업무처리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게 한다.

  • PDF

A Study on Evolution of Internet Architecture based on ID and Locator split (Identifier와 locator 분리 기반의 인터넷 구조 확장 연구)

  • You Tae-Wan;Lee Seu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986-989
    • /
    • 2006
  • 앞으로의 네트워크는 Convergence와 Integrate라는 키워드를 기반으로 IP 중심의 통합된 망으로 발전되고 있다. IP 중심의 망은 각각의 다양한 access 기술을 포함하며, voice, multimedia, 그리고 새롭게 정의되는 서비스가 모두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점차 인터넷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의 통합된 망의 형태로 진화 될 것이다 이러한 차세대 네트워크상의 단말은 소형화, 지능화, 그리고 이동성을 지니고 있으며, 다양한 access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multiple 인터페이스를 가진 멀티호밍 환경에 놓여있다. 따라서 이 네트워크는 기본적으로 이동성과 멀티호밍을 지원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인터넷의 핵심인 Internet Protocol 구조는 이를 지원하지 못한다. 현재 IP 주소는 최종 단말의 식별자 (Identifier)와 단말의 위치 식별자 (locator)의 의미를 함께 사용하고 있어, 통신 중인 단말이 이동하면 IP 주소도 변경되어 통신 중인 세션이 끊기는 문제가 발생한다. 멀티호밍 환경에서도 역시 통신 중인 노드들의 경로를 바꾸게 되면 세션이 끊기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린 구조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dentifier와 locator를 분리하며, 단순하게 단말에 스택으로 존재하는 L3SHIM을 소개하고, 모든 단말에 이 기능이 지원되었을 때 기존의 인터넷 프로토콜의 확장과 인터넷의 구조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 선행 연구를 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u-Logistics Alerting System (u-Logistics 알림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Lee, Yong-Mi;Jin, Long;Seo, Sung-Bo;Oh, Se-Won;Lee, Yong-Joon;Ryu, Ke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61-63
    • /
    • 2004
  • 지능화된 사물이 스스로 공간의 상황을 인식하여 필요한 행위를 대신해 주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응용 환경 하에서는 언제 어디서나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원하는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줄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e-Logistics 물류 시스템에서는 실물의 흐름과 정보의 흐름간에 불일치가 존재하기 때문에 화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화물에 센싱 가능한 스마트 태그를 부착하고, 이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u-Logistics 알림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u-Logistics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기술하고, 특히 규칙의 정의에서부터 알림 서버가 실시간으로 이벤트를 수집하여 원하는 사용자에게 화욜 또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까지의 알림 시스템의 전반적인 처리 과정을 기술한다. 마지막으로, 물류 환경에의 적용 시나리오를 통하여 u-Logistics 알림 시스템의 구현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