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치영역

Search Result 3,949,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A New Location Update Scheme Using Direction Information of MTs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단말의 방향 정보를 이용한 새로운 위치 갱신 기법)

  • 송의성;길준민;황종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136-13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이동성 패턴과 움직임 정보를 이용한 새로운 위치 갱신 기법을 소개한다. 현재 상용화된 대다수의 셀룰러 시스템은 지리적 영역을 위치갱신 영역으로 나누고, 사용자는 이전 위치 영역에서 새로운 위치 영역으로 이동할 때마다 위치갱신 연산을 수행한다. 이제까지 제안된 기존 기법들은 개별 사용자의 이동성과 호도착률, 더욱이 각 위치 영역에서의 사용자의 움직임 패턴을 고려하는데 미흡하였다. 특히, 사용자가 낮은 CMR을 갖거나 특정 위치 영역으로 이동할 경우가 많아지면 쓸모 없는 위치 갱신 횟수의 증가로 인하여 과도한 네트워크 트래픽이 야기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위치 갱신의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의 움직임 정보를 적절히 반영하여 각 위치 영역에서 위치 갱신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효율적인 기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영역 내에 상주하는 이동단말들의 움직임 정보와 개별 사용자의 이등 패턴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위치 갱신의 횟수를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위치 갱신 기법을 제안한다. 수학적 모델링을 통한 제안 기업의 성능은 CMR이 낮고 사용자가 특정 위치 영역으로 이동할 확률이 높은 경우, 기존의 IS-41과 TLA 기법보다 낮은 위치관리 비용을 보여준다.

  • PDF

개인휴대 통신 환경에서 다중영역 위치등록 방식의 성능분석

  • 백장현;이창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6.04a
    • /
    • pp.577-580
    • /
    • 1996
  • 위치등록(location registration)이란, 개인휴대 통신망에서 가입자의 위치정보가 변하는 경우 데이타베이스에 있는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갱신해주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착신호 접속을 위해서는 시스템이 MS(Mobile Station)의 현재 위치를 알고 있어야 하므로, MS의 위치를 시스템의 데이타 베이스에 저장하는 위치등록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위치등록 방법중 핵심적 요소인 영역기준 위치등록 (zone-based registration) 방법을 다중영역 위치등록 방식으로 구현할 경우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먼저 단일영역 위치등록 방식을 해석하기 위한 이동성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다중영역 위치등록 방식에 대한 성능분석을 위한 환경을 설정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하여 래디오 채널에서의 부하를 최소로 하는 다중영역의 수 N을 구하였다. 개인휴대통신망의 환경에 따라 최적 N의 값은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2-3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다중영역 위치등록 방식은 단일영역 위치등록 방식에 비하여 레디오 채널에서의 부하를 10%정도 감소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개인휴대 통신망에서 중요한 성능요소인 위치등록 처리용량을 향상시키고자 할 경우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 PDF

Real-time Face Extraction for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내용기반 영상 검색을 위한 실시간 얼굴 영역 추출)

  • 이미숙;이성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1996.06a
    • /
    • pp.169-174
    • /
    • 1996
  • 객체 인식은 대용량의 영상 데이터를 분석, 탐색하고 재구성하기 위한 내용기반 영상 검색의 매우 중요한 분야이며, 특히 인간의 얼굴은 검색 영상 내에서 대부분 주요한 장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 비중이 매우 크다. 본 논문에서는 내용기반 영상 검색을 위한 실시간 얼굴 영역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다층 피라미드 구조와 간단한 형태의 머리 형판을 사용하여 얼굴의 후보 영역을 추출한 후, 보다 정확한 얼굴 영역을 추출하기 위하여 후보 영역 내에서 눈의 위치를 탐색하고, 두 눈의 위치를 기준으로 최종적인 얼굴 영역을 추출하였다. 얼굴 후보 영역 추출 단계에서는 얼굴의 형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모자이크 형판을 사용하여 머리와 턱을 포함한 얼굴 영역을 추출하였으며, 눈 위치 추출 단계에서는 눈의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눈의 탐색 영역을 결정하고, 탐색 영역 내에서 이진 영상 형판을 사용하여 눈의 위치를 추출한 후, 눈 영역의 무게 중심을 눈의 중심 위치로 설정하였다. 마지막 얼굴 영역 추출단계에서는 두 눈의 위치를 기준으로 사각형의 영역을 얼굴 영역으로 추출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1700장의 다양한 영상에 대하여 실험하였으며, 실험 결과 한 장의 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추출하는데 있어서, Pentium 166Mz의 PC상에서 평균 3.2초의 처리 속도와 91.7%의 추출률을 보임으로써, 실시간 얼굴 영역 추출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A Location Management Algorithm using Logical Area (논리 영역을 이용한 위치 관리 알고리즘)

  • Park, Dae-Geun;Byeon, Tae-Yeong;Park, Seon-Yeong;Han, Gi-Jun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27 no.3
    • /
    • pp.265-277
    • /
    • 2000
  • 무선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제안된 마이크로셀 환경에서는 이동단말의 잦은 서비스 영역 변경이라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마이크로셀 환경을 고려한 고정 영역 기반 위치 관리 방식은 핑퐁현상(pingpong effect)이 발생할 경우 잦은 위치 등록의 문제점을 보이며 이동 거리 기반 위치 관리 기법은 이동성 관리는 효율적인 반면에 지나친 위치 정보의 유지 필요성으로 인해 실제 구현에 어려움이 많았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 영역의 경계에서만 논리 영역이란 개념을 적용함으로써 고정 영역 기반 위치 관리 기법의 장점은 글대로 이용하면서, 보다 적은 양의 위치 정보로도 이동 거리 기반 위치 관리 방식과 비슷한 위치관리비용만이 소요되는 새로운 위치 관리 방안을 제안하고 모의 실험을 통해 그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 PDF

통신해양기상위성에서의 태양반사(SUNGLINT) 위치 결정 알고리즘 연구

  • 박재익;박상영;최규홍;안유환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3.10a
    • /
    • pp.49-49
    • /
    • 2003
  • 2008년 발사 예정인 통신해양기상위성(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의 성공적인 임무완성에 기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해양위성 관측자료 분석에 적용할, 위성의 위치 및 하루 또는 연중 태양의 위치에 따른 해수면 태양반사(Sunglint) 영역의 정확한 위치를 찾아주는 예측 알고리즘을 연구하였다. 정지궤도위성의 태양반사 영역의 정확한 위치 결정은 태양-위성-지구를 고려한 구면 천문학과 반사의 법칙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는데 적절한 구면 좌표계에서 하루 또는 연중 태양의 위치와 위성의 위치를 통해 얻어진 비선형 방정식을 Newton-Raphson 수치 방법을 이용하여 태양반사 영역의 정확한 위치와 움직임을 계산하였다. 또한 정지궤도위성이 아닌 극궤도위성의 태양반사 영역의 위치 결정은 해당 위성의 TLE(Two Line Elements)을 이용한 궤도분석 프로그램인 ASAP(Artificial Satellite Analysis Program)을 이용해 시간에 따른 위성의 위치를 구하여 정지궤도위성에서의 위치 결정 알고리즘과 같은 방식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기본적인 알고리즘을 통해 다양한 이미지 센서를 가진 궤도 위성에서의 태양반사 영역 위치 결정과 그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Location Area Design of a Mobile Cellular Network with Time-dependent Mobile flow and Call Arrival Rate (시간에 따른 인구유동 / 호 발생의 변화를 고려한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위치영역 설계)

  • Hong, Jeong-Sik;Jang, Jae-Seong;Kim, Ji-Pyo;Lee, Chang-Hun;Lee, Jin-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775-783
    • /
    • 2005
  •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위치영역 설계는 위치관리 비용을 최소화하도록 네트워크를 위치영역으로 분리하는 문제이다. 기존 위치영역 설계 관련 연구는 설계의 모수가 되는 호 발생률 및 셀 간 가입자 이동률을 고정된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러나 실제 환경에서의 두 모수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고, 일정한 패턴을 나타내며, 시간 당 셀 내 인구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구유동 및 호 발생의 불확실성 및 시간에 따는 패턴 변화를 고려하여 기준 이상의 페이징 서비스 품질을 만족시키고, 비용을 최소화 하는 위치영역 설계 방식을 제안하였다. 모수의 변동에 일정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시간대 및 가동률 상한의 개념을 도입하여 추계적 문제를 정적 그래프 분리문제로 변환하였고, 이에 대한 솔루션은 Simulated Annealing을 응용한 경험적 최적해 도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도출했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Two-Location Distance-based Registr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이동통신망에서 이중영역 거리기준 위치등록의 성능 분석)

  • Suh, Jae-Joon;Luo, Yong;Baek, Jang-Hy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7 no.4
    • /
    • pp.41-50
    • /
    • 2008
  • In this study, an improved scheme for distance-based registration (DBR) is proposed and its performance is analyzed. In the DBR, when a mobile station (MS) enters a new cell, it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last registered cell and current cell and registers its location if the distance reaches reference distance D. In this study, two-location DBR (TDBR) is propos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DBR. In the TDBR, an MS stores not only last registered location area (LA) but also previously registered LA, and then no registration is needed when the MS crosses two LAs stored already. However, since the TDBR may increase paging cost, trade-off is necessary between decreased registration cost and increased paging cost.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s of two schemes are analyzed and compared using 2-dimensional random walk mobility model in hexagonal cell configuration. We show that our mathematical analysis is accurate by comparing with simulation. From the numerical results for various circumstances, it is shown that our proposed TDBR outperforms current DBR in most cases.

  • PDF

Analyzing Position-Domain Hatch Filter for Real-Time Kinematic Differential GNSS (실시간 동적 차분 위성항법을 위한 위치영역 Hatch 필터의 성능 해석)

  • Lee, Hyeong-Geun;Ji, Gyu-In;Rizos, C.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4 no.2
    • /
    • pp.48-55
    • /
    • 2006
  •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position-domain Hatch filter is analyzed for differential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It is shown that the position-domain Hatch filter generates white measurement residual sequences, which is beneficial property for fault detection. It is also shown that the position-domain Hatch filter yields more accurate a priori state estimate than the position-domain Kalman-type filter.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osition-domain Hatch filter is beneficial in wide application areas where fault-tolerance and accuracy are required at the same time.

Dynamic Location Area Management Scheme Based on Mobile Subscribers in Cellular Mobile System (셀룰라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 중심의 동적 위치 영역 할당 기법)

  • Kim, Sang-O;Lee, Jae-Yong;Ryu, Dae-Hui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3 no.5
    • /
    • pp.1179-1186
    • /
    • 1996
  • A previous location area scheme was proposed for cellular network, in which the size of location area of a user is dynamically determined by is current mobility and call arrival rate as the burden of system reaches the minimum. This scheme, however, doesn't consider other individual's movement pattern respectively because of allocating location area with a system's fixed pattern. When mobile subscribers move fast, this scheme allocates especially so large location area to reduce the number of location registration that it makes much paging cost. In this paper, we suggest new dynamic location area management which allocates location area according to each subscriber's mobility regarding its current location as center point. This new scheme allocates fast subscriber larger location area, which resulted in reducing the number of location registration. And small area paging reduces paging cost.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Distance-based Location Registration Scheme Considering Terminating Call (착신호를 고려한 거리기준 위치등록 방법의 성능분석)

  • Lim, Seog-Ku;Jang, Hee-Seon;Cho, Kee-Seong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0C no.1
    • /
    • pp.103-110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distance-based registration considering call arrival. We propose the mobility model, which can be used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proposed registration schemes. Numerical results show that zone-based registration needs less number of registration than distance-based registration. On the other hand, the registration load of the distance-based registration is equally distributed to all cells in a location area. However, the registration load of the distance-based registration considering cail arrival is similar to that of zone-based registration and equally distributed to all cells in a location area. Therefore, the proposed scheme can be effectively used restricted radio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