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치분포

Search Result 4,350,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위험률의 변화점모형에 대한 추론

  • 정광모;한미혜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5 no.2
    • /
    • pp.477-489
    • /
    • 1998
  • 위험률 변화점모형에 대해 변화점의 최우추정을 고려하였다. 추정량의 점근분포 및 붓스트랩 분포의 성질을 알아보고 변화점의 신뢰구간을 제안한다. 변화점의 위치 및 변화점을 전후하여 위험률의 값에 따라 모의실험을 수행하고 포함확률을 조사하였다. 추정량의 점근분포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이를 직접 이용한 변화점의 통계적 추론이 매우 어려운 점을 감안할 때 제안된 방법은 바람직한 대안이 될 수 있다.

  • PDF

Thresholding and Finding Pattern Model in A Visual Inspection for Printing Detects on PVC Tube (PVC 튜브 검사의 자동화를 위한 이진화 임계값 결정과 패턴모델의 설정)

  • 양정석;이칠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15-12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비닐 튜브의 결함검사에 이용하기 위한 이진화 임계치의 자동 결정방법과 패턴매칭에 이용되는 패턴 모델의 자동 친정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256 Gray 영상을 받아 들여 이진화 임계치를 결성하기 위해서, 휘도치 분포 곡선에서 2개의 극대값을 찾고, 두 극대 위치의 중간위치를 이진화 임계치로 결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패턴 모델을 생성하기 위하여는 수직, 수평 방향의 누적함(Profile)을 이용하였다. 이 방법은 인쇄물 검사 시스템뿐 아니라 비슷한 휘도치 분포를 같는 반도체 자동 검사 시스템을 비롯한 일반적인 건사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다.

  • PDF

한국 거문도 인근해역의 꽃새우의 계군 구조

  • 오택윤;김주일;차형기;최정화;고정락;이주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43-44
    • /
    • 2002
  • 남해안 중부해역에 위치한 거문도, 초도와 손죽도 인접해역은 고흥반도 남단에 위치하는 수역으로 수심이 20∼70 m인 대륙상의 천해로서 니질과 사니질이 주로 분포하여 새우류가 서식하기에 적합한 해역으로서 이 해역에 분포하는 꽃새우(Trachypenaeus curvirostris Stimpson)에 관련된 생식생태를 밝히고저한다. (중략)

  • PDF

Amplification of Fiber Optic BOTDA Sensor Pulsed Signal Using Erbium-doped Fiber Amplifier (광섬유증폭기를 이용한 광섬유 BOTDA센서의 펄스신호 증폭특성)

  • 박형준;고광락;권일범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2a
    • /
    • pp.330-331
    • /
    • 2003
  • 분포형 광섬유 센서시스템은 일정한 길이의 연속적인 광섬유 및 광케이블을 매질로 하여 길이 방향에서 생기는 투과율 또는 산란 특성의 변화를 통해 물리량의 변화와 그 위치를 감지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그 중에서 광섬유 내부의 브릴루앙 산란효과를 이용하여 광케이블 주위에 진동, 압력등에 매우 민감한 분포형 광섬유센서를 구성하고 외부로부터의 침입 유무와 위치를 파악함과 동시에 주요시설물의 감시 및 진단이 가능하도록 한다. (중략)

  • PDF

광양만에 분포하는 농조개, Raphia undulata의 자원생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김영혜;장대수;박영철;고태승;김종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618-619
    • /
    • 2001
  • 농조개(Raphia undulata)는 일본 인도양, 태평양 및 우리나라 남서해안에 분포하며, 수심 1m 근방의 진흙에 서식한다. 패각은 가늘고 길며 성장맥이 있지만 매우 약하다. 각장은 40∼60mm, 각고 35mm 이며, 패각전면에 보라색을 띤 산 무늬가 있고, 바탕은 열은 황색이다(유, 1976; 권 등, 1993). 본 종은 일본, 대만, 홍콩, 태국 및 필리핀 등에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동남아시아에서는 Perna viridis, 피조개 다음으로 식용조개로서 상업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으므로, 본 종에 대한 생태, 분류학적 위치 및 종묘생산 등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Protection of Location Privacy for Spatio-Temporal Query Processing Using R-Trees (R-트리를 활용한 시공간 질의 처리의 위치 개인정보 보호 기법)

  • Kwon, Dong-Seop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5 no.3
    • /
    • pp.85-98
    • /
    • 2010
  • The prevailing infrastructure of ubiquitous computing paradigm on the one hand making significant development for integrating technology in the daily life but on the other hand raising concerns for privacy and confidentiality. This research presents a new privacy-preserving spatio-temporal query processing technique, in which location based services (LBS) can be serviced without revealing specific locations of private users. Existing location cloaking techniques are based on a grid-based structures such as a Quad-tree and a multi-layered grid. Grid-based approaches can suffer a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in query results since they are based on pre-defined size of grids which cannot be adapted for variations of data distributions. Instead of using a grid, we propose a location-cloaking algorithm which uses the R-tree, a widely adopted spatio-temporal index structure. The proposed algorithm uses the MBRs of leaf nodes as the cloaked locations of users, since each leaf node guarantees having not less than a certain number of object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Spatial and Seasonal Variability of Soil Moisture Responses along Transect Line on a Forest Hillslope in the Cheong-Mi Catchment (청미천 유역 내 산림사면에서 단면선에 따른 토양수분특성의 공간적 및 계절적 변동)

  • Gwak, Yong Seok;Kim, Sang Hyun;Lee, Jung Hun;Lee, Yeun Gil;Jung, Sung Won;Kim, Su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73-473
    • /
    • 2015
  • 토양수분은 수문학적 과정의 시공간적 변동과 수자원 관리 및 계획 그리고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의 원인규명에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면의 단면선에 따른 토양수분의 분포 및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청미천 유역내의 사면에서 10개월 동안의 토양수분들을 측정하여, 토양깊이별, 계절별로 분석하였다. 토양수분특성은 간단한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그리고 토양수분의 감쇄기울기 값으로 표현하였다. 추가적 연구로, 측정지점의 위치, 지형, 토성의 토양수분에 대한 반응분석을 하였다. 깊은 토양층에서의 토양수분의 공간적 분포는 지표층에서의 공간적 분포 경향과는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사면의 지형 및 위치 그리고 토성의 공간적 분포는 토양수분의 시 공간적 분포특징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부흐름의 기여를 받는 측정지점에서는 토양수분 변동의 안정화가 진행이 되는 것으로 보이며, 수문학적 경계(Hydrologic Threshold)에 대한 추가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상부사면에서의 높은 토양수분 변동성 및 뷸 균질적인 공간적 분포는 우선적 흐름발달의 영향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 PDF

Calculation of Energy Spectra for Electron Beam of Medical Linear Accelerator Using GEANT4 (GEANT4를 이용한 선형가속기 기초 코드 작성과 전자선 에너지 분포 계산)

  • Joh, Young-Gull;Kim, Hyung-Dong;Kim, Byung-Young;Kim, Sung-Jin;Oh, Se-An;Kang, Jeong-Ku;Kim, Sung-Kyu
    •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
    • v.22 no.2
    • /
    • pp.85-91
    • /
    • 2011
  • The energy spectra for electron beam of medical linear accelerator were calculated using a GEANT4 Medical Linac 2 example code. The incident electron mean energy were 6, 9, 12, 16, 20 MeV. This code was designed to calculate electron beam energy spectra according to material, thickness and location of electron scattering foil affecting electron beam characteristic. Lead, Copper, Aluminum and Gold were used for scattering foil. The energy distribution for electron and photon were analyzed by changing position of scattering foil in the head of linear accelerator. The effect of electron scattering foil on energy spectra which is basic data of simulation for medical linear accelerator were presented. The calculated results would be used in design of medical accelerator head.

Studies on the Root System of Mulberry Tree at Slope. Land (경사지에 있어서의 상수의 근계에 관한 연구)

  • 김문협;임수호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8
    • /
    • pp.1-9
    • /
    • 1968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n to investigate the root system of the half bench terracing mulberry field of 170cm wide at slope 1an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otal root weight per nest in case of p1anting two sapling is from 2.4 to 2.8kg, of which most are over l0mm in diameter, 1-5mm intermediate, and below 1mm and 5-10mm fewest. Total root length. per nest is 177-255 meter except less than 1mm in diameter, of which 1-5mm is longest and over l0mm shortest. 2. From the view of vertical distribution of root, the weight and length of root (90%) are mostly concentrated 20cm below and then 20-40cm from the surface of land. 3. Most roots have grown right and left within 30cm from the mulberry stock. 4. Most roots have grown at 35-70cm block and 70-105cm block from front side of terrace, if further than this, roots have become fewer. Root distribution at front side is more considerable than that at rear side of terrace.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mulberry varieties.

  • PDF

An analysis of related parameters of the detention pond in trunk sewer considering temporal distribution of rainfall (강우의 시간적 분포를 고려한 간선저류지의 관련매개변수 분석)

  • Lee, Sung Ho;Lee, Jae Joon;Lee, Hoo Sang;Rhee, Dong S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14-214
    • /
    • 2017
  • 우리나라는 도시화 및 산업화로 도시지역의 대부분이 불투수층으로 변화하였으며, 국지성 호우의증가로 홍수 저감시설의 방어능력이 취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홍수방어 개선을 위한 여러 방안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 저류지는 도시지역에서 유역 하류의 홍수피해 저감 및 흐름을 지체시켜 유출률을 감소시키는 시설물로 홍수 저감을 위한 시설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저류지는 큰 규모일수록 유역의 하류지역에 설치할 경우 가장 큰 유출저감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저류지의 위치를 유역의 하류가 아닌 상류지역에 설치할 경우에는 단기간 강우의 시간적 분포가 강우 초기에 집중될 경우 저류지의 허용용량이 초기에 도달하게 되어 추가적인 강우가 발생할 경우 본래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강우강도 및 시간적 분포를 고려하여 유역의 특성 및 저류지의 설치위치에 따른 관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 산업화 인구집중으로 인해 동일규모의 강우에서도 우수유출이 증대되고 있는 도시지역에서 원활한 내수배제를 위해 기존의 우수관거를 연계한 저류시스템인 간선저류지 개념을 적용하여 강우강도 및 시간적 분포에 따른 간선저류지의 관련매개변수를 분석하였다. 대상유역은 세장형, 집중형, 중앙형의 3가지 형상의 가상유역으로 선정하여 다양한 지속기간의 강우량을 적용하였으며, 간선저류지의 설치위치는 전체 유역면적에 대한 저류지 상류부 면적의 비(저류지 상류부 면적비, DUAR ; Dimensionless Upstream Area Ratio)를 20%, 40%, 60%, 80%로 변화시키면서 강우의 시간적 분포에 따른 간선저류지의 매개변수 분석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