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치분포

Search Result 4,351,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Comparison of Optimal Placement for Actuator and Shaker (구동기와 가진기의 최적 위치 결정법)

  • 노현석;박영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a
    • /
    • pp.264-269
    • /
    • 1995
  • 유연계의 제어기 설계를 위한 구동기의 최적 위치 선정법이 제시되었다. 위치 후보의 적합성을 파악하기 위해 초기 외란의 조정에 필요한 최소 입력 에너지와 관련된 모드 가제어도가 정의 되었는데 이는 구동기를 모든 후보 위치에 설치한 이상적 제어기의 성능에 대한 특정 후보 위치의 상대적 성능을 나타낸다. 모드 가제어도로 구성된 목적 함수를 이용해 구동기를 위한 최적 위치의 선정이 가능하였으며, 목적 함수의 절대적 크기를 통해 사용된 구동기의 수의 적절성 역시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시스템 규명을 위한 가진기의 위치 선정 방법이 제시되었으며, 이를 위해 모드 가제어도에 상대되는 모드 가진도가 정의 되었다. 모드 가진도는 정상 상태에서의 특정 모드로의 입력 에너지의 통계적 분포를 나타낸다. 수학적 유도 과정을 통해 제어 시간이 충분히 큰 경우 모드 가제어도가 모드 가진도로 수렴해 감을 보였으며, 이로부터 제어시간이 충분한 경우, 최적의 구동기 위치는 최적의 가진기 위치로도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Detecting and Correction Errors of Positioning Data Using The Speed (속도를 이용한 위치 측정 오류 검출 및 교정)

  • Lee, Jun-Seok;Song, Ha 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356-359
    • /
    • 2014
  • 스마트 모바일 기기 즉,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LBS)가 각광 받고 있는 가운데, 사용자 관점에서의 위치 측정에 대한 오류를 검출과 위치를 교정하는 서비스가 필요로 하게 되었다.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의 방법을 예로 들어 GPS 신호를 수신하는 기기에서의 위치 측정 오류 감지는 어려운 실정이고 약간 더 정밀하게 측정하는 방법뿐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논문에서는 GPS 수신기와 같은 사용자 관점에서 위치 데이터들의 속도를 계산하여 속도의 변화량을 이용해 multipath와 같은 위치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고 교정한 결과에 대해 다룬다. 단순 속도의 변화량이 아닌 인간의 이동 속도가 지수 확률 분포를 따른다는 사실을 기반하여 이동 윈도우(Moving Window)의 개념을 도입해 매 윈도우마다 한계 속도를 결정하고 한계 속도 이상의 속도가 발생하였을 때를 위치 오류라 검출 할 것이다.

Detection Range Improvement of Radiation Sensor for Radiation Contamination Distribution Imaging (방사선 오염분포 영상화를 위한 방사선 센서의 탐지 범위 개선에 관한 연구)

  • Song, Keun-Young;Hwang, Young-Gwan;Lee, Nam-Ho;Na, Jun-He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3 no.12
    • /
    • pp.1535-1541
    • /
    • 2019
  • To carry out safe and rapid decontamination in radiological accident areas, acquisition of various information on radiation sources is needed. In particular, to figure out the location and distribution of radiation sources is essential for rapid follow-up and removal of contaminants as well as minimizing worker damage. The radiation distribution detection device is used to obtain the position and distribution information of the radiation source. In the case of a radiation distribution detection device, a detection sensor unit is generally composed of a single sensor, and the detection range is limited due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ingle sensor. We applied a calibration detector for controlling the detection sensitivity of a single sensor for radiation detection and improved the limited detection range of radiation dose rate. Also, gamma irradiation test confirmed the improvement of radiation distribution detection range.

Parallel clustering technology for real-time LWIR band image processing (실시간 LWIR 밴드 영상 처리를 위한 병렬 클러스터링 기술)

  • Cho, Yongjin;Lee, Kyou-seung;Hong, Seongha;Oh, Jong-woo;Lee, D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58-158
    • /
    • 2017
  • 비닐포장 하부에 위치한 콩의 생장 초기에 발생한 초엽을 인식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중이다. 선행 연구에서 비닐포장에 접촉한 콩 초엽으로 인해 비닐포장 상부 표면의 열 반응 분포에 변화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현장에서 주행 중에 콩 초엽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연동된 선형 또는 회전형 엑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정확한 위치에 천공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계측 시스템과 제어 시스템간의 시간적 차이를 최소할 수 있는 실시간 신호 처리 기술이 필수적이다. 선행 연구에서 사용한 다중 IR 센서의 분해능은 $16{\times}4pixel$이며 주파수는 3 Hz로, 폭이 30cm 내외인 비닐포장 상부의 정밀 분석에 한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분해능과 계측 주기를 개선할 수 있는 초소형 ($1cm{\times}1cm{\times}1cm$) 열화상 센서를 이용하였다. LWIR(Longwave infrared)영역에 해당하는 $8{\mu}m{\sim}14{\mu}m$의 영역에서 $0.05^{\circ}C$의 분해능을 보이는 $ Lepton^{TM}$ (500-0690-00, FLIR, Goleta, CA)모델을 사용하였다. 프레임당 $80{\times}60$ 픽셀의 정보가 2 Byte의 단위로 계측이 되며 9 Hz의 주파수로 대상면의 열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 초당 정보 전송량은 86,400 Byte ($80{\times}60{\times}2{\times}9$)이며, 1 m를 진행하는 주행형 천공기에 적용할 경우 1 프레임당 10cm 정도의 면적을 측정하므로, 최대 위치 판정 분해능은 약 10 cm / 60 pixel = 0.17 cm/pixel로 상대적으로 정밀한 위치 판별이 가능하다. $80{\times}60{\times}2Byet$의 정보를 0.1초 이내에 분석해야 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천공 작업기에 적합한 상용 SBC(Single board computer)의 클럭 속도(1 Ghz)로 처리 가능한 공간 분포 분석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전체 이미지 도메인을 한 번에 분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공간정보 행렬을 균등히 배분하고 별도의 프로세서에서 Feature를 분석한 후 개별 프로세서의 결과를 경합식으로 판정하는 기술을 연구하였다. 오픈 소스인 MPICH(www.mpich.org)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개발한 신호 분석 프로그램을 클러스터링으로 연동된 개별 코어에 설치/수행 하였다. 2D 행렬인 열분포 정보를 공간적으로 균등 분배하여 개별 코어에서 행렬의 Spatial domain analysis를 수행하였다. $20{\times}20$의 클러스터링 단위를 이용할 경우 총 12개의 코어가 필요하였으며, 초당 10회의 연산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병렬 클러스터링 기술을 이용하여 1m/s 내외의 주행 속도에 대응이 가능한 비닐포장 상부 열 분포 분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강원도 정선 임계면지역의 카르스트지형 연구

  • 김주욱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6 no.7
    • /
    • pp.28-31
    • /
    • 1981
  • 본역의 Karst Terrain은 태백산맥 준령의 서록상에 위치하여 있으므로 한반도에 분포하는 Karst Terrain 중 고도가 가장 높은 것이다. 그 해발고도는 700m 내외이다. 백복령(833m) 생계령(826m) 자병산(871m) 등은 본역의 태백산맥 준령상에 있다. Karst Terrain이 분포하는 태백산맥 준령의 서측은 완만한 경사의 지형을 이루나 그의 동측은 급경사를 이루어 Karst 제현상의 형성과 발달과정에 매우 특이한 양상을 보여준다.(중략)

  • PDF

비중심 카이제곱분포의 동결성검정

  • 황형태;오희정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5 no.1
    • /
    • pp.217-223
    • /
    • 1998
  • 공통의 자유도를 갖는 $textsc{k}$개의 비중심 카이제곱분포들의 동질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우선 적당한 형태의 검정방법을 제시하였다. 통상적인 방법대로, 제시된 검정방법이 주어진 유의수준을 만족시키도록 하기 위해서는, 귀무가설하에서 제 1종의 오류의 확률을 최대화하는 모수의 최소 우호적 위치(Least favorable configuration)가 유도되었으며, 이에 따라서 주어진 유의수준을 충족하는 기각치를 도표화하였다.

  • PDF

반복이 없는 이원배치에서 분포의 동일성 검정에 대한 비모수적 검정법

  • 이기훈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4 no.3
    • /
    • pp.765-774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반복이 없는 이원배치에서 교호작용의 존재를 가정하고 처리수준간의 모집단 분포의 동일성을 검정하는 비모수적 검정법을 제안하였다. 검정통계량의 구성을 위하여 순위벡터를 그 구조의 형태별로 정리한 순위위치벡터를 제안하고, 이의 특성과 응용가능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모의 검정력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비모수적 방법이 갖는 약점과 제안한 통계량의 우수함을 실증하였다.

  • PDF

Relocation of Youngduk Offshore Micro-earthquakes (영덕 앞바다 미소지진 발생위치 재결정)

  • Kim, Kwang-Hee;Ryoo, Yong-Gyu;Yu, Chan-Ho;Kang, Su-Young;Kim, Han-Joo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14 no.4
    • /
    • pp.267-273
    • /
    • 2011
  • A cluster of micro-earthquakes in the transition zone between the continental and oceanic crust in the East Sea was relocated using the Joint Hypocenter Determination (JHD) method.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available earthquakes and to take advantage of the high detection capability of the Korea National Seismic Network (KNSN), continuously recorded seismic data were reviewed to identify 56 micro-earthquakes occurring in a 20 km ${\times}$ 20 km region. The initial earthquake hypocenters were determined using a routine single event location method. Single event locations do not reveal any significant structures in the study area. After relocating the earthquake hypocenters using the JHD technique, the earthquakes were clustered and four potential faults responsible for earthquake generation in the subsurface were delineated. They are defined by two sub-vertical and two steeply south-dipping seismicities located next to each other.

A Study on Stochastic Simulation Models to Internally Validate Analytical Error of a Point and a Line Segment (포인트와 라인 세그먼트의 해석적 에러 검증을 위한 확률기반 시뮬레이션 모델에 관한 연구)

  • Hong, Sung Chul;Joo, Yong Ji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1 no.2
    • /
    • pp.45-54
    • /
    • 2013
  • Analytical and simulation error models have the ability to describe (or realize) error-corrupted versions of spatial data. But the different approaches for modeling positional errors require an internal validation that ascertains whether the analytical and simulation error models predict correct positional errors in a defined set of conditions. This paper presents stochastic simulation models of a point and a line segm ent to be validated w ith analytical error models, which are an error ellipse and an error band model, respectively. The simulation error models populate positional errors by the Monte Carlo simulation, according to an assumed error distribution prescribed by given parameters of a variance-covariance matrix. In the validation process, a set of positional errors by the simulation models is compared to a theoretical description by the analytical error models.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imulation models realize positional uncertainties of the same spatial data according to a defined level of positional quality.

Frequency Analysis of Rainfall Data Using Advanced GEV Distribution (개선된 GEV 분포를 이용한 강우량 빈도분석)

  • Lee, Kil-Seong;Kang, Won-Gu;Park, Kyung-Shin;Sung, Ji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321-1326
    • /
    • 2009
  • 강우는 수자원 확보 측면에서 근원이 되는 요소이다. 그러므로 정확한 확률강우량 산정은 미래의 가용 수자원량을 예측하는데 있어 중요한 사항중 하나이며 무엇보다 신중한 결정이 요구된다. 또한 하천의 범람에 의한 침수를 예방하는 수공구조물 등의 설계에 있어서는 신뢰할 수 있는 확률강우량 산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우리나라 극치강우확률분포로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GEV 분포(GEV-O)를 기반으로 위치 매개변수에 시간의 함수를 고려한 개선된 GEV 분포(GEV-A)를 이용하여 서울지점에 적용함으로서 GEV-O 분포에 의한 확률강우량과 GEV-A 분포로 산정된 확률강우량을 비교 검토하였다. 먼저 임의의 난수 발생을 통해 최우도추정법과 확률가중모멘트법으로 매개변수를 추정한 GEV-O 분포와 최우도추정법으로 매개변수를 추정한 GEV-A 분포의 상대평균제곱근오차 (R-RMSE)를 계산하여 비교함으로서 GEV-A 분포의 효율성을 판단하였다. 사례연구는 1961년부터 2008년까지 서울강우관측소에서 측정된 연최대 1일 강우량으로 하였으며 $X^2$-검정, PPCC-검정으로 적합도 검정을 실시하였다. 강우빈도분석 결과 GEV-A 분포가 GEV-O 분포로 산정된 결과 보다 대체로 재현기간 200년 이상일 경우, 과다 산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추후 개선된 GEV 분포를 서울 인근 지점에 적용함으로서 지역빈도해석(Regional Frequency Analysis)을 실행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확률홍수량 산정 등에도 개선된 GEV 분포를 이용함으로서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확률수문량을 예측하여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