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치데이터

Search Result 5,105,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Indoor Localization for Mobile Robot using Extended Kalman Filter (확장 칼만 필터를 이용한 로봇의 실내위치측정)

  • Kim, Jung-Min;Kim, Youn-Tae;Kim, Sung-Sh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8 no.5
    • /
    • pp.706-711
    • /
    • 2008
  • This paper is presented an accurate localization scheme for mobile robots based on the fusion of ultrasonic satellite (U-SAT) with inertial navigation system (INS), i.e., sensor fusion. Our aim is to achieve enough accuracy less than 100 mm. The INS consist of a yaw gyro, two wheel-encoders. And the U-SAT consist of four transmitters, a receiver. Besides the localization method in this paper fuse these in an extended Kalman filter. The performance of the localization is verified by simulation and two actual data(straight, curve) gathered from about 0.5 m/s of driving actual driving data. localization methods used are general sensor fusion and sensor fusion through Kalman filter using data from INS. Through the simulation and actual data studies, the experiment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for autonomous mobile robots.

WSN Data Visualiz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을 통한 WSN 데이터 가시화)

  • Park, Jin-Gwan;Jung, Min-A;Kim, Kyoung-Ho;Lee, Seong-R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0 no.12
    • /
    • pp.107-116
    • /
    • 2013
  • We proposed the WSN monitoring system applied the augmented reality to visualize effectively an indoor WSN. To implement system, we used wireless sensor network, indoor location determination,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First, we composed the wireless sensor networks indoors and implement web server and then get data from server DB using Android phones. Then, we obtained the (x, y) coordinates using the triangulation method from RSSI of three point of the strongest signal strength of the AP's. Also, we adjusted coordinates using the Kalman filter. Finally, we inserted the adjusted coordinates to the latitude and the longitude of the Mixare that use the GPS signal, and we got location of user and wireless sensor in the server DB. After that, we implemented 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the android phone and wireless sensor location and data and real life image.

Sink-Initiated Geographic Multicasting Protocol for Mobile Sink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 망에서 이동 싱크를 위한 위치기반 멀티캐스팅 프로토콜)

  • Lee, Jeong-Cheol;Park, Ho-Sung;Oh, Seung-Min;Jung, Ju-Hyun;Yim, Yong-Bin;Kim, Sang-Ha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5 no.4A
    • /
    • pp.377-385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Ink-initiated geographic Multicast (SIM) protocol to reduce frequent location updates from mobile sinks to a source and to achieve fast multicast tree construction and data delivery. The proposed protocol allows sinks to construct their own data delivery paths to a source node and a multicast tree to be atomically constructed by merging the paths. Then, the source forwards data to the destinations down the multicast tree. This paper also propose a round-based virtual infrastructure with a radial shape for increasing the merging probability of data delivery paths and reducing reconstruction ratio of the multicast tree due to mobility of sink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protocol is superior to previous SOurce-initiated geographic Multicast (SOM) protocols in term of average data delivery delay and average energy consumption.

Near-field Data Exchange by Motion Recognition of mobile phone (모바일 폰의 모션 인식에 의한 근거리 데이터 교환)

  • Hwang, Tae-won;Seo, Jung-hee;Park, Hung-b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05a
    • /
    • pp.800-801
    • /
    • 2017
  • Location-based services (LBS) ar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emergency support, navigation, location, traffic routes, information gathering, and entertainment due to the rapid growth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mobile phones. In general, locations are represented by coordinates and are related to terrain. These are of great interest in mobile-based data transmission.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exchange the contact of the other party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mobile phone of the individual user based on the location-based service. The proposed method extracts motion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of the mobile phone and transmits the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to the server when the motion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Attempts to establish a connection between users who are experiencing motion in mobile phones in the short distance have been made from the server. On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users is made, the encrypted contact is received from the serve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exchange data by minimizing the processing in the handset compared with the existing method.

  • PDF

An Analysis of Vertical Position Accuracy for the Three-Dimensional Spatial Data Object Utilizing the Public Information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3차원 공간정보 객체의 수직위치 정확도 분석)

  • Kim, Jeong Taek;Yi, Su Hyun;Kim, Jong Il;Bae, Sang 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2 no.3
    • /
    • pp.137-143
    • /
    • 2014
  • Recently, as new paradigm for government operation called government 3.0, government is actively operating policy opening and sharing public data. In addition, the Ministry of Land are operating an open platform integrated map service (the VWorld) which provides a variety of video contents such as the country's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traffic information and three-dimensional building for the public. According to W3C Foundation's Open Data Status Report(2013), our country has the evaluated results that the part of the government's policy support and planning is good while the part of the data management is vulnerable. So our country needs the quality improvement for the data management. In addition, a digital aerial photograph image data is required to be up-to-date for the three-dimensional spatial object data.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method for enhancement of the accuracy of vertical position and for maintainment of up-to-date vertical position. Our methods evaluate the data quality and analyze the cause of error of measurement utilizing the national standard quality assessment method. The result of research shows that the accuracy of vertical position is improved if the height of the building captain is adjusted by the quality assessment values and a three-dimensional model has up-to-date data if reconstruction and extension information of construction register is utilized.

Lighting Source Estimation from Real World Illumination for Realistic Shadowing (사실적인 shadow 표현을 위한 HDR 영상 기반 광원 추정)

  • Yoo, Jae-Doug;Dachuri, Naveen;Kim, Kang-Yeon;Lee, Kwan-H.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277-128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배경과 오브젝트 합성 시 사실적인 그림자 효과를 표현하기 위해 HDR 영상을 기반으로 한 소수의 방향성 광원을 추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실 세계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HDR 영상을 가시화 하기 위해 톤 맵핑(tone mapping)하여 그 영상으로부터 광원의 위치가 되는 밝은 영역들을 찾아내고 그 위치들로부터 방향성 광원을 추정한다. 카메라의 노출시간을 짧게 하여 촬영한 영상에서 나타나는 부분을 실제 광원이 위치하는 부분으로 볼 수 있으므로 톤 맵핑한 영상을 이미지 프로세싱을 거쳐 노출 시간을 짧게 하여 촬영한 영상과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후 밝은 영역만 표현 되도록 한다. 전 처리를 거친 영상을 기반으로 밝은 영역을 추정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광원의 위치 추정이 가능하며, 추정된 밝은 영역과 일치하는 HDR 영상의 데이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광원의 위치와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추정된 광원은 실제 렌더링에 곧바로 사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사실적인 shadowing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PDF

Acoustic Noise Measurement for the wind turbine blade by usig time-domain beamforming (시간영역 빔포밍을 사용한 풍력터빈 축소모델 소음원 측정)

  • Cho, Tae-Hwan;Kim, Cheol-W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508-511
    • /
    • 2009
  • 풍력터빈 블레이드에서 발생하는 공력소음원의 위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사용하여 소음원 풍동시험을 수행하였다. 풍동시험은 KARI 중형 아음속풍동에서 수행되었으며, 소음원의 위치파악을 위해 시간영역 회전체 빔포밍기법을 사용하였다. 기존 시간영역 회전체 빔포밍 기법의 경우 시험데이터 해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나, 본 논문에서는 원통형 좌표계에서 회전각 격자간격과 해석기간 간격 사이의 상관조건을 도입하여 데이터 해석시간을 기존 방법 대비 1/5로 단축하였다. 시험결과 나타난 주파수에 따른 블레이드 공력소음원의 위치 특성은 2kHz 이하 대역에서는 블레이드 반경 80% 부근에 주소음원이 위치하며, 4kHz 이상 대역에서는 블레이드 끝단 부근에 주 소음원이 위치하고 있다.

  • PDF

위치기반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에 관한 연구

  • Lim, Ji-yong;Heo, Sung-uk;Oh, Am-suk;Kim, Gwa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05a
    • /
    • pp.352-354
    • /
    • 2015
  • 사물인터넷(IoT)은 각종 사물에 센서 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로 초고속 이동통신, 고감도 센서, 빅 데이터 처리 등 3대 핵심기술의 발전과 저가격화로 사물인터넷 시대가 가시화되고 있다. 그리고 근거리 위치 인식과 통신기술을 이용해 각종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비콘 기술은 사물인터넷 시대에 온 오프라인 서비스 융합을 가능하게 할 핵심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비콘을 활용한 위치기반서비스는 비콘이 데이터를 송신하고 스마트기기가 수신해 상품정보, 쿠폰 발행 등의 마케팅을 위한 수단으로만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콘을 활용한 위치기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버와의 연동으로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제안한다.

  • PDF

KSRBL 데이터 위치감지 분석

  • HwangBo, Jeong-Eun;Park, Seong-Hong;Bong, Su-Chan;Lee, Dae-Yeong;Park, Yeong-Deu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31.2-131.2
    • /
    • 2012
  • 태양전파폭발위치감지기(KSRBL)는 단일 안테나 전파분광기로써 미 뉴저지공과대학과의 협력으로 2009년 8월에 한국천문연구원에 개발 설치되었다. 1 MHz 스펙트럼 분해능과 1초의 시간 분해능을 가지고 있고 관측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은 245, 410 MHz 와 0.5-18 GHz에 이르는 광대역이다. 또한 태양 전면 태양 폭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전파 관측은 LabVIEW와 IDL 프로그램에 의해 미리 짜여진 관측 스케줄에 따라 매일 자동으로 진행된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필요한 플럭스, 안테나, 전파 이득에 대한 눈금조정 작업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2009년 설치이후 지금까지 12개의 이벤트를 관측하였고 그 중 5개의 이벤트를 가지고 관측된 스펙트럼의 모듈레이션 패턴을 분석하여 태양면상에서 전파 폭발의 위치 값을 구했다. Solar Dynamics Observatory(SDO) AIA 이미지와 비교해 KSRBL의 위치감지 성능을 분석하였다.

  • PDF

A Status Analysis of Location Disclosure Tweet of Disaster Information using Social Bigdata Monitoring (소셜 빅데이터 모니터링을 통한 재난정보 위치공개 트윗 현황 분석)

  • Lee, Bo-Ram;Bae, Byungl-Gul;Choi, Seo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900-901
    • /
    • 2014
  • 최근 정보처리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생산되는 종합정보의 처리를 용이하게 하였으며 광역적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와 같은 기술의 발전을 재난관리에 적극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는 국내외의 여러 사례들을 통해 그 필요성이 입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개발한 실시간 소셜 빅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인 '소셜빅보드(Social Big Board)'를 활용하여 대상 기간 동안의 지역별 위치공개 트윗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전체 재난 안전관련 트윗 중 위치정보공개 트윗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 하였으며 그 결과, 분석기간에 따른 전체 트윗과 지역별 위치정보공개 트윗은 재난상황의 발생과 피해규모에 따라 발생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재난 안전과 관련된 위치정보공개 트윗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수행을 통해 신뢰성 있는 재난 대응체계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