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치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earch Result 55, Processing Time 0.057 seconds

Ad hoc network Security Mechanism for Secure Data Sharing in Mobile Social Network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에서 안전한 데이터 공유를 위한 애드혹 네트워크 보안 메커니즘)

  • Kim, Ga-Rin;Hong, Choong-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d
    • /
    • pp.363-365
    • /
    • 2012
  • 최근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는 사용자의 인맥을 관리하며 새로운 인맥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사용자들이 자신의 관심사에 관한 지식이나 정보를 공개함으로써 정보의 효율성을 높이고 다른 사용자들에게 정보를 전파한다. 하지만 현재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새로운 인맥을 형성하는 것보다 실제 사회에서의 인맥을 가상의 공간에서도 유지하고 관리하여 실제로 만나지 않더라도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되어 소셜 네트워크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특정한 공간의 동일한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 간의 제한적 정보 공유는 소셜 네트워의 단점을 보안하고 궁극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특정 관심사를 기반으로 그룹을 생성함으로써 정보의 신뢰도를 높이며 새로운 인맥을 형성에도 효과적 일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네트워크는 모바일 환경의 특징으로 인해 빠르게 변화할 수 있으며 위치를 기반으로 특정 공간의 다른 사용자들과 통신함으로 완전히 새로운 인맥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안전하게 신뢰관계를 구축하기위해 사용자의 평판 관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네트워크에서 동일한 관심사를 가진 폐쇄적 정보공유에서의 악의적 노드의 고립을 위한 평판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Tour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Context Awareness (상황인식 기반의 관광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응용)

  • Jang, Min-seok;Kim, Su-gyum;Choi, Jeong-pil;Sung, In-tae;Oh, Young-jun;Shim, Jang-sup;Lee, Kang-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573-576
    • /
    • 2014
  • In this paper, it provides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context-aware for tourism. For this the service requires Anthropomorphic natural process. The service object need to provide the function analyzing, storing and processing user action. In this paper, it provides an algorithm to analysis with personalized context aware for users. Providing service is an algorithm providing social network, helped by 'Friend recommendation algorithm' which to make relations and 'Attraction recommendation algorithm' which to recommend somewhere significant. Especially when guide is used, server analysis history and location of users to provide optimal travel path, named 'Travel path recommendation algorithm'. Such as this tourism social network technology can provide more user friendly service. This proposed tour guide system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a wider vary application services.

  • PDF

GPS-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Social Network Environment (소셜 네트워크 환경에서 GPS기반 증강현실 시스템)

  • Yang, Seung-Eui;Jieg, Jiu;Jung, Hoe-Ky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3
    • /
    • pp.762-767
    • /
    • 2013
  • Recently, researches on augmented reality(AR) are actively being conducted, and on addition of AR in social network system has become a necessity. In this paper, we propose GPS-based AR system for social network. This proposed system adds the recent check-in coordinates by automatically synchronizing a friend list in facebook and represents those added location coordinates in a real-world environment by using AR. Marker-based AR system that was commonly used by existing users consumes too much storage space and processing frequency for driving handle devices. But, location-based AR application can solves the disvantages of the standard marker=based AR system. Therefore, this proposed system allows an user with iOS hand devices to use GPS-based AR system by automatically searching the optimal speed for wifi and 4G. This will improve social network servic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 with Community and Retrieval based on Smart phone (스마트폰기반 커뮤니티 및 검색기능을 갖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설계 및 구현)

  • Lee, Won Chang;Moon, Hyung Man;Kang, Hee Seong;Kang, Hyu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395-398
    • /
    • 2010
  • 최근들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시스템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아울러 스마트폰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들도 나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커뮤니티 및 검색을 바탕으로 스마트폰 기기에서 이동 중에 사용자의 이용성과 편의성을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SNS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커뮤니티 서비스, RSS 뉴스 서비스, 블로그 서비스, 위치 및 약속 서비스, 친구관리 및 채팅 서비스, 검색 서비스 등 다양한 내용을 서비스 할 수 있는 웹기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서비스는 모바일을 통한 커뮤니티 및 친구간의 약속 및 메신저 기능 등의 SNS을 제공한다. 아울러 기본적으로 날씨, 뉴스, 사전 및 정보검색 등의 편리한 기능을 제공한다.

Time and Space Modeling Method for Social Services (소셜 서비스를 위한 시공간 모델링 방안)

  • Lee, Seung-Hee;Park, Young-Ho;Park, Hwa-Ji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1 no.4
    • /
    • pp.571-578
    • /
    • 2010
  • Recently, many social networking services using mobile devices are spread. Also, many studies based on location and time are increasing. However, existing studies have been difficult to resolve queries by place, time, and events. In the paper, we propose time and space modeling method for social services. We propose Human Activity Graph and Quad Relation Factors through time, place, event, and social activity of users, and we design the database scheme for data collect and analysis.

A Study on the receptivity to Social Computing in International Trade (국제무역의 소셜 컴퓨팅 수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Lim, Jae-Wook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3 no.3
    • /
    • pp.55-74
    • /
    • 2011
  • Web Service applications based on the social relation such as Social Network Service(SNS), Social Medias are making strong blast. Social Computing which is widely spreading to worldwide is affecting to our life including policies, economies, societies and culture. Based on Web 2.0, various services like as Social Collaboration, Social Publishing, Social Feedback are supplied, more evolved social computing services, Social Connection, Augmented Reality, will be served for the next days from now. These network based services, Social Network Service or Social Media frequently used terms, are not defined exactly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not gotten to the bottom yet. Theoretical and systematic studies on these themes are not made also. Applications to business area, especially the receptivity to social computing in international trade is barely made to these days.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sorts of social computing and purposes to consider its possibilities of application of social computing to international trade. Considering the advantage of Social network service, it can be used in international trade, a kind of B2B transaction, while existing social network is mainly applied to B2e transaction.

  • PDF

GPS-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Social Network Proposition (소셜 네트워크를 위한 GPS기반 증강현실 시스템 제안)

  • Liu, Jie;Jin, Seong-geun;Lee, Seong-Ok;Jung, Hoe-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10a
    • /
    • pp.903-905
    • /
    • 2012
  • Recent research on Augmented Reality is Actively expand and Augmented reality feature added to the social network system (Social Network System) has become a necessity. In this paper, GPS-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Social Network is introduced, is proposed. This system can add recent check-in friends in facebook by automatically to synchronizing the location coordinate, and it could also adding location coordinates system is represented in a real-world environment by AR, is Marker-based AR system that was Commonly used AR system is a huge cost by handheld devices in processing and storage space, the disadvantages of the marker-based AR systems can be solved by using Location-based AR applications. Therefore, the proposed GPS-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Social Network, automatically searches for the optimal speed for Wifi and 4G network to iOS Hand AR system was desired in future.

  • PDF

기획: SNS 활용한 디지털 인쇄사업 세미나 - 한국후지제록스 SNS를 활용한 디지털인쇄사업 세미나

  • 대한인쇄문화협회
    • 프린팅코리아
    • /
    • v.10 no.7
    • /
    • pp.108-111
    • /
    • 2011
  • 한국후지제록스(대표 정광은)는 지난 6월 1일 서울 중구 정동에 위치한 한국후지제록스 본사 쇼룸에서 고객들을 대상으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활용한 디지털 인쇄 사업'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소셜미디어 PR전문업체인 소셜링크 이중대 대표가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라는 주제로 쇼셜 미디어의 의미, 출판업계 등 기업의 소셜 미디어 활용 현황, 쇼셜 미디어를 기반으로 개인 브랜딩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을 발표했다. 이어 SNS를 사업에 활용하고 있는 인쇄 업체의 실제 사례로 박진만 마음커뮤니케이션 대표가 뉴미디어 환경에서 소비자들과 소통하는 방법, 마케팅 접근법 등을 소개했다.

  • PDF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in Smart Mobile Environment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서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지능형 감시 시스템)

  • Baek, Sun-Jae;Lee, Dae-Sung;Moon, Mi-K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0.10a
    • /
    • pp.677-680
    • /
    • 2010
  • 스마트폰의 빠른 보급으로 위치기반 서비스 (Location Based Service)가 새롭게 주목 받고 있다. 위치기반 서비스는 이동통신망이나 위성항법장치 (GPS) 등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에게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현재 위치기반 서비스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증강현실,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단순 정보뿐만 아니라 복합 상황정보를 이용한 안전 및 사고예방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휴대성과 이동성의 장점을 가진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서 위치기반 서비스를 통해 상황정보를 제공하는 지능형 감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시스템은 감시대상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의 GPS를 이용하여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고, 기울기 및 압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감시대상자의 상태정보를 획득 한다. 또한 이러한 위치 데이터와 센싱 데이터를 지도 OpenAPI, 날씨 OpenAPI, 안전/위험지역 설정 등의 기능과 결합하여 지능적 복합 상황정보로 표현한다. 이러한 기능들을 안드로이드 기반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함으로써 감시자 또한 모바일 환경에서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감시자는 이동하면서 원거리에 있는 감시대상자의 실시간 이동경로와 복합 상황정보를 확인하고 알림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통해 아동 범죄, 노약자 보호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NS-linked Location based Mobile AR Systems using OpenAPI on Android (안드로이드 기반 OpenAPI를 이용한 SNS 연동 지역정보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Kim, Cheong-Ghil;Chung, Ji-Mo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9 no.2
    • /
    • pp.131-140
    • /
    • 2011
  • As the recent advances in network and wireless communications and semiconductor design and process technologies, our computing platform is rapidly shifting from desktop PCs to mobile devices such as UMPC (Ultra Mobile PC), Tablet PC, and Smartphone. Especially, wide-spreading Smartphones allow a new field of application based on location based services available with an user interface called augmented reality (AR). Therefore, this paper introduces an implementation of AR using various OpenAPls on Android Smartphones. In order to utilize enrich user data in real time, the system integrates with location based social network services also with OpenAPI. These APIs enable third-party developers to make use of rich contents of many portal web sites. The prototype was implemented on the real Android phone, Sky Sirius, and the result shows that it can provide an efficient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AR technology without any constraints on mobile devices; in addition, it connects SNS to AR for sharing user data including photos, videos, and messages based on a specific l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