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치결정 특성

검색결과 1,084건 처리시간 0.031초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나노-가속도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ano-Accelerometer based on Carbon Nanotube)

  • 송영진;이준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91-95
    • /
    • 2009
  • 나노튜브를 기반으로 한 용량성 나노 가속도계에 대한 특성을 고전적인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외부에서 공급된 힘을 이용하여 나노튜브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었고, 해당하는 위치에 의한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통하여 피드백 센싱을 할 수 있었다. 에너지 소모 측면을 고려하면, 나노 가속도계의 진동 특성은 초기 변위와는 무관하였으며, 이러한 측정 시스템은 진동하는 커패시턴스를 추적하여 가속도를 결정하고, 이것은 또한 공급된 힘과 용량성 힘, 반데르발스 힘, 결합력, 반발력과 같은 힘들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공기베어링 스테이지의 이송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ositioning Characteristic of Aerostatic Stage)

  • 황주호;박천홍;송창규;김중천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68-671
    • /
    • 2000
  • An aerostatic stage has frictionless behavior, so it has a advantage of investigation into driven mechanism such as ballscrew. In this paper, fur investigating positioning characteristic of ballscrew and feedback device in aerostatic stage, we compare the positioning characteristic between full-closed(laser scale) and semi-closed(encoder) system.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erostatic stage has a 10nm micro step response and repeatability is improved up to 1.00${\mu}{\textrm}{m}$ using laser scale. We confirm the laser scale compensate error motion of ballscrew, so acquire 1.12${\mu}{\textrm}{m}$ positioning accuracy.

  • PDF

쿼터니언을 이용한 반자동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Semi-automatic Camera Calibration Using Quaternions)

  • 김의명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43-50
    • /
    • 2018
  •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3차원 위치결정에서 카메라는 핵심적인 요소이며 이러한 카메라의 내부적인 특성을 제대로 결정하는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작업은 대상물의 3차원 좌표를 결정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체크보드의 크기와 형태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반자동으로 카메라의 내부표정요소를 결정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론은 쿼터니언을 이용한 외부표정요소 추정, 캘리브레이션 타겟의 인식, 번들블록조정을 통한 내부표정요소 매개변수 결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체스보드 형태의 캘리브레이션 타겟을 이용하여 내부표정요소를 결정한 후 소규모 3차원 모형에 대한 3차원 위치를 결정하였으며 검사점을 이용한 정확도 평가를 통해서 수평위치와 수직위치 오차는 각각 약 ${\pm}0.006m$${\pm}0.007m$를 얻을 수 있었다.

다 기준 의사결정을 이용한 상황인지 기반 Ontology추론시스템 (Context Aware based Ontology inference system using mu1ti-criteria decision)

  • 이재길;주용진;박수홍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5-67
    • /
    • 2010
  • 위치기반서비스(LBS)는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다양한 정보제공 서비스를 하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단순한 정보제공이 아닌 사용자의 상황인식(Context-Aware)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지능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연구들은 사용자의 기본정보와 선호도정보를 이용한 단일기준 추론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해주고 있으며, 이것은 사용자의 다양한 기준의 의사결정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정보, 선호도, 공간지리선호도 정보 Ontology를 구축하고, 의사 결정 기준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Cost Value Ontology를 구축하여, 다 기준 의사추론을 통해 사용자에게 적절한 추천 결과가 도출되는 Ontology 추론시스템을 제안한다. 사용자들의 개인적인 특성 지식과 공간지리 선호도 지식을 구축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구축된 지식 기반 하에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추론을 통하여 이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의 선호도 Ontology를 구축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추론을 통하여 사용자의 현재상황에 적합한 결과를 도출함을 보였다.

  • PDF

Excel을 이용한 마이크로 흐름센서의 열전달 해석 (Thermal Transfer Analysis of Micro Flow Sensor Based on Excel)

  • 김태용;정완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251-254
    • /
    • 2006
  • 마이크로 흐름센서는 종래의 반도체 집적회로 공정기술을 이용하여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빠른 응답특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어 다양한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넓은 흐름의 세기영역에서 정밀한 감도를 가지는 2차원 마이크로 흐름센서를 실리콘 기판위에 설계하여 왔다. 이러한 흐름센서의 정확한 온도특성을 분석하고 이 결과로부터 최적을 온도 감지막 위치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설계방법으로서 표계산 소프트웨어 Excel을 이용하여 열운송방정식의 차분 방정식을 매크로 기능을 이용하여 적용하고 워크시트 내에서 셀 참조방식을 활용하여 자동 계산을 수행하도록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Excel을 활용한 효율적인 설계방법을 제시하고 하나의 히터와 양측에 한 쌍의 온도 감지막을 가진 마이크로 흐름센서에 대해서 열전달 특성을 계산하고 이로부터 최적을 온도 감지막 위치를 결정할 수 있었다.

  • PDF

글로벌 생산경영을 위한 효과적인 협력.조정 메커니즘의 결정요인 (Determinants of Effective Coordination Mechanisms for Global Operations)

  • 김보원;이경진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3-196
    • /
    • 1998
  • 효율적인 글로벌 생산경영은 각국에 위치한 생산시설을 통제·운영(control)해야 하는 글로벌 기업(다국적기업)에게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각 나라에 위치한 생산시설은 글로벌기업의 생산네트워크를 구성하는데, 효율적인 글로벌 생산경영을 위해서는 이러한 글로벌 생산네트워크가 최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글로벌기업은 협력·조정 메커니즘(coordination mechanism)을 통하여 이를 달성할 수 있다. 글로벌 협력·조정 메커니즘(global coordination mechanism)이란 글로벌 기업의 본사와 해외자회사 모두의 생산활동에 상호 영향을 미치는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서로 협력하고 조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조직적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의 하나이다. 이는 협력·조정의 영역, 방법, 구조 등 세가지 기본 틀을 살펴봄으로써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기본 전제이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 글로벌기업의 본사와 해외 자회사간 협력·조정 활동을 분석하여, 해외 자회사의 생산성과를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협력·조정 메커니즘의 결정요소를 파악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검증한다. (1) 산업의 특성은 협력·조정 메커니즘과 글로벌 생산성과 간의 상호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2) 글로벌기업의 특성(예를 들어, 기업의 글로벌화 정도, 규모)은 협력·조정 메커니즘과 글로벌 생산성과 간의 상호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3) 산업과 기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협력·조정 메커니즘의 구성요소 (협력·조정 영역, 방법, 및 구조) 간의 적합성(fit)이 이루어졌을 때 글로벌 생산성과는 가장 높다.

  • PDF

One-link 탄성 ARM 선단의 위치제어 -병진 운동의 경우-

  • 유기호;이성철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6-52
    • /
    • 1990
  • 위치결정 정도의 향상과 robot arm의 경량화및 운동의 고속화의 요구에따라 비교적 가벼운 중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하중을 다룰수 있으며 고속 동작도 가능한 우연성있는 robot arm의 동장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ballscrew system으로 구성되어 병진운동을 하는 탄성 arm 선단의 위치를 제어하는 이론적인 해석을 하고, 실제의 실험장치를 통하여 선단의 위치를 제어 하므로써 system의 제어특성을 찾고자 한다.

카메라의 원근감을 적용한 케이블의 동특성 추출

  • 여금수;김병화;김수진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8-39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의 원근감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모드형상을 추출하는 과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을 검증하기 위해 디지털 카메라와 캠코더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서 동일 화면을 동시에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사진 변환프로그램을 통해서 초당 30프레임으로 영상이미지를 추출해 낸다. 추출된 좌.우 영상이미지의 영상좌표를 이용하여 케이블에 부착된 표적의 3차원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디지털 카메라와 캠코더간의 위치 및 자세는 제안된 종속적 상호표정 방법을 통하여 결정한다. 결정된 케이블의 시간이력으로부터 고유진동수과 감쇠비는 다중 템플릿 매칭 알고리즘(multi-template matching algorithm)기법으로 추출하고, 모드형상은 TDD(Time Domain Decomposition)기법을 통하여 추출한다.

  • PDF

GPS와 GPS/GLONASS의 측위수행 능력 비교 (The Capability Comparison of Positioning Performances using GPS and GPS/GLONASS)

  • 박운용;이인수;김진수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9-66
    • /
    • 2001
  • GPS/GLONASS 결합을 통해 위성의 가시성, 정확성, 그리고 이용성 등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두 시스템 결합에서 시간계 차이, 좌표계 차이, 그리고 GLONASS의 상이한 주파수에 의해 결합 반송파 주파수에서 반송파 미지정수 결정에 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독위치결정에서 GPS/GLONASS 결합에 의한 위치결정 정확도를 평가하고, GPS/GLONASS 결합에 의한 위성의 가시성과와 위성신호 수신고도각에 따른 자료획득율을 검토함으로써 GPS/GLONASS 결합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방향성을 고려한 위치 관리 기법 (A Location Management Scheme using Direction Characteristics of Mobile Terminal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 김태수;송의성;한연희;황종선;길준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0권1호
    • /
    • pp.48-64
    • /
    • 2003
  • 최근 이동 단말 사용자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 사용자의 위치 추적을 위한 위치 관리가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전의 위치 관기 기법들은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한 고려 없이 정적인 이동 정보만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기법들은 불필요한 페이징을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위치 관리 비용을 증가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단말 사용사의 이동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위치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사용자의 이동성을 표현하는 방향 벡터를 정의하고 위치 등록이 발생한 셀로부터의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 방향 벡터를 사용된다. 또한 방향 벡터의 상쇄 연산에 의해서 위치 등록의 수행 여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동 방향 특성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 영역이 동적으로 생성되며 페이징 영역의 폭도 동적으로 결정된다. 게다가,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기법의 분석 모델을 제시한다. 비교를 위해서 거리 기반 기법을 또한 분석하였다. 수치적 분석 결과는 매우 낮은 CMR의 경우를 제외한 대부분의 경우에서 거리-기반 기법보다 효율적임을 보여준다. 특히, 사용자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제안하는 기법은 거리-기반 기법보다 낮은 위치 관리 비용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