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치결정정도

Search Result 451,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마찰구동기구에 의한 초정밀위치 결정

  • 신영재;최대봉;이득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10a
    • /
    • pp.159-163
    • /
    • 2001
  • 마찰구동은 다른 구동방식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기계적인 정도를 얻기 쉬우며, 백래쉬 등에 기인하는 비선형 요소인 로스트모션이 없고 관성이 작아 구동력이 작은 이점이 있다. 그 반면에 접촉부에서 미끄럼이 발생하여 큰 구동력을 얻기 어렵고 마찰저항에 의하여 마멸이 생기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정밀가공기용 위치결정기구로 마찰구동기구를 사용하기 위하여 위치 결정도에 관한 설계, 구동력의 설계 및 재료의 선택에 관하 여 분석하고 시작품을 제작하여 특성을 연구하였다.

Optical Properties of $I^B-AI-VI^B_2$$I^B-AI-VI^B_2 :Co^{2+}$ Crystals ($I^B-AI-VI^B_2$$I^B-AI-VI^B_2 :Co^{2+}$결정의 광학적 특성연구)

  • 김화택;김창대;윤창선;진문석;최성휴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4 no.3
    • /
    • pp.334-341
    • /
    • 1995
  • IB-AI-VIB2 및 IB-AI-VIB2 :Co2+ 결정을 고순도 원소를 출발 물질로 하고 iodine을 수송 매체로 사용하여 chemical transport reaction method로 성장시켰다. 성장된 결정의 결정구조는 chalcopyrite 구조였으며, energy gap은 direct band gap으로 3.514~1.814 eV 정도로 주어졌으며, cobalt를 불순물로 첨가할 때 energy gap은 감소하였다. IB-AI-VIB2 :Co2+ 결정에서 첨가된 cobalt가 모체결정의 Td symmetry site에 Co2+ ion으로 위치하여, Co2+ ion의 energy 준위 사이의 전자전이에 기인하는 불순물 광흡수 peaks가 나타났다. 이 불순물 광흡수 peaks에 결정장 이론을 적용하여 구산 1st-order spin-orbit coupling parameter(λ)는 -183~ -189cm-1정도였고, 2nd-order spin-orbit coupling parameter(P)는 225~239 cm-1정도였으며, crystal field parameter(Dq)는 328~395cm-1, Racah parameter(B)는 531~552cm-1정도였다.

  • PDF

A Study on Measurement of Linear Cycle Plane Positioning Accuracy of NC Lathe (NC선반의 직선 사이클 평면 위치결정 정도 측정에 관한 연구)

  • 김영석;송인석;정정표;한지희;윤원주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achine Tool Engineers
    • /
    • v.12 no.2
    • /
    • pp.53-58
    • /
    • 2003
  • It is very important to measure linear cycle plane positioning accuracy of NC lathe as it effects all other parts of machines machined by them in industries. If the plane positioning accuracy of NC lathe is bad, the dimension accuracy and the change-ability of works will be bad in the assembly of machine parts. In this paper, computer software systems are organized to measure linear cycle plane positioning displacement of ATC(Automatic tool changer) on zx plane of NC lathe using two linear scales. And each sets of error data obtained from the test is descriptions to plots and the results of linear cycle plane positioning errors are expressed as nutriments by computer treatment.

태양풍 동압력 증가에 의한 밤 지역 극관의 위도 상 위치 변화

  • Jo, Jun-Sik;Lee, Dae-Yeong;Kim, Gyeong-Chan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0.04a
    • /
    • pp.41.2-41.2
    • /
    • 2010
  • 태양풍 동압력은 지구 자기장에 부딪히면서 많은 영향을 준다. 여기서 우리는 태양풍 동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밤 지역 극관의 위도 상 위치 변화에 대해 관심이 있다. 동압력 증가 이전과 이후의 극관의위치를결정하기위해 DMSP(Defense Meteorological Satellite Program) 위성이 관측한 하강 입자 자료를 사용하였고 이로부터 산출된 b5e parameter 값을 통해 극관의 위치를 결정하였다. 특히 IMF의 각 성분 별 방향과 크기에 대한 조건이 극관의 위치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동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극관의 위치가 고위도로 올라 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극관의 크기가 수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IMF Bz가 북쪽 방향(northward IMF Bz)인 경우와 남쪽 방향(southward IMF Bz)인 경우에 따라 극관이 이동하는 정도에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통계적으로 볼 때 극관의 위도상 위치가 상당히 분산되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즉, 가능한 극관의 위도 분포가 매우 넓은 영역에 걸쳐 있음을 말한다. 이러한 분산 현상은 극관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여러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다중기준국을 이용한 육상교통 환경에서 항법위성 궤도력에 따른 위치결정 성능향상 분석 연구

  • Park, Jae-Ik;Lee, Eun-Seong;Gang, U-Yong;Han, Ji-Ae;Kim, Hyeon-Su;Heo, Mun-Beom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1.04a
    • /
    • pp.25.5-26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기반의 다중기준국을 이용하여 육상교통환경에서 항법위성의 궤도력에 따른 위치결정 성능향상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위성항법보정시스템(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을 활용하였을 경우 항법위성의 궤도력 오차정보가 소거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방송궤도력이 아닌 International GNSS Service(IGS) 정밀궤도력중 신속궤도력(Ultra-Rapid)을 이용하여 궤도력 오차에 따라 위치결정 정확도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위성항법보정시스템을 활용한 위치결정 방법은 기준국과 사용자의 거리에 따라서 그 성능이 달라진다. 이는 궤도 오차, 대류층 및 전리층 오차 등이 거리에 의존적이기 때문이다. 다중기준국을 활용하는 방법은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소거되지 않는 오차등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이며 사용자 주변을 둘러싼 기준국들의 측정값을 조합하여 보상을 하거나 정확하게 모델링하여 사용자에게 오차정보를 보정정보로 전송하여 위치결정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분석된 결과는 네트워크 기반의 다중기준국 환경에서 사용자와 기준국간의 거리에 따른 공간이격 오차정보 보정정보 생성 연구에 활용하며 이를 통해 육상교통 사용자의 위치결정 정확도 성능을 향상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Coarse and Fine Positioning Apparatus (조미등 위치결정기구에 관한 연구)

  • 오보석;오용훈;오성민;박환규;김재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b
    • /
    • pp.251-255
    • /
    • 1995
  • 정밀위치결정 기구는 정밀가공기, 계측기기, 반도체 제조장치등의 각종산업기기에 있어 중요 장치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반도체 회로의 고정밀화, 고집적화, 가공기의 고정도화와 함께 위치결정기구의 기술은 매년 엄격해지고 있다. 현재는 0.1 -0.01 .$\mu$ m의 정도가 요구되고 있어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고정밀 미동제어 위치결정 제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고정도와 함께 대스트로크(Stroke)를 가지며, 동시에 고속동작의 실현이필요하다. 따라서 이런 여러 성능을 만족시키는 것은 고부가가치 산업에 있어 매우 중요한 조건 중의 하나이다.

  • PDF

The Improvement Plan of Parcel Coordinate Decide by Scale Change Suveying (축척변경측량에 의한 일필지 좌표결정의 개선방안)

  • 김감래;라용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7-44
    • /
    • 2001
  • 지적도는 모든 지도중 가장 큰 대축척 지도이며 토지에 대하여 필지별로 지번, 위치 및 경계 등 소유권의 범위를 등록하는 것으로서 국민의 기본권리인 토지에 대한 소유권과 그 이용을 보장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도형자료인 현재의 지적도는 1910년 토지조사사업에 의하여 실제 토지필지를 1/1,200로 축소하여 도면에 등록한 도해지적으로 제도오차, 축척오차, 신축오차, 도곽접합 등의 기술적인 오차와 측량을 할 때마다 각기 측량사에 따라 개인오차의 누적으로 성과결정에 있어서 차질을 가져다주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지적재조사사업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함으로 그 이전에라도 축척변경사업을 통하여 새로운 지적체계로서 토지이용상태에 따라 토지의 경계를 수치좌표로 등록하는 수치지적체계로 전환하여 지적측량의 정확도와 정밀도를 높여 지적불부합지에 대한 민원을 해소함으로써 재산적 가치를 증대할 뿐만 아니라 국민의 소유권 보호 및 양질의 서비스 개선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지역의 지적도를 독취, 정도곽으로 보정하여 일필지를 공부상면적의 공차범위 이내로 조정한 후 현형도와 지적도를 조정(Orientation)하여 좌표를 저장하였다. 일필지 좌표결정 방법에는 CAD기능을 이용하여 컴퓨터의 모니터에서 지적도를 이동 및 회전함으로써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 모니터상에서 국부적으로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 및 디지타이져상에서 결정하여 모니터상에서 조정하는 방식있다. 현실적으로 국부적인 방법이 합리적이라고 생각되어 모니터상에서 조정(Orientation)하여 국부적으로 좌표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연구하고 성과를 비교,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지적도면은 토지조사사업 한지를 배접한 켄트지를 사용함으로써 종이의 신축으로 인하여 정도곽으로 보정을 하면 독취면적은 대부분 공부상면적보다 늘어났다. 2. 좌표의 이동량이 일률적이지 못하므로 기초점에 대한 문제라고 생각되며, 따라서 도해지적을 수치지적으로 전환함에 있어서 가장 우선되어야 할 사항이 기초점 정비라 하겠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mall Size Three-Axis Stacker Crane for Automatic Ware House (소형 자동차고용 3축 Stacker crane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J.Y.;Sim, J.K.;Kim, H.S.;Han, J.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2 no.8
    • /
    • pp.131-139
    • /
    • 1995
  • In this study, small size stacker Crane for automatic ware house and interface circuit is designed and manufactured. IBM-PC is used as a controller. At 50kg$_{f}$ load, optimal motion velocity is 20 mm/min for X and Y axis and 12 mm/min for Z axis. Position fesolution is 0.005 mm and repeatability is .+-. 0.025 mm. Through characteristic experiment, effectiveness of the designed and manufactured stacker crane. PC control program, and design of interface circuit and construction of control system are shown. From these results, the developed stacker crane can be apply to FMS(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and FA(Factory Automation) of industrial field.d.

  • PDF

Improvement of the Accuracy of Short Baseline Acoustic Positioning System (단기선 (SBL) 음향위치 시스템의 정도 개선)

  • 박해훈;윤갑동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 /
    • v.17 no.1
    • /
    • pp.99-105
    • /
    • 1993
  • Underwater acoustic positioning systems have been extensively used not only in surface position fixing but also in underwater position fixing. Recently, these systems have been applied in the field of installation and underwater inspection offshore platforms etc. But in these systems are included the fixing errors as results of a signal with noise and irregular motion of vessel by ocean waves. In this pap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position fixing a Kalman filter is applied to the short baseline(SBL) acoustic positioning system. The optimal position obtained by the Kalman filter is compared with the raw position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former is more accurate than the latter.

  • PDF

Machining Center의 2차원 원호절삭정도 자동진단 System의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정순;남궁석;제정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2.04a
    • /
    • pp.9-12
    • /
    • 1992
  • 지금까지 공작기계의 성능은 주로 기하학적 운동정도, 위치결정정도, 공작정도등의 시험 및 검사에의해 평가되어왔다. 그러나, 공작기계의 수치제어 System으로서의 평가는 충분히 행히지고있지 않았다. 원호절삭 정도시험으로서 Direct Test법은 공작물을 직접절삭하기 때문에공구나, 공작물의 영향을 받아서 공작기계의 운동정도만을 검사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직접 절삭하지않고 원호절삭 원동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Circular test법과 Double Ball Bar법이 개발 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술한 2가지 방법의 대체 방법으로 간단하고 값싸게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원호절삭 정도측정장치와 측정 system을 개발하여 이 측정기로측정한 원호형상과 Machining Center의 운동오차 요인과의 정량적으로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