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위축된 하악골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5초

하악 치조제가 심하게 흡수된 환자에서 중립대 인상을 통한 총의치 수복 증례 (The neutral zone approach for restoration of patient with severe mandibular ridge resorption: A case report)

  • 남궁철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15
    • /
    • 2023
  • 심하게 위축된 하악 치조제의 경우, 총의치의 통상적인 기능인상 과정을 통해서는 의치의 적절한 유지력과 안정성을 얻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환자에서는 중립대 인상기법을 사용하는 방식이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중립 영역은 근육 신경계의 정상적인 구강 기능 동안 입 바깥쪽으로 향하는 혀의 압력과 안쪽으로 향하는 뺨과 입술의 압력이 균형을 이루는 영역으로 정의됩니다. 중립 영역 인상을 통해 만들어진 총의치는 유지력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구치 부위에 적절한 혀 공간을 제공합니다. 또한 인공치아 주변 부위의 음식물 찌꺼기가 줄어들고 적절한 안면 지지대를 통해 미관이 개선됩니다.

저위교합환자의 보철적 접근법과 이론 : Pseudo Class III 교합환자 증례 (The prosthetic approach and principle for an collapsed VDO ; A clinical case of pseudo Class III patient)

  • 권긍록;최대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0권2호
    • /
    • pp.121-134
    • /
    • 2004
  • 진단과 치료과정을 통해서 후천적으로 습득된 부정교합을 가진 부분무치악자 성인에게서, 교합고경을 회복해 줌으로써 3급 부정교합 안모에서 정상교합상태의 안모와 기능을 부여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부분무치악자에서 치조골의 위축, 그리고 감소된 교합고경 인해 이루어진 부정교합자에게서 교합고경의 수복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적절한 안모의 심미는 대체로 interlabial gap이 약 0-2mm일 때 얻어진다. 이것과 함께, 제한된 입술 지지도(lip competence)가 교합고경 수복과 적절한 안모의 심미를 위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소개된 증례의 경우는, 7년 이상의 계속 관찰 결과, 성공적인 치료였다고 판단된다. 교합고경을 증가시킨 경우이긴 하지만, 사실은 원래의 정상 교합고경으로 회복 시켜주었다고 하는 것이 더욱 옳은 표현일 것 같다. 교합고경을 증가시키는 작업은 안모의 수복, 절치부의 외상성 교합을 수정하고 하악을 후퇴시키는데 매우 어렵고도 중요한 일이다. 최종적으로, 3급 부정교합이 수정되고, 적절한 교합고경을 가지게 되었으며, 위축된 구치 무치악부가 rigid support 개념으로 제작된 가철성 의치로 수복되었다. 부분 무치악부를 가진 후천적 부정교합자의 치료의 결과로 획득한 치아 및 안모의 심미와 이것의 장기간 안정성은 다음의 관계를 잘 고려함으로써 지속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 이상적인 교합고경에서의 교합수복, 2) 상,하악골 관계에서 기능적으로 유도되는 최종 교합의 허용, 3) lip competence (입술 적응) 한계 내에서 기능적으로 유도되는 최종교합.

교근 비대 환자에서 보툴리눔 A형 독소 주사 효과의 장기적 평가 (Long Term Evaluation of the Effect of Botulinum Toxin A Injection on the Masseteric)

  • 홍희숙;강승철;김종열;김성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1호
    • /
    • pp.121-129
    • /
    • 2005
  • 실험 대상자는 좌우측 교근에 보툴리눔 A 형 독소를 주입한 후 15개월 간 추적 조사가 시행된 11명이었다. 지원자들은 양측 교근에 보툴리눔 A형 독소를 주입하기 전, 주입 후 3개월, 주입 후 15개월 경과 후 각각 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하여 교근의 위축 정도를 관찰하였다. 측정은 하악골 하연을 기준면으로 하여 이 기준면의 상방 10 mm(position 1), 20 mm(position 2), 40 mm(position 3)의 세 위치에서 각각 두께와 면적을 측정하였다. 자입 지점은 position 1에 가장 근접했다. 먼저 교근의 두께 변화를 살펴보면 술후 3개월에 측정한 교근의 두께는 모든 position에서 감소하였으나 술후 15개월에는 술전과 비교할 때 유의한 두께 감소는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술후 3개월에 측정한 교근의 면적은 모든 position에서 감소하였으나 술후 15개월 경과 후에는 독소 주입 위치에서 가까운 position 1, 2에서는 면적 감소를 인정할 수 있었으나(position 1에서 10.7%, position 2에서 4.4%) 상대적으로 먼 position 3 에서는 면적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보아 독소 주입 15개월 후에도 약간의 교근 위축 효과가 남아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위축량의 측정 시 일차원적인 두께 측정보다는 이차원적인 면적 측정이 더 정밀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우 송아지의 이두이안체 (Derodidymus in Korean-Native Calf)

  • 강문일;박영석;한동운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9-73
    • /
    • 1999
  • 머리와 목이 두 개인 이두이경체인 한우 송아지를 해부학적으로 관찰하였다. 이 한우 기형 송아지의 외형적 특정은 2 개의 완전한 머리와 목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두 개의 경부는 흉강에서 유합되어 한 개의 몸통을 이루고 있었다. 두 개의 두부는 우측의 두부가 좌측의 두부에 비해 크기가 작고 상악과 하악의 비틀림이 심하게 나타나는 편측성 하악골 형성부전을 보였다. 두 개의 경부는 비슷한 길이로 흉부에서 유합되어 있었으며 2 개의 두부와 경부 외에 흉근 내부에 유착되어져 있는 흉골이 1 쌍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전지골격은 외부에 노출된 1 쌍의 완전한 골격과 매몰되어 있는 비교적 완전한 l 쌍의 전지골격외에 견갑부가 소실되고 상완골이 불완전한 l 쌍의 불완전한 전지 골격구조가 흉근과 늑골 사이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나 기형적 전지와는 달리 후지는 정상적인 1 쌍의 다리만 보이었다. 경추의 부분적인 유합과 흉추 전반부가 심한 유합으로 척추가 뒤틀려져 있었다. 두개골은 정상적으로 2개의 눈과 귀, 비공과 1개의 업을 가지고 있었으며, 좌측이 우측 두부에 비해 크기가 작았고 하악도 더 심히 뒤틀려져 있었다. 뇌실은 위축되어 대뇌가 작았다. 기관과 식도는 흉강에서 유합되어 1개의 폐와 위로 이어지고 있었다. 흉강내 장기와 복강내 장기는 대부분 정상적인 구조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대장의 직장 부분은 항문으로부터 5cm 떨어진 부분에 협착되어 있었으며 항문은 보이지 않았다.

  • PDF

임플란트 식립 수술시 하악지 자가골이식술의 임상적 활용 (CLINICAL USAGES OF RAMAL AUTOGENOUS BONE GRAFTS IN DENTAL IMPLANT SURGERY)

  • 김경원;이은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3호
    • /
    • pp.266-275
    • /
    • 2008
  • 저자들은 잔존 치조골의 흡수 및 위축으로 통상적인 임플란트 시술이 어려운 증례에서 하악골의 하악지에서 자가골을 채취하여 이를 증례에 따라 블록형 혹은 입자형으로 골 이식술을 시행하여 다양한 증례에 적용하여 비교적 만족할 만한 임플란트 식립 수술이 가능하였던 바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며,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술식의 임상적 활용에 대해서만 보고하였으나 향후 이러한 증례들에 대하여 보다 장기적인 추적조사와 골 이식된 부위의 골 조직의 재형성 식립된 임프란트의 보철적인 기능과 장기적인 예후에 대한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심하게 위축된 하악골의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의 수직 골신장술을 이용한 임플란트 치료 (IMPLANT INSTALLATION USING VERTICAL DISTRACTION OSTEOGENESIS AT A SEVERELY ATROPHIED EDENTULOUS MANDIBLE)

  • 염학렬;전승호;김윤태;팽준영;안강민;명훈;황순정;서병무;최진영;이종호;정필훈;김명진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8권2호
    • /
    • pp.154-165
    • /
    • 2006
  • Objectives : It is difficult to place implants at a severely atrophied edentulous mandible because of vertical and horizontal alveolar defect. The autogenous and allogenic bone graft and guided bone regeneration are useful, but there are some limitations such as the resorption and infection of the grafted bone, and insufficiency of soft tissue. Distraction osteogenesis has recently evolved a challenging technique to overcome major draws of conventional augmentation procedures, we, therefore, report the four applications of implant placement after vertical alveolar distraction osteogenesis. Patients and Methods : Four patients(all female, mean age: $60{\pm}6$ years) with severe alveolar ridge deficiencies at their anterior mandible were treated with vertical alveolar distraction osteogenesis by intraoral device(Track 1.5, 15 mm model, KLS Martin, Tuttlingen, Germany) and placement of implants (Branemark MK III, TiUnite). After the latency periods of 5, 7, 8 days, distraction rhythm and rate were $0.5\;mm{\times}2\;times/day$ in the case of good bone quality, and $0.25\;mm{\times}3\;times/day$ in the case of poor bone quality. After consolidation periods of mean fifteen weeks, five implants for each patients were placed at the interforaminal area. Results : On average, a vertical gain of $11.38{\pm}1.38\;mm$ was obtained by distraction. And all distraction zone showed complete ossification by panoramic radiography. There were n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ther than numbness of lower lip in one case. Total twenty implants in four patients were placed and their outcomes were satisfactory. Conclusion : It is a useful method to place five implants after vertical distraction osteogenesis of the severely atrophied mandible for the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