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임 기간

Search Result 1,385,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Time-Limited Forward-Secure Proxy Signature (유효 기간을 갖는 포워드-시큐어 대리 서명)

  • 김상희;조태남;이상호;채기준;박원주;나재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499-501
    • /
    • 2002
  • 대리 서명이란 원 서명자가 대리 서명자에게 서명 권한을 위임하여, 대리 서명자가 원 서명자를 대신해서 서명을 생성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리 서명자가 위임받은 권한은 유효 기간을 갖는다. 위임 정보에 위임 기간을 포함시키는 방법으로는 대리 서명자의 서명 생성 시간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유효 기간이 만료된 대리 서명자의 서명 위조를 막을 수 없고, 위임 기간 중에 대리 서명키가 노출되었을 경우 정당한 대리 서명자가 과거에 생성한 서명의 타당성을 보호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대리 서명의 보안 요구사항을 만족하면서도 원 서명자가 시간 관련 파라미터를 제어함으로써 위임 기간이 만료된 대리 서명자의 서명 위조를 막고, 서명키 노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포워드-시큐어 서명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A Time-limited Forward-secure Proxy Signature Scheme (유효 기간을 갖는 포워드-시큐어 대리 서명 방법)

  • 김상희;조태남;이상호;채기준;박운주;나재훈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30 no.4
    • /
    • pp.484-493
    • /
    • 2003
  • Proxy signature scheme is a cryptographic protocol that an original signer delegates her signing capability to a proxy signer, and then the proxy signer is able to create signatures on behalf of the original signer. In general, there is time-limit for which the signing capability of the proxy signer is valid. One of methods to limit the valid delegation time is to make public delegation information contain the expiration date of the delegation. however, in this method we cannot prevent the proxy signer from signing after the valid delegation is expired because no one knows the exact time when the proxy signer signed a message. The validity of the past legal signatures cannot be preserved in case that the proxy singer´s key is compromised during the delegation perio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cheme, time-limited forward-secure proxy signature protocol, which prevents the proxy singer from signing after the valid delegation is expired and which preserves the validity of the past legal signatures even if the signing key is compromised. The proposed scheme does not require the exact time-information by making an original signer control time-related parameters and satisfies the forward-security property in each update-period of the proxy signing key. The time-perio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characteristics or security policies.

A Modified Schnorr-based Proxy Signature Scheme By Using a Mediator (매개자를 이용한 변형된 Schnorr 기반의 대리서명 기법)

  • Seo Seung-Hyun;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211-213
    • /
    • 2005
  • 대리서명은 원서명자가 대리서명자에게 서명 권한을 위임하여 대신 서명하게 하는 변형된 전자서명이다. 대부분의 대리서명 기법들은 위임장에 유효한 위임 기간을 명시함으로써, 대리서명자의 서명 권한을 제한한다. 그러나 누구도 대리서명자가 서명을 생성한 정확한 시간을 모르기 때문에, 정해진 위임 기간 내에 올바로 서명 권한을 수행했는지에 대해서 검증할 방법이 없다. 따라서 위임장에 위임 기간을 표시해 놓는 것만으로는 대리서명자의 서명 권한을 제한할 수 없다. 또한 기존의 대리 서명 기법들의 경우, 대리 서명자가 악의적인 공격자와 결탁하여 서명 권한을 남용했을 때에도 원서명자가 대리서명자의 위임권한을 즉시 취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안 매개자를 이용한 변형된 Schnorr 기반의 대리서명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법은 원서명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대리서명자의 서명권한을 취소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존의 대리서명 기법들의 취약성을 효율적으로 개선하였다.

  • PDF

Seasonal Water level Management Method of Irrigation Dams (관개용 댐의 기간별 저수위 관리 기법)

  • Kim, Sun Joo;Kim, Phil Shik;Lee, Joo 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228-1232
    • /
    • 2004
  • 일반적으로 관개용 댐은 예비 방류기능이 부족하므로 저수지관리를 위한 수위 조절이 장시간에 걸쳐 계획적으로 이루어 져야한다. 본 연구는 성주유역을 내상으로 장기 물수지 분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관개용 댐의 기간별 적정 수위를 모의하였다. 현장에서 적용이 가능하도록 저수위 관리 기간을 4단계로 나누어 자기간의 관리 방법과 적정 수위를 제시하였다. 홍수기 전에는 수위를 낮추어 홍수를 대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홍수기 이후에는 이듬해 관개기 전까지 동계 만수위를 확보할 수 있는 수위와 연중 유지해야 하는 최저수위를 산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1998\~2002$년에 내하여 적용해본 길과, 관개기전 동계 만수위를 유지하였고, 물 부족 기간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2001년 가뭄과 2002년 태풍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었다.

  • PDF

ID-based Self-Delegation and its Applications (ID 기반 자기 위임 기법과 응용)

  • 이정연;천정희;조상래;진승헌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401-404
    • /
    • 2002
  • 자기 위임 기법은 사용자의 공인된 하나의 키 쌍을 이용하여 특정 기간이나 목적을 위한 세션키를 생성하여 사용하는 기법이다. 이는 공인키의 사용을 줄임으로서 공인키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키의 노출로 인한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ID 기반 인증 모델에서의 자기 위임 기법을 소개한다. 이 기법을 통한 세션키의 생성 및 사용은 CRL 관리가 없는 ID 기반 인증 모델에서 개인키의 유효기간을 충분히 길게 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모든 사용자의 개인키를 갱신하여야 하는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Proxy Signatures (I) - Part 1 : The Proxy Signatures for Partial Delegation with Warrant - (대리 서명방식에 관한 연구 (I) - 제1부 : 보증부분 위임에 의한 대리 서명방식 -)

  • 김승주;김준태;정윤정;원동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1997.11a
    • /
    • pp.26-33
    • /
    • 1997
  • Mambo, Usuda, Okamoto 등에 의하여 최초로 제안된 대리 서명방식은 원서명자가 지정한 대리 서명자가 원서명자를 대신하여 서명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대리 서명방식에서 발생하는 대리 서명자의 유효 위임 서명기간과 위임을 한 원서명자의 탈법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보증 부분 위임에 의한 대리 서명방식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식은 유효기간의 정보가 포함된 보증서를 해쉬 함수를 이용하여 대리 서명자에게 위임 정보로 제공하고 다시 대리 서명자는 원서명자로부터 받은 위임정보에 자신의 정보를 부가하여 대리 서명 생성 정보로 사용토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water level-flow rate relational curve according to the vegetation influence in the stream (하도 내 식생영향에 따른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의 변화)

  • Park, Jun Su;Ok, Young Jun;Lee, Ju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95-395
    • /
    • 2021
  •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평균 기온이 높아지고, 여름철에 집중된 강우 특성으로 인하여 하천의 하도와 하도내 식생영향에 따른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변동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도 내 식생과 하천의 흐름은 서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하도내 식생은 하천 흐름 특성에 핵심적인 요소로 볼 수 있다. 하도의 변동성은 단면 측량 등으로 확인 할 수 있으나, 하도내 식생은 주변 환경에 따라 매년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 유역에 위치한 전주시(서천교)관측소를 대상으로 2017년~2018년, 2020년의 하도 내 수중식생과 하안 영역의 식생 성장과 소멸 및 식생사주의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수위-유량관계 변화를 분석하였다. 2017년은 하도 내 식생의 성장과 소멸에 따라 저수위 구간에서 다수의 기간분리가 발생하였으며, 중수위 구간은 기간분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8년과 2020년은 하도 내 수중식생의 성장과 소멸로 인항 저수위 기간분리 이외의 하안영역의 식생 성장과 소멸에 따른 통수능 변동으로 인하여 중수위 기간분리가 추가로 발생하였고, 식생사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중수위 구간분리를 추가 검토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하도 내의 식생영향에 따른 유량측정성과를 확보하였으며 확보한 유량측정성 통한 신뢰도 높은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생산된 유량자료는 정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1989년 발생 군산항 극조위에 관한 소고

  • 강석구;염기대;소재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1.07a
    • /
    • pp.46-46
    • /
    • 1991
  • 1989년 9월 17일 군산항(내ㆍ외항)에서는 군산항검조소 설치후 가장 높은 조위치가 기록되었으며, 이때 군산내항 검조소의 조위는 784cm로서 이론적으로 계산한 200년 빈도 고극조위(769cm)보다도 14cm 더 높은 기록을 보였으며, 외항에서는 784cm의 조위를 기록하였다. 한편 1973-1987년 기간중 군산내항에서 관측된 고극조위는 751cm이며, 외항에서 1980-1986년 기간중 6년간의 고극조위는 755cm였다(1).(중략)

  • PDF

Comparing Methods for Determining Flood Protection Elevation in Urban Area using GIS (GIS를 이용한 도시지역 방어침수위 설정방법 비교분석)

  • Shin, Sang-Young;Lee, Ya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471-476
    • /
    • 2008
  • 도시지역의 침수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침수범위와 침수심을 예측하여 예상 침수심에 대응하기 위한 방어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한편 이러한 침수범위와 침수심을 예측하는 방법은 대상지역의 특성 및 지리적 여건 등에 따라 달라지며 가용자료에 따라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특성에 따른 침수대책의 기준이 되는 방어침수위 설정방법을 GIS 분석을 통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방어침수위 설정방법은 과거 침수실적을 이용하는 방법 인근하천의 계획홍수위를 연장하는 방법, 하천의 임계지속기간과 소유역의 임계지속기간에 대한 강우빈도별 시나리오 분석에 의한 내수침수를 모의하는 방법 등의 네가지 방법을 서울시 중랑천 연변의 장안배수분구에 해하여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인접하천의 계획홍수위를 단순연장하는 방법을 제외하고는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침수원인이 내수침수에 의한 지역일 경우에는 방어침수위로 침수실적자료를 이용한 과거 최대침수위를 적용하거나, 인근하천의 계획홍수량을 발생시키는 강우사상에 대한 내수침수 모의결과를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valuation of Meteorological Drought Through Severity of Daily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일단위 표준강수지수의 심도를 활용한 기상학적 가뭄 평가)

  • Kwon, Minsung;Jun, Kyung Soo;Hwang, Man Ha;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02-602
    • /
    • 2015
  • 가뭄에 대한 정의와 구분이 다양하게 존재하나 일반적으로 기상학적 가뭄으로부터 농업적 가뭄, 수문학적 가뭄, 사회경제학적 가뭄으로 전이되므로 강수량의 부족이 가뭄의 첫 번째 원인인 것은 자명하다. 최근까지 여러 가지 기상학적 가뭄지수가 개발되어 다양한 목적으로 세계 곳곳에서 활용되고 있으나, 그 중 적용사례가 가장 많은 것은 표준강수지수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이다. 월단위로 계산되어지는 SPI는 우리나라와 같이 강수의 변동성이 큰 지역에서는 그 활용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어 최근에는 일 단위 SPI를 산정하여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일단위 SPI는 가뭄기간 동안 가뭄단계가 'Extreme drought'에서 'Moderate drought'로 약해질 경우 가뭄 지속기간이 가장 긴 'Moderate drought' 단계에서 가뭄피해 및 체감하는 고통이 가장 클수 있어, 가뭄에 대응하거나 대국민 가뭄정보 전달에 한계가 있다. 가뭄에 대응하거나 가뭄정보 전달을 위해서는 가뭄이 지속되는 동안 가뭄단계가 높아질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뭄사상의 특성 중 가뭄의 강도(Intensity)와 지속기간(Duration)의 특성을 모두 포함하는 가뭄의 심도(Severity)를 활용하여 기상학적 가뭄을 평가하였다. 일단위 SPI 값(강도)을 가뭄기간동안 누적하여 일단위 가뭄심도(SPI-S)를 산정하고 이를 통해 가뭄단계를 제안하였다. 또한 다양한 SPI 대상기간에 대해 최솟값을 취하는 Blended SPI에 대해서도 같은 방법으로 가뭄심도(SPIB-S)를 산정하고 가뭄단계를 적용하였다. 2001년, 2008-2009년, 2012년 가뭄사례에 적용한 결과 SPI-S(or SPIB-S)는 가뭄기간동안 단계적인 가뭄단계의 상승으로 당시의 가뭄상황을 잘 나타내었다. 이는 SPI-S(or SPIB-S)가 단계적인 가뭄대비와 대응 지수로 가뭄피해 경감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가뭄상황을 지역민들에게 단계적, 일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가뭄극복을 위한 시민참여를 유도하기에 유리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