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위암재발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31초

pT1N3 위암 (pT1N3 Gastric Cancer)

  • 안대호;권성준;윤효영;송영진;목영재;한상욱;김욱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2호
    • /
    • pp.109-113
    • /
    • 2006
  • 목적: 위내시경의 보급으로 조기위암의 빈도가 증가하고 축소치료가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치료는 장점도 있으나 림프절 곽청의 측면에서 제한점이 있다. 림프절 전이를 동반하는 조기위암의 대부분은 UICC-TNM 분류의 N1 또는 N2이지만 드물게 N3의 보고도 있다. pT1N3 위암은 증례보고는 있지만 review논문은 없어서 특성을 이해하거나 치료방침을 세우기가 어렵고 UICC-TNM에서 4기로 예후가 나쁜 위암으로 분류되어 있으나 객관적인 증거는 없다. 저자들은 국내 6개 대학에서 9예의 pT1N3 위암 치험예를 모아서 문헌 고찰과 함께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분당차병원,한양의대,충북의대,고려의대 구로병원, 아주의대, 가톨릭의대 성가병원의 6개 병원에서 기간은 서로 다르지만 의무기록 분석이 가능하였던 기간동안 수술을 받았던 2,772예의 조기위암 중에서 UICC-TNM의 pT1N3 위암 9예를 분석하였다. 비교 대조군은 분당 차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210예의 조기위암 환자이다. 결과: 9예는 전체 조기 위암 2,772예의 0.32%이며 남자는 3명, 여자는 6명이었고 평균연령은 57세였다. 점막암이 2예, 점막하층암이 7예이고 전이된 림프절의 수는 18에서 52개로 평균 27개였다. 5예는 표층 팽창형으로 대조군에 비해서 많았고 종양의 크기도 N3군이 N0, N1, N2군보다 컸다. 7예에서 림프관 침윤이 있었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높았다. 1예는 대동맥주위 림프절 전이가 있어서 비치유 절제가 되었고 2예에서 조기재발이 있는 등 예후가 불량하였다. 결론: pT1N3 위암의 위험 인자로는 여성, 점막하층암, 종양의 크기, 림프관 침윤을 들 수 있다. pT1N3 위암의 존재는 조기위암의 축소 치료 시 주의를 요하며 예후가 불량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항암 보조 요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한 위암 관련 질의 및 설문조사 (Gastric-cancer-related Inquiries and Questionnaires through an Internet Homepage)

  • 안대호;신동우;정재호;형우진;최승호;노성훈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4권4호
    • /
    • pp.219-224
    • /
    • 2004
  • 목적: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 위암관련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이루어진 질의와 설문 조사를 통해 위암환자나 보호자들의 위암에 관한 정보 욕구와 관심사항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6월부터 2003년 9월까지 인터넷 홈페이지(www.gastriccancer.co,kr)에 문의된 619예의 질의와 2003년 8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시행된 설문에 응답한 524예의 위암 환자나 보호자들의 답변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결과: 질의 분석 619예의 질의를 내용에 따라 빈도순으로 분류해 보면 치료, 예후, 병기, 증상, 병태, 진단방법, 위암에 이로운 음식, 위암의 원인, 추적관리, 기타의 순이다. 치료에 관련된 질의 가운데 가장 높은 빈도는 수술 전후의 합병증이나 음식에 대한 내용이었고, 다음으로 항암 치료에 관련된 내용이 많았다. 수술 전 상황에서는 수술의 가능성과 예후에 관한 질문이 많았고, 수술 후 상황에서는 가능한 합병증과 예후에 관한 질문이 많았다.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나 재발 위암의 경우에는 말기치료나 항암치료에 대한 질문이 많았다. 설문 분석 위암 관련 정보의 습득경로는 인터넷을 통한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의사들의 설명에 만족하는 경우는 $6\%$에 불과하였고, 설문 응답자의 $89.9\%$는 민간요법이나 대체요법에 대해 관심을 나타내었으며 단지 $5\%$만이 관심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위암 환자와 가족들은 위암에 관련된 정보의 습득을 갈망하고 있으나 의사들의 설명은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다. 발달된 인터넷 통신매체를 통한 올바른 위암 관련 의료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환자들의 치료와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 PDF

장막침윤이 없는 위암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적 화학 요법에 대한 전향적 연구 -최종보고-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for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in Gastric Cancer without Serosal Invasion -Final Report-)

  • 김용진;김병식;김용호;육정환;오성태;박건춘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4권4호
    • /
    • pp.257-262
    • /
    • 2004
  • 목적: 장막침윤이 없는 위암환자에 있어서 수술 후 서로 다른 보조화학요법이 장기 생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0월부터 1998년 3월까지 만 15개월간 서울 아산병원 외과에서 근치적 위 절제를 시행한 환자 중, 장막침윤이 없는 3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수술 후 병기가 IA인 131예, 장막침윤이 있는 34예, 그리고 치료를 거부한 17예를 제외한 135명(1군: 5-FU+cisplatin 정주, 2군: mitomycin C정주+경구용5-FU, 3군: 경구용 5-FU)의 의무기록 분석과 전화추적을 실시하여 재발양상, 생존율, 및 위암관련 사망률을 각 군별로 분석하였다. 결과: 121명에서 추적이 가능해 $89.6\%$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재발은 1군 4명, 2군 7명, 그리고 3군 6명 이었으며, 세 군의 전체생존율은 1군 $89\%$, 2군 $84\%$, 그리고 3군은 $82\%$이고, 위암관련 사망환자만을 고려한 질병특이 생존율은 1군 $92\%$, 2군 $86\%$, 그리고 3군은 $88\%$로 나타나 이들 세 군간에 전체생존율 및 질병특이 생존율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전체생존율: P=0.6875, 질병특이 생존율: P=0.7120). 결론: 장막침윤이 없는 위암 환자에서, 치료효과를 향상 시키기 위해 보조요법을 시행할 경우 경구용 항암제를 이용한 방법이면 충분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이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보조요법을 시행치 않는 대조군을 포함한 대단위 무작위 연구가 필수적일 것이다.

  • PDF

위암 환자의 복강경 위절제술 후 발생한 그물막 경색의 임상적 의의 (Omental Infarction Following Laparoscopy-assisted Gastrectomy (LAG) for Gastric Cancer)

  • 김민찬;정갑중;오종영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0권1호
    • /
    • pp.13-18
    • /
    • 2010
  • 목적: 조기위암 환자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는 복강경 위 절제술은 큰그물막을 부분 절제함으로 그물막 경색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위암 환자의 복강경 위절제술 시행 후 발생한 그물막 경색의 임상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4월부터 2007년 11월까지 동아대학교 의료원 외과에서 병리조직검사에서 T2 이하의 환자로복강경 위절제술이 시행된 39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술 후 복부 단층 촬영 사진을 이용하여 그물막 경색을 진단하였다. 위암 데이터 베이스와 환자들의 차트를 이용하여 그물막 경색의 빈도, 발생 위치와 크기 및 증상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그물막 경색이 발생하지 않은 환자들의 임상 병리적 특징들과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390명 환자 중 그물막 경색은 9명에서 발생(2.3%)하였으며 평균 나이는 57.2세였고 9명 중 남자가 6명 여자가 3명이었다. 발생 부위는 상복부 정중과 좌 상복부가 각각 3명이었다. 임상 증상은 배꼽 주위와 좌 상복부에 비특이적인 복통이 각 1명에서 나타났으며 9명 모두 술 후 복막 전이와 감별이 가능하였다. 그물막 경색군의 환자는 비경색군에 비해 수술 전 높은 비만도를 나타내었고(P=0.0230) 위절제 범위에서 위전절제술이 많이 시행된 것으로 나타났다(P=0.0011). 결론: 위암 환자의 복강경 위절제술 후 발생하는 그물막경색은 일차성 그물막 경색들과는 상이한 임상적 특징을 가지며 복막 재발과는 복부 재발과는 복부 단층 촬영으로 구별될 수 있다. 향후 다기관 공동 연구를 통하여 보다 더 정확한 임상 양상이 규명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위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발생한 골 전이 (Bone Metastasis after a Curative Resection for Gastric Cancer)

  • 김진조;송교영;진형민;김욱;전해명;박조현;박승만;박우배;임근우;김승남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1호
    • /
    • pp.23-28
    • /
    • 2005
  • 목적: 위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발생하는 골 전이는 드물며 이에 대한 보고는 산발적인 증례보고에 머물고 있어 그 특징에 대해서는 잘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위암의 그치적 절제술 후 발생한 골 전이의 형태와 치료의 효과 그리고 예후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부터 2002년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강남성모병원과 성모자애병원에서 위암으로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 받은 후 골 전이가 확인된 29명의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조사하여 이들의 임상병리학적인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성비는 남자는 19명 여자는 10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3\pm12$세였다. 원발암의 병리학적 특징은 Borrmann 3,4형이 많았으며 미분화형이 많았고 병기는 주로 3,4형이 많았으며 미분화형이 많았고 병기는 주로 3,4기였다. 골 전이가 가장 많이 발생한 부위는 척추였고 그 다음으로 골반, 늑골 그리고 두개골의 순으로 나타났다. 재발 후 치료는 16예($55.2\%$)에서 시행하였다. 지발 후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생존기간의 중간값은 7개월($0\∼75$개월)로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들(2개월)에 비해 길었으나(P=0.019) 치료방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P=0.388). 결론: 위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발생하는 골 전이는 Borrmann 3,4형에서 미분화형에서 그리고 3,4기의 진행된 암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이들의 예후는 매우 불량하나, 재발에 대한 치료를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생존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길이라 사료된다.

  • PDF

진행성 위암 환자에서 복강 내 미세전이 진단을 위한 복강 세척액 $ThinPrep^{(R)}$ 세포진 굄사의 임상적 의의 (The Clinical Significance and Detection of Intraperitoneal Micrometastases by $ThinPrep^{(R)}$ Cytology with Peritoneal Lavage Fluid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 유춘근;박종익;민재석;진성호;박선후;방호윤;채기봉;이종인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4호
    • /
    • pp.189-197
    • /
    • 2008
  • 목적: 진행성 위암에서 복막 세포진 검사는 복강 내 미세전이를 진단하는 유용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외에서 액상세포검사를 사용한 복막 세포진 검사의 의의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수술 중 수집된 복막 세척액을 이용한 액상세포($ThinPrep^{(R)}$) 검사의 임상적 의의를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2001년부터 2006년까지 본원에서 위암 진단하에 수술 중 위장막의 침범 또는 노출이 의심되어 복막 세포진 검사를 시행 받은 424예의 진행성 위암 환자들의 임상 병리학적 자료와 세포진 검사 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복막 세포진 양성은 31%였으며, 복막 세포진 결과는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에서 T 병기, N 병기, P 병기와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3년 생존율은 복막 세포진 음성에서 68% 양성에서 26%였으며, 복막전이(P)와 복막 세포진(CY)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을 때 P0CY0 71%, P0CY1 39%, P1/2/3CY0 39%, 그리고 P1/2/3CY1 11%의 3년 생존율을 보였다. 그리고 단변량 및 다변량 생존분석 결과, 복막 세포진 결과가 성별, T 병기, N 병기, P 병기, 복막 외 원격 전이, 혈청 CEA와 함께 독립적인 예후 인자로 증명되었고, 또한 근치적 절제 군에서 복막 세포진 결과는 복막 재발의 위험 인자임이 밝혀졌다. 결론: 본 연구는 복막 세포진 검사가 복강 내 미세전이를 진단 할 수 있는 신뢰성 높은 진단 방법이며 진행성 위암에서 강력한 예후 인자이며 복막 재발의 위험 인자임을 증명하였다.

  • PDF

조기위암의 재발 (Recurrence of Early Gastric Cancer)

  • 안정식;방호윤;이종인;노우철;황대용;최동욱;백남선;문난모;최태인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권3호
    • /
    • pp.180-186
    • /
    • 2001
  • Purpose: The prognosis for early gastric cancer (EGC) is favorable, and the 10-year disease-specific survival rate is reported to be around $90\%$. The absolute number of recurred EGC is too small to assess the risk factors, so recruitment of a large number of cases for statistical analysis is very difficult. We carried out this study to analyze the incidence and the patterns of recurrence of EGC and to identify the clinicopathological risk factors for recurrence of EGC. Materials and Methods: The authors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follow-up records of 1418 patients who underwent a curative resection for EGC from Jan. 1984 to Dec. 1999 at the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and analyzed them with special reference to cancer recurrence. Results: In this retrospective study of 1418 cases, 43 patients died of a recurrence of gastric cancer, and 105 patients died of unrelated causes. The five-year and the ten-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89.6\%$ and $81.7\%$, respectively, while the five-year and the ten-year diseasespecific survival rates were $96.5\%$ and $94.3\%$, respectively. The recurrence patterns of the 45 recurred EGC were hematogenous metastasis (19 cases), lymph node (L/N) metastasis (8 cases), locoregional recurrence (2 cases), peritoneal seeding (3 cases), and combined form (13 cases). The mean time interval to recurrence was 38.6 months, and the number of delayed recurred cases after 5 years was 10 ($22.2\%$). Of the clinicopathologic factors, depth of invasion, L/N metastasis, macroscopic type, lymphatic invasion, and vessel invasion,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in the univariate analysis. However,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only L/N metastasis was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L/N metastasis is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Thus, in patients with node-positive disease, adjuvant therapy might be considered, and long-term close follow-up might facilitate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recurrent disease due to delayed recurrence.

  • PDF

재발한 위암의 진단에 사용된 FDG-PET의 유용성 (Usefulness of a FDG-PET Scan in Assessing Recurrent Gastric Cancer)

  • 이현국;이규언;김윤호;정재민;양한광;정준기;이건욱;최국진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권3호
    • /
    • pp.174-179
    • /
    • 2001
  • Purpose: For curative resection of recurrent gastric cancer, it is imperative that there be no unrecognized foci of tumoral disease outside the operation field. 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with FDG (18 fluoro-2 deoxy-D-glucose) is a whole-body imaging technique that exploits the increased rate of glycolysis in tumor cells to detect disease. The authors evaluated the usefulness of FDG-PET in assessing resectability of recurrent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Seven patients with recurrent gastric cancer were studied with FDG-PET from December 1998 to October 2000. All FDG-PET images were interpreted in conjunction with conventional diagnostic methods. All imaging results were correlated with the pathological diagnosis and clinical outcome. Results: A final diagnosis of recurrence was obtained at 14 sites in all 7 patients by histology or clinical follow up. Locoregional recurrence, including distant metastasis, developed in 6 of 7 patients and distant recurrence in only one. FDG-PET detected all recurrent sites (5 locoregional and 5 distant) in 5 patients without peritoneal recurrence, but did not detect peritoneal seeding in 2 patients with peritoneal recurrence. The accuracy of FDG-PET in estimating resectability was $71.4\%$ (5/7), and that of CT and PET together was $85.7\%$ (6/7). A curative resection could be performed in three of the recurrent patients (2 locoregional and 1 distant recurrence).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FDG-PET may be useful for detecting locoregional and distant recurrence of gastric cancer and for selecting appropriate treatment. However, considering that FDG-PET was limited in detecting peritoneal seeding and determining the exact anatomical extension of tumor, it should be used in conjunction with other anatomical images.

  • PDF

위암의 재발양상에 따른 혈관내피성장인자의 발현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Correlated with Recurrence in Gastric Carcinomas)

  • 성기영;박일영;이도상;김욱;백종민;신동준;원종만;이재학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권4호
    • /
    • pp.195-199
    • /
    • 2002
  • Purpose: Angiogenesis is essential for tumor growth and metastasis and depends on the production of angiogenic factors that are secreted by tumor cells.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s the most significant angiogenic factor and a selective mitogen for endothelial cells. VEGF, also known as the vascular permeability factor, acts on endothelial cells to increase microvascular permeability and directly stimulate the growth of new blood vessels.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 expression of VEGF is correlated with hematogenous recurrence via angiogenesis in gastric carcinomas. This research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ression of VEGF and hepatic and peritoneal recurrence in gastric carcinoma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specimens resected from patients with primary gastric carcinomas who had undergone curative resection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 Group I, early gastric carcinomas without recurrence; Group II, advanced gastric carcinomas with hepatic recurrence; and Group III, advanced gastric carcinomas with peritoneal recurrence. The expression of VEGF and the density of the microvessel count were examined using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1) The expression of VEGF in Group II and Group III ($63.2\pm\24.3\%$) was stronger than that in Group I ($7\pm\4.2\%$). The expression of VEGF in Group II ($76.5\pm\13.2\%$) was stronger than that of the Group III ($50\pm\14.2\%$) (P<0.05). 2) The microvessel count in Group II ($49.9\pm14.5$) was more than that in Group I ($8.6\pm2.6$) and Group III ($29.1\pm18.1$) (P<0.05). 3) The microvessel count wa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VEGF. Conclusions: The expression of VEGF is associated with advanced stomach cancer and hepatic recurrence has a higher expression of VEGF than peritoneal recurrence with neovascularization. Thus the expression of VEGF can be considered to be a useful indicator of recurrence in gastric carcinoma and especially in hepatic recurrence.

  • PDF

조기 위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재발예측인자 (Risk Factors for Recurrence after Curative Surgery for Early Gastric Cancer)

  • 신동우;형우진;노성훈;민진식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권2호
    • /
    • pp.106-112
    • /
    • 2001
  • Purpose: Even with excellent surgical outcome, recurrence of early gastric cancer (EGC) after a curative resection is not declining because the incidence of EGC is increas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 appropriate treatment strategy by assessing the risk factors for recurrence of curatively resected early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Of 3662 patients who had undergone gastric resections for gastric cancer from 1987 to 1996, the cases of 1050 curatively resected EGC patien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mong those 1050 patients, 50 patients ($4.8\%$) were diagnosed as having recurrent cancer, which was confirmed by clinico-radiological examination or re-operation. The risk factors that determined the recurrence patterns were investigated by using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Results: The mean time to recurrence was 30.9 months, and hematogenous recurrence was the most frequent type ($32.0\%$). Among the 50 recurred patients, peritoneal recurrence showed the shortest mean time to recurrence ($18.5\pm17.7$months). Between the recurred and the non-recurred patien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spect to age, sex, operation type, tumor size, tumor location, gross appearance, or histological differentiation. However, depth of invasion (submucosal invasion) and nodal involveme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01) between the two group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nodal involvement was the only significant risk factor for recurrence in early gastric cancer (P<0.001). The median survival after the recurrence had been diagnosed was 4 months. Conclusion: Although the prognosis for EGC patients is excellent and recurrence of EGC after a curative resection is rare, the time to recurrence and the patterns of recurrence in EGC patients were diverse and unpredictable, and the result after recurrence is dismal. Considering the impact of lymph node metastasis on recurrence of EGC, a systematic lymphadenectomy, rather than limited surgery, should be performed if lymph node involvement is confirmed pre- or intraoperatively. Also if the postoperative pathologic findings reveal lymph node involvement, adjuvant chemotherapy is recommend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