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성자료처리

Search Result 374,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Introduction to the Development status of Satellite Data Distribution System in KOSC (해양위성센터 위성자료분배시스템 개발 상황 소개)

  • Han, Hee-Jeong;Ahn, Yu-Hwan;Yang, Chan-Su;Han, Tai-Hyu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327-330
    • /
    • 2009
  • 해양위성센터는 2009년 발사예정인 통신해양기상위성(COMS)의 해양위성관측자료의 원활한 수신 및 분석자료의 생산, 관리, 분배를 담당하고 있다. 정지궤도해양위성 위성자료수신시스템을 비롯하여, 위성자료전처리시스템, 해양위성자료처리시스템, 자료관리시스템, 통합감시시스템등을 통해서 수신/처리하는 다양한 위성자료를 해양 연구자들이 쉽게 찾아 사용할 수 있도록 위성자료분배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위성자료의 활용성 증대 및 확산 유도를 위한 위성자료 DB 및 온라인 배포 사이트를 구축하며, 위성자료배포현황 관리를 위한 관리자 페이지도 운영할 계획이다.

  • PDF

A Conceptual Design of Integrated Receiving end for Multi-Satellite Mission Data Processing (다중위성 운영을 위한 통합 자료처리 시스템의 개념적 설계)

  • Bae, Hee-Jin;Chae, Tae-Byeong;Oh, Seung-Hyeub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5 no.2
    • /
    • pp.17-22
    • /
    • 2010
  • Establishment of systematic platform is needed for technological progress of receiving of satellite image data with high quality and processing system for product generation and operation related with direct receiving system for satellite from abroad. Besides, it's necessary to develop the integrated data processing system to prohibit similar functions on developing (or being developed) for KOMPSAT-3, KOMPSAT-5 and to operate system efficiently. Therefore, conceptual design of the integrated data processing system is performed considering commercialization of KOMPSAT(Korea Multi-Purpose Satellite) series based on KOMPSAT-2 IRPE on operation in this paper.

A Design of Component-based System Architecture for COMS Meteorological Data Processing (천리안위성 기상자료처리를 위한 컴포넌트 기반의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 Cho, Sanggyu;Kim, Byunggil;SaKong, Youngbo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9 no.1
    • /
    • pp.65-69
    • /
    • 2014
  • The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COMS) data processing system(CMDPS) has developed to support the meteorological observation and weather prediction by NMSC(National Meteorological Satellite Center) and it is generating the 16 kind of meteorological data(Level 2 product). Unfortunately, currently CMDPS has some problems in terms of the system maintenance and the integrated software efficiency, and the extension to support the next generation meteorological satellite data processing. To solve this problems,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extensible component-based system architecture for COMS meteorological data processing with consideration of identified issues. Proposed system is adapted the component-based frameworks with extensible architecture. We expects that this system will be provide easy ways to develop new satellite data processing algorithms and to maintain the system.

Application of Automatic Data Processing Method of MODIS Satellite Data for Drought System (MODIS 위성자료의 가뭄활용을 위한 자동 데이터 처리 기법에 관한 연구)

  • Lee, Seong Kyu;Shin, Yong Chul;Jang, Sang Min;Yoon, Sun Kwon;Park, Kyu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51-251
    • /
    • 2016
  • 인공위성을 이용한 가뭄연구에는 전지구적으로 운용되는 GPM (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위성, AQUA/TERRA 위성의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센서 등에서 수집된 관측 자료가 이용된다. 그러나 전지국적으로 관측된 위성 자료는 자료를 생산 제공하는 기관에 따라 자료의 파일포맷 (NetCDF, HDF5, GeoTIFF 등), 자료의 투영법 (projection) 등이 상이하다. 그러므로 가뭄연구에 다중위성자료를 활용하고자 하는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한 연구자는 자료의 표준화 (파일포맷과 투영변환 등) 과정으로 인해 원활한 연구수행이 어렵다. MODIS 위성자료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횡단메르카토르 도법 (Transverse Mercator Projection: TM) 대신 시뉴소이드 도법 (sinusoidal projection)을 이용한다. 그래서 미국 지질조사국은 MODIS 자료의 재투영(reprojection)을 위한 전용 소프트웨어인 MRT (MODIS Reprojection Tool)를 배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료/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시뉴소이드 도법이 적용된 MODIS 자료의 수집, 재투영, 파일포맷 변환 등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기법을 개발하여 가뭄활용에 이용하고자 하였으며, MODIS MOD09GA/MOD11A1 자료를 이용하여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 PDF

Data Processing System for the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천리안해양관측위성을 위한 자료 처리 시스템)

  • Yang, Hyun;Yoon, Suk;Han, Hee-Jeong;Heo, Jae-Moo;Park, Young-Je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v.23 no.1
    • /
    • pp.74-79
    • /
    • 2017
  • The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the world's first ocean color sensor operated in a geostationary orbit, can be utilized to mitigate damages by monitoring marine disasters in real time such as red tides, green algae, sargassum, cold pools, typhoons, and so on. In this paper, we described a methodology and procedure for processing GOCI data in order to maximize its utilization potential. The GOCI data processing procedure is divided into data reception, data processing, and data distribution. The kinds of GOCI data are classified as raw, level 1, and level 2. "Raw" refers to an unstructured data type immediately generated after reception by satellite communications. Level 1 is defined as a radiance data type of two dimensions, generated after radiometric and geometric corrections for raw data. Level 2 indicates an ocean color data type from level-1 data using ocean color algorithms.

기상청 위성자료의 처리 및 활용

  • Kim, Kum-Lan;Ahn, Myung-Hwan
    • Atmosphere
    • /
    • v.12 no.4
    • /
    • pp.43-55
    • /
    • 2002
  • 기상청의 위성기상업무는 위성자료를 취득하여 위성영상 및 기상분석정보를 생산하고, 예보관을 비롯한 자료 사용자들에게 자료를 신속하게 제공함으로써 체계적인 위성자료 활용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이다. 최근 외국의 우주개발 동향과 관련하여 활용 가능한 위성자료가 증가함에 따라 위성자료 활용시스템 개선을 추진해 왔으며, 2002년 현재 종래의 GMS, NOAA 이외에 Meteosat-5, FY-2B, FY-1C, Terra, QuickScat, DMSP, TRMM, SeaWiFS 등의 다양한 위성자료를 활용하고 있다. 예보현업에 대한 원격탐사자료 지원업무는 24시간 근무체계로 위성수신분석장비를 안정적으로 운영하면서 각종 위성정보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기상실황의 변화를 감시하고, 특히 전선, 저기압, 태풍에 동반된 구름의 변화상황, 황사의 발생 및 이동 등에 대한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 또한 위성자료의 보존관리 및 외부기관으로부터의 위성자료 요청에 대한 지원업무도 중요한 업무의 하나로 수행하고 있다. 위성정보 활용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GMS-5호 위성의 관측임무를 대체하게 될 GOES-9, MTSAT-1R 위성의 자료수신 및 활용체계 구축을 준비하고 있으며, Terra, Aqua와 같은 첨단 지구관측위성자료를 이용한 기상정보 산출기술의 개발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것이다.

Current status and future plan for using satellite data in water resource management of K-water (K-water의 수자원 분야 위성정보 활용현황 및 계획)

  • Choi, Sunghwa;Shin, Daeyun;Kim, Hyeonsik;Hwang, Eui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605-605
    • /
    • 2016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적 또는 대규모 극한 가뭄과 홍수가 빈발함에 따라 수자원 관리 여건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이런 물 관련 재해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수자원인자에 대한 시공간적 모니터링이 필수적인데, 이러한 관점에서 시공간적 광역관측이 가능한 위성자료의 활용가치는 매우 높게 평가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국내외적으로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수문 인자 산출, 가뭄 홍수 등의 모니터링 기술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K-water는 위성정보 활용기술력 축적을 통한 보다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하기 위하여 수자원 분야에 활용 가능한 해외의 주요 위성자료를 실시간 직수신 처리하여 표출하는 K-water 위성영상관리시스템(K-SIMS, K-water Satellite Image Management System)을 2015년에 구축하였다. 현재 K-SIMS를 통해 관리되는 위성은 AQUA, TERRA, NPP, GCOM-W, GPM로서 총 5개이다. AQUA, TERRA, NPP 위성은 각 궤도운영 스케쥴에 따라 한반도 상공을 통과하는 시각에 안테나가 위성의 궤도를 따라가며 수신하고, GCOM-W, GPM 위성자료는 FTP 접속를 통해 준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있다. 산출물은 AQUA, TERRA, NPP가 각각 23종, GCOM-W 9종, GPM 2종 등 총 80여종으로 위성원시자료 수신즉시 처리 표출까지 실시간 자동 수행되고 있으나 식생지수, 강수, 구름, 대기온도, 수증기 등 대부분 수문기상학적 변수들로 구성되어 있어 수자원 관리 현업 업무에는 직접 사용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따라서, 위성자료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수문해석에 중요한 변수인 토양수분에 대해서 AQUA, TERRA의 MODIS LST(Land Surface Temperature)와 식생지수(Vegetation Index)를 이용하여 SMI(Soil Moisture Index)를 산출하고 이를 K-SIMS에 표출하는 체계를 추가로 구축하여 현업 활용도가 높은 자료를 생산하고 있으며, 향후 위성자료를 활용한 가뭄지수를 추가로 산출하여 표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K-water는 차세대 중형위성 개발 사업에 따른 수자원 위성 확보에 대비해 수자원 분야 위성활용 중장기 계획을 마련하였다. 향후에 광학위성, SAR위성 등 다양한 위성자료의 융복합적 활용을 통하여 위성산출물 알고리즘을 지속적으로 개발함으로써 홍수, 가뭄, 수질 등 물 재해 대응 및 수자원 관리 전 분야에 위성자료의 활용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PDF

Introduction to Establishment of the Korea Ocean Satellite Center : Basic Environment and Hardware (해양위성센터 구축 소개 : 기반환경 및 하드웨어 중심)

  • Yang, Chan-Su;Bae, Sang-Soo;Han, Hee-Jeong;Ahn, Yu-Hwan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8.05a
    • /
    • pp.191-195
    • /
    • 2008
  • In Ansan (the headquarter of KORDI ;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KOSC(Korea Ocean Satellite Center) is being prepared for acquisition, processing and distribution of sensor data via L-band from GOCI(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instrument which is loaded on COMS(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it will be launched in 2009. The basis equipment of KOSC(Electric power, Network, Security) has been constructed in 2007. KOSC is being constructed data processing and management system, GOCI L-band reception system, etc. The final object of KOSC is that maximize the application of GOCI.

  • PDF

Composite technique development of rain rate by using COMS and microwave satellite (통신해양기상위성 및 마이크로웨이브자료를 이용한 강수량합성기술개발.활용)

  • Suh, Ae-Sook;Park, Jong-Seo;Kim, Do-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59-263
    • /
    • 2008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호우, 태풍, 폭설 등 악기상 발생이 빈번해지고 있으며, 특히 태풍은 단일 기상현상 가운데 가장 강력하며, 태풍으로 인하여 집중호우 폭풍 및 해일 등 부차적 악기상이 함께 발생하여 인명 및 경제 사회적인 피해 또한 막대하지만, 태풍으로 인한 강수량 측정은 다른 현상에 비해 정확한 측정이 어렵다. 이것은 태풍이 발생에서 소멸까지 일생의 대부분을 해상에서 보내, 육상 관측으로는 정확한 강수량 측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위성자료를 활용하면 해상에서의 태풍 구름에 의한 강수분포를 추정할 수 있으며, 특히 구름을 투과하여 아래 내부구조 파악이 가능한 마이크로파 영역의 적외복사에너지를 이용하면 좀더 정확한 강수량 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관측영역 확대를 위해서는 가능한 마이크로파위성자료를 합성처리하여 활용하는 것이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기상청에서 수신하고 있는 Aqua/AMSR-E, SSM/I, TMI, QuilSCAT 등에서 산출되는 강수량을 상호 검증기법을 이용하여 합성처리 하였다. 위성자료마다 정확도와 해상도가 다른 것에 대해서는 높은 정확도에 가중치를 주고, 고해상도 자료에 맞추어 픽셀 크기를 맞추었다. 사용한 자료는 2005년$\sim$2007년 간 발생한 태풍 중에서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나비, 나리, 에위니아 등 3개 사례이며, 검증은 자동관측자료(AWS : Automatic Weather Station)자료와 일본 AWS자료(AMEDAS : Automatic Measurement Data Aquisition System) 및 미해군 연구소 발표자료를 이용하여, 시계열오차 분석 및 산포도를 분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Korea Ocean Satellite Center (KOSC);System Design on Reception, Processing and Distribution of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data (해양위성센터 구축;통신해양기상위성 해색센서 (GOCI) 자료의 수신,처리,배포 시스템 설계)

  • Yang, Chan-Su;Cho, Seong-ick;Han, Hee-Jeong;Moon, Jeong-Eon;Yoon, Suk;Han, Tai-Hyun;Lee, Nu-Ri;Kwak, Ki-Yong;Ahn, Yu-Hwa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192-197
    • /
    • 2007
  • 한국해양연구원에서는 2008년 으 로 예정된 통신해앙기상위성(통해기)의 발사에 맞춰 통해기에 탑재된 해색센서(GOCI)자료의 수신,처리,배포를 위한 해앙위성센터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전파수신환경,자연환경 등을 고려하여, 해양위성센터 위치를 안산(한국해양연구원 본원)으로 정하였다. 이에 따라,지금까지 안테나를 포함한 수신시스템에 대한 상세설계,내부 구조 변경,H/W 및 N/W 설계,자료처리 시스템 일부의 도입을 실시하였다. 여기에서는,해양위성센터 구축 현황을 소개하고,해색센서(GOCI)자료의 수신,처리,배포 시스템 설계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가장 중요한 자료 배포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온라인으로 구성되며, 수신된 데이터를 1시간 내에 제공하기 위해 웹호스팅 등 외부데이터 제공 시스템도 구축하는 것을 구상 중에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