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빙폭 제어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 Study on Automatic Seam Tracking and Weaving Width Control for Pipe Welding with Narrow Groove (협개선 배관 용접을 위한 용접선 추적 및 위빙 폭 자동 제어에 관한 연구)

  • Moon, Hyeong-Soon;Lee, Seok-Hyoung;Kim, Jong-Jun;Kim, Jong-Cheol
    • Special Issue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2013.12a
    • /
    • pp.73-80
    • /
    • 2013
  • From broad point of view, seam tracking has been one of main issues with respect to welding automation. Several attempts have been successful for seam tracking of fixed weaving width. As a solution of the seam tracking methods for varying groove width, the visual sensors such as CCD cameras have been adopted. Although the vision sensing techniques can achieve high accuracy, the weak point is that well-prepared vision sensor environment should be required to obtain high-quality visual measurements which can be easily affected by significant noises in industrial areas. This paper proposed an alternative seam tracking algorithm for narrow groove. A special measurement device for arc voltage, in this study, is developed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d welding signals. Based on the developed arc sensor algorithm, an automatic weld-width tracking algorithm is also proposed, which is able to predict the weld-position more accurately. The usefulness of the automatic weld-width tracking algorithm was well verified by applying it to gas tungsten arc welding (GTAW).

  • PDF

Control of Bead Geometry in GMAW (GMAW에서 비드형상제어에 관한 연구)

  • 이재범;방용우;오성원;장희석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15 no.6
    • /
    • pp.116-123
    • /
    • 1997
  • In GMA welding processes, bead contour and penetration patterns are criterion to estimate weld quality. Bead geometry is commonly defined with width, height and depth. When weaving is taken into account, selection of welding conditions is known to be difficult. Thus, empirical or trial-and-error method are usually introduced.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of welding process variables including weaving parameters with bead geometry using srtificial neural networks(ANN). The main task of the Ann estimator is to realize the mapping characteristics from the sampled welding process variables to the actual bead geometry through training. After the neural network model is constructed, welding process variables for desired bead geometry is selected by inverse model. Experimental varification of the inverse model is conducted through actual welding.

  • PDF

Development of welding process to rootpass for U-Groove without gap in pipe 1GR butt welding (파이프 1G 회전 맞대기 용접에서 갭 없는 U-그루브의 루트패스 용접공정 개발)

  • Son, Chang-Hui;Kim, Nam-Gyu;Cho, Sang-Myeong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10.05a
    • /
    • pp.40-40
    • /
    • 2010
  • 산업현장에서는 파이프 또는 탱크류의 1GR용접에서 안정적인 이면비드를 가지는 루트패스 용접을 위해 2~3mm의 루트갭을 띄우고 용접봉 또는 필러와이어를 사용하는 TIG용접을 주로 한다. TIG용접은 고품질의 이면비드가 얻어지며, 용접인자의 제어가 쉽다는 장점이 있어 루트패스 용접에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루트갭을 띄우면 이면비드는 잘 얻어지지만 용착금속량이 많아지게 되어 제작원가가 상승되고, 또한 소모성 와이어를 사용하는 GMAW에 비해 생산성이 낮다. 따라서, 안정적인 이면비드를 가지면서 생산성이 높은 1GR GMAW 루트패스 용접공정의 개발이 요구되지만, 이 경우도 루트갭이 2~3mm로 정해져 있으면 Fit-up공정에서 공수가 많이 필요하므로 근본적으로 루트갭이 없는 그루브에 대한 루트패스 용접이 더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루트면 2.7mm를 가지는 U-그루브의 갭 없는 루트패스 용접에서 안정적인 이면비드가 형성되는 조건을 검토하기 위해 2.7t의 평판에 대하여 경사상진 각을 주고 기초 실험 후, U-그루브 맞대기 용접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때, 경사상진 각은 용융금속이 중력으로 인해 아크 후방으로 밀리게 되고, 그로 인해 아크가 모재에 직접 닿게 되어 용입이 더 깊게되므로, 이면비드의 형성에 더 유리하다. 두께 2.7t의 연강 시편 2개를 갭 없는 I-그루브 맞대기 이음에서 Ǿ1.2 연강 솔리드 와이어를 사용하여 GMAW용접을 실시하였고, 용접전류, 용접속도, 경사상진 각, 위빙 폭, 위빙 주파수를 변경하여 각 조건에 대한 이면비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경사상진 각 $25^{\circ}$, 전류 200A, 위빙폭 3mm, 위빙주파수 3Hz의 조건에서 안정적인 이면비드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현장에서 Fit-up중 발생할 수 있는 루트갭의 문제에 대하여 루트갭 1.2mm의 I-그루브 맞대기 용접에서 경사상진 각, 위빙 폭, 위빙 주파수는 갭 없이 실시한 실험에서 얻어진 가장 안정적인 결과를 사용하였고, 용접 전류, 용접 속도를 변경하여 이면비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갭이 없을 때보다 약 80A 낮은 전류 조건인 120A에서 안정적인 이면비드를 얻을 수 있었다. 앞선 실험들을 기초로 하여 U-그루브 맞대기 용접을 실시 하였고, I-그루브 맞대기 용접에서 사용한 조건들과 유사한 용접 전류, 용접 속도에서 안정적인 이면비드를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