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위반 의도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5초

블랙 스완 이론 관점에서 바라본 코로나-19 예방 수칙 위반 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tention to Violate COVID-19 Precau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lack Swan Theory)

  • 김한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1-8
    • /
    • 2022
  • 코로나-19 예방 수칙 위반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가 늘어감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예방 수칙 위반에 대한 연구는 크게 조명 받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블랙 스완 이론에 기반하여 코로나-19 예방 수칙 위반 의도에 이론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행 요인들을 식별하였으며, 2021년 2월 11일부터 2021년 3월 10일까지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215명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회귀 분석 결과, 예방 수칙에 대한 인식 불일치, 대표성 편향, 가용성 편향이 코로나-19 예방 수칙 위반 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낙관적 편향은 예방 수칙 위반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새로운 선행 요인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예방 수칙 위반 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또한, 지역, 국가, 이론에 따른 위반 의도의 차이를 규명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블랙컨슈머행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Black Consumer Behavior on the Intention of Turnover: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 양진호;권혁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139-145
    • /
    • 2019
  • 본 연구는 블랙컨슈머행동이 조직구성원에게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블랙컨슈머행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Baron &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절차에 따른 분석 결과 블랙컨슈머행동의 상습성, 기만성, 과도성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리고 기만성과 과도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과가 존재한다는 결과를 통해 심리적 계약위반에 대한 지각을 감소시키는 노력을 통해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음을 밝혔다.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한 블랙컨슈머 접근 금지 정책이나 감정노동 수당 등의 보상시스템 등의 대책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고객의 행동과 조직구성원의 행동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외식업 근로자의 심리적 계약위반 지각이 이직의도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 안진희;박우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5-138
    • /
    • 2018
  • 외식업의 성장률이 국내총생산(GDP)을 크게 웃도는 고성장을 지속하면서 업체 간 경쟁이 점차 치열해 지고 있다. 기존 연구자들에 의하면 경쟁에 우위를 점하기 위한 고객 마케팅 전략으로 외부고객에 앞서 내부고객의 만족을 우선하여야 한다는 주장이 계속되고 있으며, 이에 인적자원관리에 관련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외식업 근로자들이 인지하는 심리적 계약위반의 지각이 이직의도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이 가지는 매개효과를 함께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외식업 사용자와 관리자에게 근로자의 이직의도를 완화하고 고객지향성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특 1급 호텔 조리종사원이 인지하는 심리적 계약위반이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Deluxe Hotel Culinary Staff's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taff Careers)

  • 홍윤주;김영중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187-20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특 1급 호텔 조리종사원이 인지하는 심리적 계약위반이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확보된 280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 적합성 등을 검토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총 4개의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모형의 적합도는 ${\chi}^2=334.152$(p<0.001), df=162, CMIN/DF=2.063, GFI=.893, AGFI=.861, NFI=.919, CFI=.956, RMSEA=.062 등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 심리적 계약위반의 하위차원인 관계적 계약위반(${\beta}=-.236$)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직무만족도(${\beta}=-.269$)는 이직 의도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심리적 계약위반의 하위 차원 중 관계적 계약위반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심리적 계약위반과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와의 인과관계에서 경력의 조절효과는 부분적으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소기업 MZ세대 근로자의 심리적 계약위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소진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on Turnover Intention of MZ Generation Workers in Small and Medium Businesses: Mediating Effects of Job Burnout)

  • 김예지;윤관식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533-544
    • /
    • 2021
  • 급격한 사회환경 변화로 대다수의 중소기업은 만성적 내부 인력난 문제를 안고 있다. 중소기업은 유능한 MZ세대 인재를 조직에 머물도록 하기 위해 그들의 관점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인력난 완화에 기여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한 당면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내 중소기업에 재직하고 있는 MZ세대 근로자를 대상으로 심리적 계약위반, 직무소진, 이직의도 간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2021년 4월 19일부터 5월 14일까지 온·오프라인을 통해 수집되어 연구에 최종 활용한 표본은 밀레니얼 세대 144부, Z세대 140부이다.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심리적 계약위반은 이직의도와 직무소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무소진 또한 이직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심리적 계약위반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조직 구성원들의 보안정책 위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curity Policy Violations of Organization Members)

  • 김종기;오다운
    • 정보화정책
    • /
    • 제25권3호
    • /
    • pp.95-115
    • /
    • 2018
  •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들의 보안정책 위반의도를 설명하기 위해 사람-환경 적합 모델(P-E Fit Model: Person-Environment Fit Model)을 기반으로 연구하였다. 보안정책 위반의도에 있어서 조직이 제공하는 보안 환경과 보안에 대한 개인의 가치 간 관계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고자 하였다. 조직 구성원이 관찰할 수 있는 보안 환경을 조직의 정보보안 문화와 동료의 보안 준수 행동으로 설정하였고 보안에 대한 개인적 가치는 도덕 이탈 이론에서 제시하는 행동의 재구성, 결과의 왜곡, 조직의 가치감소로 설정하였다. 도덕 이탈 이론의 구성 개념을 바탕으로 조직원의 보안 위반에 대한 인식을 2차 요인(Second Order)으로 측정하였다. 인식의 측정은 조직 내에서 흔히 일어날 수 있는 패스워드 공유 상황을 시나리오로 제시하여 설문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정보보안 문화가 조직의 가치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행동의 재구성과 결과의 왜곡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동료의 보안 행동은 보안 위반 행동에 대한 재구성, 결과의 왜곡, 조직의 가치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행동의 재구성, 결과의 왜곡, 조직의 가치감소는 조직원의 보안정책 위반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실제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적용했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기여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상사의 비인격적 행위가 부하의 이직의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심리적 계약위반과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Abusive Supervision on Subordinates'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Self-control)

  • 박성진;김오현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13-134
    • /
    • 2010
  • 본 연구는 파괴적 리더십 중에서도 가장 많은 관심을 받아오고 있는 상사의 비인격적 행위가 부하의 이직의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부정적 결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상사의 비인격적 행위와 부하의 이직의도 및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조직의 심리적 계약 위반과 부하의 자기통제력이 조절하는지를 검증 하였다. 이와 함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 한계 및 향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인지된 계약위반, 경험된 계약위반과 직원의 조직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 특 1급 호텔 종사원을 중심으로 - (A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Employee Outcomes - A Case of Five Star Deluxe Hotel Employees -)

  • 김지은;권용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6-76
    • /
    • 2013
  • 직원들의 긍정적인 조직행동을 이끌어야 하는 의무가 있는 호텔 산업에서 심리적 계약 모델을 확장시켜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 연구는 심리적 계약위반을 인지된 계약위반과 경험된 계약위반으로 나누어, 인지된 계약위반의 하위 개념들이 경험된 계약위반으로 전이되는지와 경험된 계약위반이 호텔직원의 조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모형방정식을 이용하여 규명하였다. 특 1급 호텔 근무자를 대상으로 하여, 178부의 설문이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으며 데이터 분석을 위해 SPSS 19.0과 AMOS 4을 이용한 구조모형방정식을 통해 연구가설의 유의성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로, 긍정적인 업무관계와 교육과 커리어 개발과 같은 관계지향적인 계약의 위반은 경험된 계약 위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임금과 복리후생과 같은 거래지향적 계약위반은 경험된 계약위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높은 이직의도, 낮은 직무만족과 개인 조직 적합성을 포함한 조직행동은 경험된 계약위반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결과적으로, 인지된 계약위반은 부분적으로 경험된 계약위반으로 전이되며 호텔 관리자는 계약항목을 명료화 하고 부합되지 못한 계약 등에 대하여 대응할 준비를 할 필요가 있다.

  • PDF

불확실(不確實)한 오염방지기술(汚染防止技術) 하(下)에서의 최적강제정책(最適强制政策)

  • 김재철;홍정수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4권1호
    • /
    • pp.1-15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오염배출 기업의 도덕적(道德的) 해이(解弛)(moral hazard)를 고려한 규제자의 강제정책(enforcement)에 관하여 분석한다. 또한 환경규제위반의 경우 일반적인 범죄와는 달리 의도적인 위반 이외에도 기술적 한계에 의한 불가항력적인 위반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기업의 행태를 분석한다. 규제자의 강제 수단은 벌칙의 수준과 벌칙이 주어지는 기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벌칙의 강도와 벌칙이 주어지는 기간간의 관계는 사회후생을 고려한 경우 독립적이지 않고 서로 trade-off의 관계에 있다. 따라서 규제자는 벌칙의 구조를 결정함에 있어서 이러한 관계를 고려하여야한다. 크게 두가지의 선택이 있을 수 있는데 하나는 높은 수준의 벌칙과 짧은 벌칙 기간이고 다른 하나는 낮은 수준의 벌칙과 긴 벌칙 기간이다. 본 논문에서는 벌칙이 사회에 미치는 왜곡을 고려한 최적 벌칙 구조에 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 PDF

난폭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Main Psychological Factors Contributing to Aggressive Driving)

  • 신용균;류준범;강수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9-98
    • /
    • 2007
  • 오늘날 난폭운전은 도로에서 흔히 마주칠 수 있는 운전행동일 뿐만 아니라 운전자나 보행자와 같은 도로 이용자에게 매우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난폭운전과 관련된 연구를 거의 찾아볼 수가 없고 난폭운전에 대한 정의조차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난폭운전의 정의를 내리고 이러한 난폭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여러 심리사회적 변인들의 유의성을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Ajzen, 1985)과 Triandis(1977)가 제안한 '습관' 변인을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예비조사에서 국내운전자들을 대상으로 대표적인 난폭운전을 조사한 결과, 난폭운전은 과속운전, 신호위반 운전 및 끼어들기 운전 등의 순으로 보고되었다. 본 조사에서는 대표적인 난폭운전의 세 가지 유형 각각에 대해서 인구통계적 특성을 통제하고도 TPB 변인들과 습관변인들이 유의한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과속운전 의도와 신호위반운전 의도의 경우 주관적 신념, 행동통제력 지각, 습관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끼어들기운전 의도에서는 행동통제력 지각 및 습관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과속운전 행동과 신호위반운전 행동은 의도 이외에 습관 변인만이 유의하였으나 끼어들기운전은 의도 이외에 행동통제력 지각 및 습관 변인 둘 다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세 가지 난폭운전 유형 각각에 대하여 계획된 행동이론 모형과 습관 변인을 추가한 대안모형을 검증하여 보았으며 이와 관련하여 연구의 제한점 및 난폭운전 교정프로그램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