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웹 접근성 평가도구

Search Result 49,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Implementation and design of Improved Evaluation Tool for Web Accessibility (개선된 웹 접근성 평가도구의 설계 및 구현)

  • Moon, Kyung-Sil;Choi, Jung-Yun;Park, S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5a
    • /
    • pp.375-378
    • /
    • 2008
  •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 평가를 위하여 웹 접근성 표준 가이드라인에 기반 한 120여개의 자동화 평가 도구들이 존재한다. 국외 평가도구는 WCAG 1.0과 미국 재활법 508조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A-Prompt, Bobby 등이 있으며, 국내에는 KWCAG 1.0에 기반하여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서 제작한 KADO-WAH가 유일한 자동화 웹접근성 평가도구이다. KADO-WAH는 국외 평가도구와 비교하여 상세한 검사를 진행하지 않으며 자동화 평가 범위가 한정되어 있어 상당부분 전문가 평가를 필요로 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개선된 웹 접근성 평가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자동화 평가도구인 KADO-WAH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국외 자동화 평가도구와 비교 분석을 통해 KADO-WAH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 문제점을 개선한 웹 접근성 평가도구를 구현한다.

  • PDF

웹사이트 접근성 자동화 평가 도구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홍순구;이대형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5.12a
    • /
    • pp.97-109
    • /
    • 2005
  • 노인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인터넷을 통한 정보획득의 보편화로 인하여 웹 접근성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웹 접근성이란 "경제적, 지역적, 신체적, 사회적 한계로 인해 정보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자들에 대한 정보 통신망의 자유로운 접근과 이용" 을 의미한다 정부기관이 선도하여 웹사이트를 통해 보다 편리하고 좋은 서비스를 국민에게 제공하려는 전세계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이나 노인들에게는 아직도 웹사이트의 접근이 용이하지 못한 실정이다. 이는 웹 접근성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근본 원인 중 하나인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에 대한 개념 이해 및 현재 사용되는 웹사이트의 접근성 만족 유무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의 부재에 기인한다. 현재까지 웹 접근성 평가는 표준 평가항목인 W3C의 웹 접근성 지침(Web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 1.0, 이하 WCAG 1.0)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자동화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대부분 이루어져 왔다. 자동차 평가도구를 이용한 웹 접근성 평가 방법은 평가가 용이하고 평가결과의 정량화로 인해 연구의 객관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와 실험을 통해 자동화 평가도구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문가가 직접 스크린 리더를 통해 계산한 접근성 오류와 자동화 도구가 계산한 접근성 오류와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자동화 평가도구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전문가가 직접 평가하는 매뉴얼 평가방식과의 병행을 제시하고 있으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TTAS.0T-10.0003)"을 기본으로 하여 "EuroAccessibilty Consortium" 에서 고려하고 있는 "testable statement" 으로 통합 보안한 접근성 체크항목의 재구성과 함께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자동화 평가도구의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아직까지 제시된 개선방안의 적용 및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아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나 자동화 평가도구의 개선방안에 대한 제안은 향후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며 많은 후속연구를 유발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n Analysis on the Web Accessibility Guidelines for the Education Homepage by the Questionnaire (설문조사에 의한 교육용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분석)

  • Jung, Deok-Gil;Lee, Joung-Hun;Lho, Young-Uh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8a
    • /
    • pp.113-116
    • /
    • 2008
  • 최근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는 웹 접근성 향상이 많은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교육용 홈페이지에서는 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형편이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형 인터넷 웹 접근성 지침에 대하여 알아보고, 웹 접근성 평가도구인 KADO-WAH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육 관련 홈페이지를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라서 평가해 본다. 평가도구로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부분은 일선 학교 컴퓨터 관련 교사들에게 설문지를 통하여 웹 접근성 평가를 받고, 그 결과를 분석한다. 평가도구에 의한 평가와 설문조사에 의한 평가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아 교육용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을 높이는 방안을 갈구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Algorithms for Web Accessibility Evaluations (한국과 미국 정부기관의 웹 접근성 평가를 통한 자동화 평가 도구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Hong Soon-Goo;Park Ji-Yong;Lee Dae-Hyung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1 no.1
    • /
    • pp.38-48
    • /
    • 2006
  • Several software programs such as Bobby and A-Prompt developed based on the W3C's WCAG 1.0 guidelines have been employed to evaluate the accessibility of web sites. Although these programs make an evaluation of web accessibility easy and objective, many researchers pointed out that the results of web accessibility are lack of reliability.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the modified algorithms for evaluating web accessibility focused on the 'images' and 'tables'. To verify them, we compared the accessibility of the Korean governmental web sites with new and current algorithms,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the suggested algorithms are more accurate than the existent one.

  • PDF

An Evaluation and Application Scheme for the Education Homepage By the Web Accessability Guidelines (웹 접근성 지침에 의한 교육용 홈페이지의 평가 및 적용 방안)

  • Jung, Deok-Gil;Lee, Joung-Hun;Lho, Young-Uh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5a
    • /
    • pp.433-437
    • /
    • 2008
  • 최근 인터넷 웹 콘텐츠의 접근성에 대한 표준화의 준수와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정부와 공공기관 그리고 기업까지 확산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형 인터넷 웹 접근성 지침에 대하여 살펴보고, 웹 접근성 평가도구인 KADO-WAH 프로그램을 다운 받아서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일선 학교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웹 접근성 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교육 관련 홈페이지를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라서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평가 결과에 따라 나타나는 검사 항목 통계 보고서를 토대로 웹 접근성 준수 여부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평가 결과 나타난 오류와 경고 항목을 평가보고서에서 요구하는 방향으로 수정하여 교육용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한다.

  • PDF

Handicapped Persons and Internet: Comparing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Tools (장애인과 인터넷: 웹 접근성 평가 도구 비교)

  • Kim, Hwangy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10
    • /
    • pp.373-378
    • /
    • 2013
  • Web accessibility should be guaranteed regardless of disability in current information society. Automatic tools are needed to evaluate a huge number of web sites. Five pre-developed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tools are selected and experimenting results are compared and analyzed in this paper. The research results will be very helpful for users who are selecting a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tool.

Education Website Accessibility :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한국과 미국의 교육기관 웹 사이트 접근성 평가)

  • Park Seong-Je;Jung J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6.05a
    • /
    • pp.53-62
    • /
    • 2006
  • 인터넷 및 IT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인해 우리가 접하는 정보는 그 양적 측면 뿐만 아니라 질적 측면에서도 비약적인 발전을 가지고 왔다. 또한 인터넷 보급의 활성화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많은 종류의 정보 속에서 그리고 다양한 형식으로 구성된 정보 속에서 지내고 있다. 특히 웹의 사용이 일상화 되어감에 따라 컴퓨터를 다루기 힘든 정보소외계층의 웹사이트 정보 접근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와 관련한 다각적인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된 웹 사이트 접근성에 관한 연구와 한국형 자동화 접근성 평가도구의 분석을 통하여 기존의 웹 접근성 평가의 한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유형의 웹사이트 접근성 평가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접근성 평가의 효율성 및 타당성 확보를 위해 먼저 자동화 평가도구인 Kado-Wah 를 이용하여 기본 평가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웹 페이지 소스분석 및 음성합성 S/W 를 통한 메뉴얼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접근성 오류정도를 산출하여 한국과 미국의 교육기관 웹사이트의 접근성을 비교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해 향후 웹 기반 정보접근에 대한 효율성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웹 구현에 대한 지침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n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ducation Homepage Based on the Web Accessability Guidelines (교육용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평가 지침별 비교 분석)

  • Jung, Deok-Gil;Lee, Jo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8a
    • /
    • pp.105-108
    • /
    • 2008
  • 최근 인터넷 웹 콘텐츠의 접근성에 대한 표준화의 준수와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정부, 공공기관, 기업까지 확산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웹 접근성 표준 지침에 패하여 알아보고, 표준 지침별 평가 항목에 대하여 비교 분석한다. 또한, 웹 접근성 인증 기준에 의한 중요도에 대해서도 분석한다. 그리고 웹 접근성 평가도구인 KADO-WAH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육 관련 홈페이지를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라 지침별 준수율을 비교 분석한다.

  • PDF

A Comparison of the Education Homepage By the Web Accessibility Guidelines (웹 접근성 지침을 통한 교육용 홈페이지의 비교 분석)

  • Jung, Deok-Gil;Lee, Joung-Hun;Lho, Young-Uh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5a
    • /
    • pp.445-448
    • /
    • 2008
  • 최근 인터넷 환경은 컴퓨터를 이용한 윈도우즈의 환경에서 핸드폰, PDA 등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로 확산되고 있다. 이로 인해 시각, 청각 장애자나 컴퓨터 초보자도 쉽게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는 웹 접근성 향상이 많은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KADO-WAH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교육 관련 기관의 홈페이지를 평가하고 이들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지침 준수 여부를 비교 분석한다. 이 논문에서는 교육 관련기관인 대도시 교육청 홈페이지와 부산시 교육청 산하 교육구청의 홈페이지, 그리고 부산시내의 여러 고등학교 홈페이지에 대하여 웹 접근성 지침 준수 여부를 평가하고 비교 분석한다. 그 결과 학부모나 교육 관련 이해 당사자 누구라도 쉽게 교육용 웹사이트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게 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 PDF